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성의 철학과 포노로지

$37.80
SKU
978897139586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25 - Thu 05/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2 - Thu 04/2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4/05/23
Pages/Weight/Size 153*224*40mm
ISBN 9788971395868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Contents
서문
추천의 글/김형효
추천의 글/공종원

1 앎의 철학, 삶의 철학
기(氣), 일반성, 소리(phone)
1) 일반성의 철학을 제안하며
2) 일반성의 철학적 구조
3) 유물론, 물심(物心), 일반성의 철학
4) 이기(利己), 이성(理性), 필요악(必要惡)
5) 라이프니츠의 단자론과 서양철학의 이해
6) [천부경]과 일반성의 철학
7) 동양의 음양사상과 일반성의 철학
8) 알파벳 문장구조로서의 철학

2 소쉬르의 구조언어학과 구조인류학
1) 소쉬르의 구조언어학을 넘어서
2) 음양사상으로 본 소쉬르, 라캉, 들뢰즈
3) 루소, 레비스트로스, 데리다

3 소리에서 포노로지(Phonology)의 탄생
1) ‘말-소리중심주의’의 착오
2) 하이데거와 데리다 이해의 혼선과 비판: 데리다의 시간론과 현상학적 존재론의 모순
3) 데리다의 해체주의가 지닌 한계
4) 차이의 연장에서 음양의 왕래로: 차이불이의 세계
5) 최제우의 동학과 하이데거의 존재론 비교
6) 말씀의 ‘씀’과 ‘쓰다[用]’, ‘쓰다(ecriture)’, ‘씨’

4 몸은 육체가 아닌 세계 그 자체
1) 마르셀과 메를로퐁티의 ‘몸’철학
2) 동양의 심물철학과 마음·몸철학
3) 기독교와 불교의 이면에 있는 철학과 과학: 기독교는 불교의 현상학, 불교는 기독교의 존재론

5 언어는 세계 분열과 대상(對象)의 주범이다
1) 언어와 대상, 세계의 분열
2) 한글과 소리철학
3) 한글의 우주론적 의미
4) 소리, 이미지, 문자

6 소리는 존재이고 삶이다
1) 소리는 존재, 구체-생명
2) 몸과 파동, 그리고 소리
3) 음(音)과 수(數)에 대하여
4) 철학은 언어, 추상-기계

7 동양의 음양철학을 번안한 서양의 해체철학들
하이데거의 존재론,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 그리고 포노로지

8 서양철학의 시각-언어, 거울, 욕망, 의지 그리고 나르시시즘
서양철학사의 반이성주의 속에 숨은 이성주의

9 유형지학(有形之學)·무형지학(無形之學)으로
1) 유형지학, 무형지학
2) 네 갈래의 현상학

10 성결학(聖潔學)에서 오물학(汚物學)으로
인간의 대명사 맨(Man)을 통해 본 가부장의식의 허구
1) 성결학과 오물학
2) 시간과 공간 및 인간 존재의 특성

11 자연은 우주가 아니다
시간과 공간은 없다

12 문명의 교차와 비밀
1) 자연과 문명의 블랙박스, 천지음양의 교차배어
2) 서양의 시각문명 대 동양의 청각문명

13 문무(文武) 순환의 해석학
다원다층의 음양학

14 철학인류학으로 본 종교와 성(性)
제사와 섹스의 유비에 대하여

15 아버지의 철학에서 어머니의 철학으로
소리철학, 포노로지는 어머니의 철학이다

16 기철학과 상대적 불확정성이론

17 귀신과 신에 대하여

18 주술로 바라보는 현대 문명
인간은 복논리적 존재
1) 은유와 환유
2) 메시지와 마사지

19 문화 콤플렉스와 종교 및 예술
1) 인류 문화의 콤플렉스와 신화, 종교
2) 동아시아 삼국의 예술과 풍류도

20 인간의 감각과 문화에 대한 다원다층의 해석학

21 좋은 여자, 나쁜 여자
전체주의에 대한 회고

22 새로운 도덕을 향하여

심중(心中) 박정진(朴正鎭) 연보
Author
박정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