『조선후기 인성ㆍ물성 논쟁의 연구』는 조선 후기 성리학 관련 논쟁중 인성·물성 논쟁에 해당하는 논문을 뽑아 엮은 논문집이다. 18세기의 '인성과 물성에 대한 논쟁'과 관련된 것들과 '조선후기 인성과 물성에 대한 논쟁의 연구'라는 필자의 박사학위논문을 함께 엮은 것이다. 저자는 조선의 성리학에 대하여 오랜 기간 동안 연구해 왔는데, 그 중 조선 전기에 해당하는 내용은 『조선후기 성리학 연구』로 이미 출간한 바 있다. 이 책의 집필 의도는 조선조의 성리학에 대한 저자의 시각인 조선의 성리학이 '통치이념, 규범적인 질서의 근거를 우주론과 인성론에서 찾으려는 시각이었다'는 것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인성·물성론의 실마리
1. 인성·물성 논쟁의 전말
2. 퇴계 이황의 인성물성론
제2장 인성·물성론의 전개
1. 주기설의 이론적 심화
2. 인성물성논쟁
3. 한원진 심론에서 '명덕'의 문제
4. 외암 이간 철학의 이기설적 특성
제3장 인성과 물성에 관한 논쟁의 양상
1. 머리말
2. 논쟁의 배경
3. 인성론사에서의 검토
4. 논쟁의 전개
5. 18세기 중엽 이후 논쟁 추이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