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효 철학전작은 저자의 반세기에 걸친 철학 편력의 결과물들이다. 서양과 동양과 한국, 고대와 중세와 현대를 넘나들었던 그의 철학 순례길을 따라가다 보면 자기 구원과 시대 구원이라는 처절한 원망과 만나게 된다. 저자에게 철학은 학문의 한 분야일 뿐만 아니라 전 인격을 놓고 대결하는 사생결단의 전장이자 환희의 노래와 탈아의 춤으로 통하는 비상구였다. 그는 동시대와 같이 울고 함께 웃고자 했으나 이해보다는 오해에 익숙해야만 했다.
저자는 이제 고된 철학의 노동을 마치고 무념무상의 세계에 이르렀고, 그의 꿈은 후학들에 의해 재평가되고 재생산되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새로운 사상의 출현을 꿈꾸는 이들에게 그의 ‘철학 전작’은 꼭 타고 넘어야 할 준령이자 디딤판이 될 것을 희망한다.
Contents
제1부
‘삶의 세계’와 한국 사상사의 진리
한국 전통 사상, 그 원형 연구를 위한 연습
율곡과 메를로퐁티의 비교 연구
제2부
한국 정신사의 경험
한국인의 의식사(意識史) 개설
한국 사상과 호국정신
제3부
단재, 그의 주체사관의 그늘
한국인의 불행한 의식
민족정신의 새벽
제4부
한국 철학사상의 새로운 운동과 주체성의 탐구
오늘의 한국 지성, 그 향방
화해를 위한 사상
‘새나라’ 만들기와 사상의 모음
Author
김형효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벨지움 루벵대학교 철학최고연구원 석사·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공군사관학교 조교수를 역임했다. 그 후 서강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원장, 부설 한국학대학원 대학원장, 루벵대학교 철학최고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서강대학교 석좌교수로 활동 중이다.
제10회 열암학술상, 제7회 율곡학술상, 제19회 서우철학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벨지움 루벵대학교 철학최고연구원 석사·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공군사관학교 조교수를 역임했다. 그 후 서강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원장, 부설 한국학대학원 대학원장, 루벵대학교 철학최고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서강대학교 석좌교수로 활동 중이다.
제10회 열암학술상, 제7회 율곡학술상, 제19회 서우철학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