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발의 짧은 머리를 한 철학자 최진석은 대개 청바지에 반팔 티셔츠를 걸치고 강연에 나선다. 노자와 장자를 ‘현대의 철학자’로 우리 시대에 소환하며, 이념과 신념에 포박된 무거운 ‘사명들’에 직격탄을 날린다. 일상의 좌표를 명사에서 동사로 전환할 것을 귀띔한다. 곧 내가 ‘바라는 일’ 대신에 ‘바람직한 일’을, 내가 ‘하고 싶은 일’ 대신에 ‘해야 할 일’을 하는 데 전념해온 우리의 맨 얼굴을 응시하게 만든다.
『경계에 흐르다』는 ‘경계의 철학자’ 최진석의 첫 산문집이다. 그가 경계의 흐름 속으로 비집고 스며들었던 자기 삶과 사유의 내밀한 이야기들을 엮었다. 거칠고 시큰둥했던 유년과 청소년 시절 그가 체득한 두려움과 갈망에 대한 이야기, 철학 공부의 시작과 ‘이상한 눈빛’에 대한 이야기, 칸트에서 장자로 시선을 옮기게 한 무료함에 대한 이야기, 장자와 적대관계로 지낸 이야기 등 그가 불안하고 비밀스러운 경계에서 빚어낸 무늬를 보여준다.
“시 아닌 곳으로 자폐하여 시를 멀리하고 스스로를 맷돌 삼아 거기에다 자신을 갈고 또 갈다 보면 몇 방울의 피가 엉겨 붙는다. 그 피들을 긁어모아 놓으니, 거기에 시라는 이름이 다가와 걸릴 뿐이다. 설령 시가 아니어도 된다고 포기한 채, 자신을 학대하다 보면 오히려 빛나는 시가 태어난다. 시는 쓰는 것이 아니라 토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 「시가 잘 써지지 않는 까닭」에서
“빗방울은 그 이름을 받는 순간 낙하의 운명을 실현한다. 빗방울이 낙하하며 겪는 속도는 그가 세상을 읽는 속도와 맞먹는다. 낙하는 빗방울에게 하나의 ‘읽기’다. 빗방울은 운명처럼 대지의 어느 한쪽을 지정받아 송곳처럼 꽂히며 자신의 시선을 대지의 다양한 모습들에 구겨 넣는다.” ― 「읽기와 쓰기, 그 부단한 들락거림」에서
Contents
서문 ― 경계, 비밀스러운 탄성
1부 늑대의 털은 쓸쓸한 눈빛을 데우지 못한다
고향, 나의 까닭
금방 죽는다
불언不言의 가르침
배반의 출렁거림
우물에 물이 차오를 때
보는 사람
오직 혼자서 덤비는 눈빛
비틀기와 꼬임
약 오르면 진다
‘읽기’와 ‘쓰기’, 그 부단한 들락거림
심심하기 때문에
나를 만나는 일
경계에 선 불안을 견딜 수 있는가
‘사람’으로 산다는 것
잔소리에 대하여
원심력과 중력 사이
직職과 업業
2부 게으른 눈, 부지런한 손발
앞서기 위해 물러선다
위대함은 어디에서 오는가
철학이 의자가 되는 방법
진리냐 전략이냐
정치란 너의 혀를 굽히지 않는 것
친구를 기다리지 마라
투명한 벽
공부의 배신
덕德에 대하여
문자를 지배하는 사람 1
문자를 지배하는 사람 2
새로워지는 일
봅슬레이와 마늘 밭의 진리
신뢰에 대하여
외우기의 힘
이익(利)을 논하라
모르는 곳으로
3부 아득한 하늘이여, 이것은 누구의 탓이더냐
이탈자들
무엇부터 할 것인가
거칠고 과감하게
너 자신을 알라
돈과 자본, 부자와 자본가
혁명을 꿈꿀 때
시가 잘 써지지 않는 까닭
지식보다 지루함을
흘러야 썩지 않는다
지성의 폐허
지식인의 몰락
과거와 벌이는 전면적 투쟁
잡스러워진 손에 담아야 할 것
움직임, 그곳에서, 홀로
4부 무거운 주제에 관한 가벼운 이야기
불손함이 빚어내는 생각의 기울기
낯설고 깜짝 놀라는 그 순간 시작되는 것들
타이어가 아니라 바람일 뿐
놀이와 여가, 그 비밀스럽고 찰나적인 접촉
Author
최진석
1959년 음력 정월에 전남 신안의 하의도에서 태어나고, 유년에 함평으로 옮겨 와 그곳에서 줄곧 자랐다. 함평의 손불동국민학교와 향교국민학교, 광주의 월산국민학교, 사레지오중학교, 대동고등학교를 나왔다.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과정을 마치고 중국 헤이룽장대학교를 거쳐 베이징대학교에서 ?성현영의 ‘장자소’연구(成玄英的‘莊子疏’硏究)?(巴蜀書社, 2010)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학창 시절에 가르침을 받은 모든 선생님께 감사해 한다. 지금은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퇴임하고, 사단법인 새말새몸짓 이사장으로 있다. 쓴 책으로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2001), 『인간이 그리는 무늬』(2013),『경계에 흐르다』(2017)가 있고, 『노자의소老子義疏』(공역, 2007), 『개념과 시대로 읽는 중국사상 명강의』(2004) 등의 책을 해설하고 우리말로 옮겼다.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은 『聞老子之聲, 聽道德經解』(齊魯書社, 2013)로 중국에서 번역·출판되었다.
1959년 음력 정월에 전남 신안의 하의도에서 태어나고, 유년에 함평으로 옮겨 와 그곳에서 줄곧 자랐다. 함평의 손불동국민학교와 향교국민학교, 광주의 월산국민학교, 사레지오중학교, 대동고등학교를 나왔다.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과정을 마치고 중국 헤이룽장대학교를 거쳐 베이징대학교에서 ?성현영의 ‘장자소’연구(成玄英的‘莊子疏’硏究)?(巴蜀書社, 2010)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학창 시절에 가르침을 받은 모든 선생님께 감사해 한다. 지금은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퇴임하고, 사단법인 새말새몸짓 이사장으로 있다. 쓴 책으로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2001), 『인간이 그리는 무늬』(2013),『경계에 흐르다』(2017)가 있고, 『노자의소老子義疏』(공역, 2007), 『개념과 시대로 읽는 중국사상 명강의』(2004) 등의 책을 해설하고 우리말로 옮겼다.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은 『聞老子之聲, 聽道德經解』(齊魯書社, 2013)로 중국에서 번역·출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