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로 읽는 우리 역사

$27.39
SKU
978897107774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0 - Thu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7 - Thu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3/10
Pages/Weight/Size 183*257*30mm
ISBN 9788971077740
Categories 대학교재 > 인문학 계열
Description
그동안의 역사서가 단순히 역사적 사실과 역사가들의 해석 위주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사료로 읽는 우리 역사』는 「탐구과제」라는 코너를 통해 관련 주제와 사건에 대한 다양한 사료를 수록해놓아 기존 역사서와는 다른 구성으로 선보였다. 역사라는 것이 단순히 다른 사람들이 해석해놓은 것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는 명제 위에서, 독자 본인 스스로 사료를 보고 이를 통해 파악되는 내용을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관련 사료를 수록해놓았던 것이다. 역사를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다른 사람이 역사책에 서술한 내용만을 역사라고 생각해서는 안 되며 역사의 근간이 되는 사료를 통해 독자 스스로 엄정한 사료 비판을 실행해야만이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새로운 시도로서 『사료로 읽는 우리 역사』가 일각에서 호평을 받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최근 근현대사 부문이 중요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근현대의 역사에 대한 주제와 관련 사료 등을 추가적으로 보강, 보완할 필요성이 생겼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좀 더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논점에 다가가기 위해 개정판 『사료로 읽는 우리 역사』를 출간하게 되었다. 그동안 개정판 『사료로 읽는 우리 역사』에 수록할 「탐구과제」의 주제를 선정하고 핵심이 되는 관련 사료를 하나하나 선별하여 이 책을 발간하였다.
Contents
개정판을 펴내면서|4

1장 역사란 무엇인가·11
1. 역사의 의미·12
2. 역사를 왜 배워야 하는가·13
3. 사료란 무엇인가·15

2장 선사시대와 국가의 성립·19
1. 선사시대·20
탐구과제 선사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는가?·26
2.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립·27
탐구과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은 어떠한 나라였는가?·31

3장 고대사회·35
1. 고대사회의 성립·36
탐구과제 백제 온조는 고구려 주몽의 아들인가?·38
2. 고대사회의 발전·45
탐구과제 4~5세기 고구려와 백제, 누가 한반도의 주도권을 장악했는가?·49
3. 6세기의 고대사회·52
탐구과제 신라는 어떻게 한강 유역을 장악했는가?·54
4. 삼국의 대외관계와 통일·57
탐구과제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으로 삼국은 통일되었는가?·59
5. 남북국시대·67
탐구과제 신문왕은 왜 녹읍을 폐지하였는가?·70
탐구과제 장보고는 어떻게 동아시아의 무역을 주도했는가?·77
탐구과제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인가·80
6. 주변국가의 고대사 왜곡·86
탐구과제 임나일본부설은 사실인가?·91

4장 고려시대·95
1. 중세사회로의 전환·96
탐구과제 왕건의 라이벌은 궁예인가, 견훤인가?·102
2. 고려의 대외 관계와 문벌 귀족사회의 동요·110
탐구과제 고려의 국제적 위상은 어떠했는가?·112
탐구과제 묘청의 난인가, 서경천도운동인가?·116
탐구과제 무신들은 왜 정변을 일으켰는가?·121
3. 대몽 항쟁·127
탐구과제 대몽항쟁의 주역은 누구였는가?·130
4. 고려후기의 변동·137

5장 조선전기·143
1. 15~16세기의 세계·144
2. 조선의 개창·145
탐구과제 조선 건국은 역성혁명인가?·148
탐구과제 조선은 왜 종묘와 사직을 소중히 여겼는가?·157
3. 통치체제의 정비·161
탐구과제 조선 초기, 왕권주의 대 신권주의 무엇이 올바른 길이었나?·167
탐구과제 사림은 누구이고, 사화는 왜 일어났는가?·175
4. 조선전기의 문화·182
탐구과제 기록의 나라 조선, 역사 편찬 작업은 무엇을 추구하였는가?·183
탐구과제 조선시대 세종은 왜 장영실을 통해 자격루를 만들었는가?·186
5. 조선전기의 대외관계와 임진전쟁·190
탐구과제 임진전쟁 극복의 주역은 누구였는가?·196

