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자살가게

$9.72
SKU
9788970635682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7/10/29
Pages/Weight/Size 137*195*20mm
ISBN 9788970635682
Description
시나리오 작가이자 배우로서도 활약한 장 퇼레의 소설 『자살가게』는 프랑스적 엽기와 유머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소재로 삼고 있는 ‘자살가게’의 모토는 절망에 시달리는 사람들에게 더 이상의 실패 없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죽음의 길로 접어드는 데 성공할 수 있도록 자살도구를 선사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가문 대대로 이어져오고 있는 이 독특한 상점의 쇼핑백 광고 문구 또한 그냥 무심코 지나칠 만하지 않다.
실패한 삶을 사셨습니까? 당신의 죽음만큼은 성공을 보장해드리겠습니다!
이 책은 한마디로 우울 무드에 사로잡힌 독자들로 하여금 ‘자살가게’의 고객이 되어 발칙한 유머에 마음껏 휘둘릴 수 있게 해준다.
Author
장 퇼레,성귀수
프랑스의 저널리스트이자 작가. 시나리오 작가이면서 희극배우, 영화배우로도 활약하는 등 다양한 면모를 갖춘 장 퇼레는 텔레비전 방송 분야에 종사하기 이전 만화를 그리기도 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그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글쓰기이다. 출간 이후 영화로 각색이 된 『랭보를 위한 무지개Rainbow pour Rimbaud』(1991)를 시작으로 『달링Darling』(1998), 『오 베를렌O Verlaine』(2004), 『자살가게Le Magasin des suicides』(2007) 등 이미 10여 편의 소설을 발표하였다. 그 가운데 『나, 프랑수아 비용Je, