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경학과 경세학

$32.40
SKU
978897092767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2/25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70927671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정약용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경학자이자 경세학자였다. 그는 경학 연구를 통해 유학 경전에 나타나는 옛 성인의 제도를 이해하고, 이를 당대 현실에 맞게 적용할 방안을 마련하는 데 경세학 연구의 목표를 두었다.

이 책은 총설과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총설에서는 정약용의 경학과 경세학에 나타나는 특징을 정리하였다. 제1부 ‘경학 텍스트 연구’는 『정본 여유당전서』를 편찬하는 사업에 참여하면서 작성한 논문들을 실었고, 제2부 ‘경학 연구’에서는 십삼경 전체와 『상서』 백편에 대한 이해, 고증학 성과의 수용, 경학 해석을 둘러싼 논쟁을 다루었다. 제3부 ‘경세학 연구’에서는 경학 연구가 경세학으로 연결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정약용은 자신처럼 치민의 역량을 갖춘 사족이 관리가 되어 백성을 다스리는 사회를 꿈꾸었고, 그런 인재를 발탁할 수 있는 유능한 국왕이 나오기를 기다렸다. 벼슬길에서 밀려난 정약용은 능력을 갖춘 인재들이 관리로 선발되고 민생을 안정시킬 수 있는 경세 방안을 마련하고, 그런 방안을 제시하여 실천되기를 기대하는 것이 치민을 맡은 사족으로서의 책무를 다하는 길이라 생각하였다. 이 책에서 다룬 정약용의 경학과 경세학 연구는 그러한 노력의 산물이었다.
Contents
인사의 말 / 5

총설 : 정약용 학문의 특징 / 13

제1부 경학 텍스트 연구

제1장 『여유당전서』의 경집 체제 / 25
제2장 필사본 『상서』 주석서의 계열 / 53
제3장 『상서지원록』의 원문 비교 / 100

제2부 경학 연구
제1장 십삼경의 이해 / 135
제2장 『상서』 백편의 이해 / 168
제3장 모기령 경학의 비판과 수용 / 192
제4장 경학 저술의 연구 방법 / 216
제5장 경기학인의 경학 논쟁 / 252

제3부 경세학 연구
제1장 육향제의 이해 / 283
제2장 태학지도의 이해 / 330
제3장 향례의 이해 / 363
제4장 『경세유표』의 제도개혁안 / 399
제5장 『경세유표』의 인재선발론 / 439

부록 : 다산학 연구의 동향(2003~2008) / 485
Author
김문식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장, 한국고전번역학회 회장, 성호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으로 있다. 조선의 경학사상, 조선후기 사상가, 정조 시대, 국왕 교육, 국가 전례, 대외인식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였으며, 최근에는 조선시대의 국가 전례 및 왕실 문화에 나타나는 예악 국가로서의 특징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정조의 제왕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 『왕세자의 입학식』, 『정조의 생각』, 『조선 왕실의 외교의례』, 『원행을묘정리의궤』 등이 있다. 공저로는 『조선의 왕세자 교육』,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조선 국왕의 일생』, 『왕실의 천지제사』, 『즉위, 국왕의 탄생』,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 『국왕 리더십의 유형과 실제』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장, 한국고전번역학회 회장, 성호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으로 있다. 조선의 경학사상, 조선후기 사상가, 정조 시대, 국왕 교육, 국가 전례, 대외인식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였으며, 최근에는 조선시대의 국가 전례 및 왕실 문화에 나타나는 예악 국가로서의 특징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정조의 제왕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 『왕세자의 입학식』, 『정조의 생각』, 『조선 왕실의 외교의례』, 『원행을묘정리의궤』 등이 있다. 공저로는 『조선의 왕세자 교육』,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조선 국왕의 일생』, 『왕실의 천지제사』, 『즉위, 국왕의 탄생』,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 『국왕 리더십의 유형과 실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