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사 25사(史) 가운데 우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금나라의 역사를 담은 ‘금사(金史)’를 단국대학교출판부에서 전 4권으로 완역 간행하였다. 몽골과 요금(遼·金)을 비롯한 북방문화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단국대 북방문화연구소’(연구소장 이성규)가 총 135권 규모의 ‘금사’를 5년에 걸쳐 단순 번역을 뛰어넘어 원문과 상세한 주석까지 겸비한 결과이다.
『금사』는 대원제국의 관리들이 『요사』, 『송사』 등과 함께 편찬한 3대 사서 중의 하나이다. 편찬 시기는 혜종(惠宗, 명나라에서는 ‘순제(順帝)’라고 표기)의 칙명을 받아 지정(至正) 3년(1343) 4월부터 다음해 11월까지의 1년 8개월이다. 그 구성을 보면 본기(本紀) 19권, 지(志) 39권, 표(表) 4권, 열전(列傳) 73권, 금국어해(金國語解) 1편(篇) 등 총 135권으로, 120(1125~1234)년간 존속하며 10명의 황제를 배출한 금나라 역사를 망라하고 있다.
지(志)
권20 지 제1 천문(天文) 537
권21 지 제2 역(曆) 상 559
권22 지 제3 역(曆) 하 594
권23 지 제4 오행(五行) 641
권24 지 제5 지리(地理) 상 658
권25 지 제6 지리(地理) 중 693
권26 지 제7 지리(地理) 하 729
권27 지 제8 하거(河渠) 765
國譯 金史 2
권28 지 제9 예(禮) 1 11
권29 지 제10 예(禮) 2 36
권30 지 제11 예(禮) 3 52
권31 지 제12 예(禮) 4 77
권32 지 제13 예(禮) 5 101
권33 지 제14 예(禮) 6 115
권34 지 제15 예(禮) 7 133
권35 지 제16 예(禮) 8 145
권36 지 제17 예(禮) 9 163
권37 지 제18 예(禮) 10 184
권38 지 제19 예(禮) 11 202
권39 지 제20 악(樂) 상 222
권40 지 제21 악(樂) 하 241
권41 지 제22 의위(儀衛) 상 270
권42 지 제23 의위(儀衛) 하 297
권43 지 제24 여복(輿服) 317
권44 지 제25 병(兵) 341
권45 지 제26 형(刑) 365
권46 지 제27 식화(食貨) 1 384
권47 지 제28 식화(食貨) 2 403
권48 지 제29 식화(食貨) 3 436
권49 지 제30 식화(食貨) 4 467
권50 지 제31 식화(食貨) 5 492
권51 지 제32 선거(選擧) 1 512
권52 지 제33 선거(選擧) 2 543
권53 지 제34 선거(選擧) 3 561
권54 지 제35 선거(選擧) 4 583
권55 지 제36 백관(百官) 1 610
권56 지 제37 백관(百官) 2 641
권57 지 제38 백관(百官) 3 670
권58 지 제39 백관(百官) 4 704
표(表)
권59 표 제1 종실표(宗室表) 727
권60 표 제2 교빙표(交聘表) 상 747
권61 표 제3 교빙표(交聘表) 중 768
권62 표 제4 교빙표(交聘表) 하 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