6장 조선후기·207
1. 임진전쟁 이후의 정국변화와 청의 침략·208
탐구과제 인조반정(仁祖反正), 진정 반정(反正)인가?·210
탐구과제 병자호란 당시 주전파와 주화파, 무엇이 올바른 길이었는가?·217
2. 붕당정치의 격화와 탕평책·221
탐구과제 붕당정치(朋黨政治)인가? 당쟁(黨爭)인가?·225
탐구과제 영조·정조는 성군이었는가?·235
3. 경제구조의 변화와 사회변동·241
탐구과제 홍경래의 난과 임술농민봉기는 왜 일어나게 되었는가?·249
4. 실학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253
탐구과제 실학자들이 추구한 목표는 진정 실현되었는가?·258

7장 근대사회·265
1. 쇄국 정책과 개화 운동·266
탐구과제 흥선대원군의 왕권강화 정책은 성공하였는가?·267
탐구과제 개화파 대 위정척사파 무엇이 올바른 길이었나?·273
2. 근대 변혁운동의 전개·285
탐구과제 동학농민운동의 의의와 한계는 무엇인가?·286
탐구과제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은 성공했는가?·297
3. 독립협회운동과 대한제국 수립·302
탐구과제 대한제국의 광무개혁은 성공하였는가?·306
4. 개항 이후의 경제와 사회·310
5. 국권피탈과 항일의병·314
탐구과제 대한제국이 맺은 조약은 합법적이었는가?·316
탐구과제 항일의병운동은 실패했는가?·321
6. 일제의 식민통치·325
탐구과제 일제의 무단통치는 성공했는가?·327
탐구과제 일제의 문화통치란 무엇인가?·331
탐구과제 일제가 왜 민족말살정책을 실시했는가?·339
7.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342
탐구과제 대한민국 임시정부 어떻게 볼 것인가?·346
탐구과제 의열단과 무장투쟁론이 한국독립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356

8장 현대사회·369
1. 현대사회의 성립·370
2. 4·19혁명·372
3. 5·16쿠데타와 유신체제·374
탐구과제 산업화의 명과 암·377
4. 민주화 운동·383
탐구과제 한국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386
5. 민주주의의 진전과 통일을 위한 노력·396
탐구과제 통일을 위한 노력·397

·찾아보기·406
Author
홍성화,이도남,권만용,송영대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나 배재고, 연세대를 졸업하고 고려대 사학과에서 고대한일관계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역사연구소 및 일본연구센터 연구교수, MBC 특집 다큐 "페이퍼 로드" 자문위원을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부교수로 재직하면서 충청북도 문화재 전문위원, 충주박물관 운영위원, (재)중원문화체육진흥재단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고대사에 관한 한국과 일본 역사학계 양쪽의 분석틀을 비판하고 새로운 고대사상(像)을 제시하고자 관련 연구 활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하사인가 헌상인가의 논쟁이 있었던 칠지도(七支刀)와 관련해서는 적외선 사진에 나타난 새로운 글자를 통해 독창적인 해석과 분석을 도출하여 고대한일관계사상이 전면적으로 수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역설하기도 했다. 역사가 몇몇 학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과 호흡하는 학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교류에 작은 몫이라도 기여하는 연구자 겸 실천가가 되기를 희망하면서, 틈나는 대로 우리 땅을 비롯해 동아시아 곳곳을 톺아보며 열심히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나 배재고, 연세대를 졸업하고 고려대 사학과에서 고대한일관계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역사연구소 및 일본연구센터 연구교수, MBC 특집 다큐 "페이퍼 로드" 자문위원을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부교수로 재직하면서 충청북도 문화재 전문위원, 충주박물관 운영위원, (재)중원문화체육진흥재단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고대사에 관한 한국과 일본 역사학계 양쪽의 분석틀을 비판하고 새로운 고대사상(像)을 제시하고자 관련 연구 활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하사인가 헌상인가의 논쟁이 있었던 칠지도(七支刀)와 관련해서는 적외선 사진에 나타난 새로운 글자를 통해 독창적인 해석과 분석을 도출하여 고대한일관계사상이 전면적으로 수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역설하기도 했다. 역사가 몇몇 학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과 호흡하는 학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교류에 작은 몫이라도 기여하는 연구자 겸 실천가가 되기를 희망하면서, 틈나는 대로 우리 땅을 비롯해 동아시아 곳곳을 톺아보며 열심히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