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한일의 역사에서 대부분의 경우, 가해자는 일본이었다. 한반도에 상륙해 약탈을 일삼은 왜구,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출병, 36년에 걸친 식민 지배 등이 그것을 증명한다. 그러나 일본은 과거에 대해 솔직하지 못하다. 독일의 바이츠제커 전 대통령은 나치스 독일이 저지른 죄를 재삼 사죄하여 "과거에 눈을 감는 것은 현재에 대한 맹목이다."라고 말하고 있지만, 일본은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일본은 한반도에 대한 가해의 역사는 거의 가르치지 않고 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출병도 간단한 기술에 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을 정도로 악정이라 일컬어지는 식민 지배에 대해서도 입을 굳게 닫고 있다. 때문에 대부분의 일본인들은 '창씨개명'이 무엇인지, '명성황후 암살'과 '황민화 정책'이 무엇인지 전혀 모른다.
국경의 벽은 점점 허물어지고 있지만 앞으로 양국의 교류가 얼마나 더 활발하게 진행될지는 의문이다. 한쪽은 과거의 역사를 제대로 숙지하고 있지만 다른 한쪽은 거의 무지에 가깝기 때문이다.
일본이 과거 한국에 무슨 일을 저질렀고, 한국은 이에 어떻게 대응했는지 한국 역사에 정통한 일본인 저널리스트가 한국 각지의 유적을 찾아보며 직접 촬영한 150점의 사진과 함께 한일 역사의 현장을 돌아본다.
Contents
서문
PART 1. 서울
광화문 ㅣ 600년 역사의 산 증인
명성황후의 비 ㅣ 용서받을 수 없는 일본의 만행
파고다 공원 ㅣ 3ㆍ1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장소
남산 공원 ㅣ 황민화 정책의 상징이었던 '조선신궁'
안중근 의사 기념관 ㅣ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구국의 위인'
신세계백화점 ㅣ 일제강점기의 '미쓰코시'
PART 2. 서울 근교
판문점 ㅣ 남북 분단의 현장
통일전망대 ㅣ 손에 닿을 듯 보이는 북녘의 민가
강화도 ㅣ 몽고군을 따돌린 천연의 요새
조선의 '군함' 격퇴 ㅣ 프랑스와 미국의 함대를 격퇴
강화조약 ㅣ 근대 일본의 조선 침략의 첫 단계
PART 3. 독립기념관과 그 주변
유관순의 생가 ㅣ 한국의 '잔 다르크'
독립기념관 ㅣ '일본 교과서 문제'를 계기로 건설
민족전통관 ㅣ 고대에서 조선시대까지
근대민족운동관 ㅣ 근대 민족운동과 구국운동의 자료 전시
일제침략관 ㅣ 일제강점기, 일본의 악행을 재현
3ㆍ1 독립운동관 ㅣ 토지, 언어, 이름까지 강탈한 일본
독립전쟁관 ㅣ '독립운동' 3인의 영웅
망향의 동산 ㅣ 일본에서 죽음을 맞이한 한국인 무연의 묘
제암리 사건 ㅣ 그리스도인에게 망쳐진 교회
PART 4. 부여ㆍ공주
5층 석탑 ㅣ 고도를 떠올리게 하는 백제의 유일한 유적
불교전래사은비 ㅣ 백제와 일본의 우호
정림사지 ㅣ 일본의 사원 건축의 원형
낙화암 ㅣ 3천 궁녀가 몸을 던진 절벽
백촌강 전투 ㅣ 백제에 구원군을 보낸 일본군의 대패배
PART 5. 부산ㆍ경상남도
용두산 공원 ㅣ 에도시대의 일본 영사관
영도 ㅣ 조선 침략의 제1보
충렬사 ㅣ 부산에서 순절한 선열들을 기리는 사당
임진왜란 ㅣ 히데요시의 제1차 침략
진주성 ㅣ 열녀 논개를 낳은 공방전
의령 ㅣ 곽재우와 최초의 '항일 의용군'
충무 ㅣ 이순신 장군과 거북선
진해 ㅣ 세계 제일의 벚꽃나무가 있는 군항 도시
남원성의 공방 ㅣ 강화 교섭의 결렬, 히데요시의 제2차 침략
광한루 ㅣ 고전 「춘향전」의 무대
만인의총 ㅣ 전멸한 군민 만 명의 무덤
도자기 전쟁 ㅣ 일본 도자기의 시초
귀 무덤 '이총' ㅣ 히데요시의 잔혹함의 상징
우록동 ㅣ 조선에 귀화한 일본인 '사야가'의 마을
마산 ㅣ 일본을 향해 출항한 원구의 출항기지
해인사 ㅣ 고려 불교문화의 보물, 팔만대장경
청자와 백자 ㅣ 고려와 조선의 대표적인 자기
조선통신사의 시초 ㅣ 문화ㆍ경제의 활발한 교류
조일 우호의 500년 ㅣ 여우길의 대사절단 파견으로 통신사 재개
PART 6. 전라남북도
목포 ㅣ 여전히 남아 있는 일본식 가옥
목포 공생원 ㅣ 최초의 목포시민장 주인공은 일본인 여성
광주 ㅣ '반란'에서 '의거'로 재조명된 광주민주화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관 ㅣ 건조한 짚더미에 떨어진 불씨
정읍 ㅣ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
전주 ㅣ 일본인 진출이 격심했던 곡창지대
PART 7. 한국을 사랑한 이방인들
망우리 묘지 ㅣ 한국의 산과 문화를 사랑한 아사카와 다쿠미
외인 묘지 ㅣ 한국에서 천 명의 고아를 돌본 소다 가이치
낙선재 ㅣ 조선 최후의 왕비 이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