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코 지나쳤던 풀과 나무의 재발견
천천히 즐기며 맛보는 숲이 주는 행복
소심하다는 작가가 쓴 대범하고 독창적이며 끌리는 해설
자꾸 눈이 가는 사진과 그림, 맛깔 나는 글로 읽는 재미 쏠쏠
숲, 풀과 나무들! 지구를 지탱하는 것들이란 생각에 다다르면 가벼이 보아 넘길 수 없다. 저자는 늘 보아왔던 풀의 이름조차 모르고 살았던 것이 미안하고 부끄러웠음을 고백한다. 쑥부쟁이와 구절초도 구별하지 못하던 저자는 일간신문 사진기자 은퇴 후 양평의 숲 학교에서 ‘세이버링’(savoring)에 눈을 뜨게 된다. 이후 숲해설가와 산림치유사 자격을 얻었다.
세이버링은 숲을 맛보는 방법이다. 우선 시간을 갖고 식물과 눈 맞추기를 한다. 다음, 미시적으로 접근하며 말을 걸어본다. 왜 그럴까, 뭘 하려고? 물음표로 시작해서 느낌표로 마칠 때까지의 과정에서 비로소 감성의 스토리가 우러나온다. 즉, 세이버링은 자신이 직접 겪는 체험이며, 상상이다. 저자의 이야기가 맛있고 남다른 이유다.
저자는 충북 진천에서 태어나 동네 앞 너른 개울에서 놀거나, 들과 숲을 헤집고 다니며 자랐다. 유년 시절의 그리움일까? 저자는 어릴 적 보아왔던 주변의 식물에 다가갔다. 그리고 환경의 변화가 극심한 인간의 마을에서 살아가기 위해 나름의 특기를 장착하고 있다는 점에 눈뜨게 된다.
저자는 수년간 밤낮과 계절의 구분 없이 풀과 나무를 관찰한 내용을 생태학적 입장에서 멋으로 드러내고, 인문학적 관점에서 맛으로 풀어냈다. 어린 왕자에서 ‘장미가 소중한 이유는 그 꽃을 위해 공들인 시간 때문’이라고 한 것처럼 잡초 취급을 받는 풀에까지 끈덕지게 달라붙어 따스한 바이오필리아(생명사랑)의 공감을 끄집어낸다. 사진쟁이의 능력을 활용하여 찍은 고화질의 사진들은 또 하나의 맛있는 대화법이다. 세밀화로 비주얼을 강화했다.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쩨쩨하지 않은 일상’에서는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며 당당하게 살아가는 식물들의 일상을 담았으며, 2부 ‘역사를 바꾼 힘’에서는 벼, 목화, 닥나무 등이 밥과 옷, 종이로 인류의 삶과 역사에 끼친 영향을 고찰했다. 마지막 3부 ‘생명의 아포리즘’에서는 생태계의 한 축을 담당하는 식물들이 다른 생물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모습과 생명에의 존중을 담았다.
숲은 맛있다. 숲 안에 머무는 감정만으로도 좋지만 깊은 맛을 보려면 허리를 숙이고 다가가야 한다. 잠시 멈추어보라. 생명의 숨소리를 들을 것이다. 저자는 와인 한 잔에서 체리 향을 느끼고 쇼팽의 운율과 대서양 푸른 바다를 떠올리듯 숲을 음미하고 즐길 것을 권한다. 직접 찍은 수려한 사진과 함께 조곤조곤 풀어내는 식물들과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울창한 수풀 속에서 행복을 느끼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Contents
책머리에_숲은 어떤 맛일까?
1부 쩨쩨하지 않은 일상
1. (너도바람꽃) 너도 바람꽃이니?
2. (엉겅퀴) 억센 줄만 알았더니 섬세함까지
3. (연꽃) 텅 빈 충만
4. (노랑망태버섯) 여왕의 은밀한 하루
5. (박쥐나무) 머리부터 발끝까지, 생각으로 가득 찬
6. (은행나무) 그가 선택한 유일한 벗 그땐 공룡, 지금은 인간
7. (자작나무) 이국을 고향 삼은 개척자
8. (생강나무) 봄 봄, 알싸한 봄
1. (참나무) 도토리 한 알은 ‘참’
2. (소나무) 우리 곁 그냥 좋은, 거시기
3. (수선화) 내가 나를 보듬지 않고서야
4. (달맞이꽃) 설법 같은 순간들
5. (제비꽃) 앉은뱅이의 재주 좀 보소
6. (쥐방울덩굴) 먹고 먹힘의 함수
7. (모과나무) 향기로운 세상을 위해, 건배!
8. (네 가지 꽃) 하루의 의미
Author
이범석
"세계일보에서 사진기자로서 퇴직했다. 양평의 숲 아카데미에서 숲 해설을 접하며 산림교육전문가의 길로 들어섰다. 쉬이 접했던 풀·꽃에서 경이를 발견하는 행복감을 무엇에 비하랴. 한 개체를 몇 년 동안 세이버링을 하다 보니 미미하지만 식물의 언어를 이해하게 되었다. 나만의 독단적 경험이긴 해도 타인의 공감 없인 무의미할까 봐서 글쓰기에 나섰다. 사진은 대화의 다른 방식이기에 정성을 다했다. 마침 거주하는 가평 설악에선 언제든 숲으로 걸어 들어갈 수 있었다. 내 글의 원천이었다. 숲해설가와 산림치유사 2급 자격을 얻었다. 과정을 위해 방송통신대학에서 농학을 공부했다. 숲을 얘기할 자격을 조금은 갖춘 셈이다. 『세이버링으로 음미한 숲은 맛있다』는 세상에 내놓는 첫 번째 결실이다. 숲을 향한 공양이라 생각한다. 생명사랑은 계속될 것이다."
"세계일보에서 사진기자로서 퇴직했다. 양평의 숲 아카데미에서 숲 해설을 접하며 산림교육전문가의 길로 들어섰다. 쉬이 접했던 풀·꽃에서 경이를 발견하는 행복감을 무엇에 비하랴. 한 개체를 몇 년 동안 세이버링을 하다 보니 미미하지만 식물의 언어를 이해하게 되었다. 나만의 독단적 경험이긴 해도 타인의 공감 없인 무의미할까 봐서 글쓰기에 나섰다. 사진은 대화의 다른 방식이기에 정성을 다했다. 마침 거주하는 가평 설악에선 언제든 숲으로 걸어 들어갈 수 있었다. 내 글의 원천이었다. 숲해설가와 산림치유사 2급 자격을 얻었다. 과정을 위해 방송통신대학에서 농학을 공부했다. 숲을 얘기할 자격을 조금은 갖춘 셈이다. 『세이버링으로 음미한 숲은 맛있다』는 세상에 내놓는 첫 번째 결실이다. 숲을 향한 공양이라 생각한다. 생명사랑은 계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