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윤리문화사

$29.16
SKU
978897105812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1/09/30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71058121
Categories 인문 > 윤리학
Description
윤리문화는 단지 일시적으로 한 시대와 지역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윤리성을 토대로 전개된 윤리적 삶의 양식들의 총체이기 때문에, 그것은 인간 삶의 지속성과 역사성을 갖는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물질문화와 기술문명의 급속한 발달로 가치변화와 사회변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병리현상을 치유할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역사적으로 인류문화는 타문화의 영향 속에서 해당 민족의 독자적인 정신을 유지하며 조화롭게 보편윤리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민족문화 속에서 윤리문화가 발전하고, 인류의 정신문화와 보편가치가 확대·발전하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인간가치의 근본이 무너지는 지금의 상황을 극복해 보고자 시작한 것이다.
Contents
서장
1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2 선행연구 검토와 내용체계

제1부 동서양 윤리문화 이해와 한국사회의 윤리문제

1장 윤리문화 이해를 위한 기본개념
1 도덕적 가치의 인격화
2 윤리의 진위성과 윤리적 기준의 삶
3 삶의 지혜로서의 윤리문화
4 가치와 윤리
5 절대론적 윤리의 회의
6 도덕의 기준
7 도덕적 판단에 있어 자연주의와 합리주의

2장 동서 가치규범의식의 변천
1 가치의 상대성과 절대성의 특성
2 동양의 가치규범의식의 변천
3 서양의 가치규범의식의 변천
4 동서양의 규범문화에 나타난 정의윤리

3장 유교윤리와 기독교윤리 비교
1 유교와 기독교윤리에서 인간이해 비교의 중요성
2 유교와 기독교에서의 인간이해
3 인간관계의 윤리
4 정치사회 윤리

4장 성숙된 한국사회 윤리문화를 위한 현안과제
1 동서 정의철학과 한국사회의 정의문화 과제
2 지식정보화시대 가치문화의 혼돈과 윤리적 대응
3 반부패의식과 제도로서 청백리의 규범문화
4 생명과학의 도전과 인간의 정체성 문제
5 정보화시대의 청소년가치관 교육

제2부 한국의 윤리문화사 - 보편윤리이념과 실천문화유형의 탐색

1장 한국윤리문화의 개관
1 윤리문화의 개념화
2 한국 전통윤리문화 내용 개관
3 한국 전통윤리의 종교 문화적 특징
4 주요 민족종교에 나타난 상생가치 윤리의식

2장 고대 윤리사상
1 건국시대의 윤리문화 - 단군신화의 윤리사상적 이해
2 『천부경』에 대한 민족윤리사상의 원리 재조명
3 홍익인간의 윤리문화
4 홍범구주와 전통적인 팔조법

3장 삼국시대 윤리사상
1 고구려시대 통치이념과 지도자상
2 백제의 유불윤리문화
3 신라의 공동체 윤리문화
4 통일신라의 통합윤리사상

4장 고려시대의 윤리사상
1 정치윤리문화
2 문치정책과 윤리교화
3 유불문화의 혼재와 사회적 기능의 한계
4 통치윤리의 부재와 혼란
5 유교윤리의 회복과 선비상의 구현

5장 조선시대의 윤리사상
1 숭유억불정책을 통한 새로운 윤리사상 확립
2 조선 창건 통치윤리의 기본방향
3 세종시대 윤리문화 부흥
4 성리학적 윤리문화 발전
5 실학의 윤리문화

6장 근대 서구의 도전과 응전시대의 윤리문화
1 서구사상의 유입과 위정척사에 나타난 민족의 정신문화
2 동학사상에 나타난 주체적인 응전의 윤리문화
3 개화사상과 윤리문화
4 독립운동과 민주시민 윤리문화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이서행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윤리학 전공 교수. 동국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단국대학교와 미국 트리니티신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델라워어대학교, 중국 연변대학교, 김일성종합대학교 등에서 초빙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민주평통자문위원회와 남북학술교류협의회 대표, 한국윤리학회 고문 등을 맡고 있다. 『분단시대의 북한상황』『한국,한국인,한국정신』『청백리 정신과 공직윤리』『새로운 북한학-분단시대통일문화를 위하여』『한반도 분단극복을 위한 정치리더십』『분단재조명-대립과 갈등을 넘어』등의 저서와 「전통적 가치관의 단절과 사회문화적 혼란」「정보사회에서의 윤리」「한민족 통일문화 형성의 방향」「김정일 이후 북한체제변화와 한반도 통일안보전망」「충효예의 현대적 이해」「한국전통사회의 공직윤리와 반부패시스템」등의 논문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윤리학 전공 교수. 동국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단국대학교와 미국 트리니티신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델라워어대학교, 중국 연변대학교, 김일성종합대학교 등에서 초빙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민주평통자문위원회와 남북학술교류협의회 대표, 한국윤리학회 고문 등을 맡고 있다. 『분단시대의 북한상황』『한국,한국인,한국정신』『청백리 정신과 공직윤리』『새로운 북한학-분단시대통일문화를 위하여』『한반도 분단극복을 위한 정치리더십』『분단재조명-대립과 갈등을 넘어』등의 저서와 「전통적 가치관의 단절과 사회문화적 혼란」「정보사회에서의 윤리」「한민족 통일문화 형성의 방향」「김정일 이후 북한체제변화와 한반도 통일안보전망」「충효예의 현대적 이해」「한국전통사회의 공직윤리와 반부패시스템」등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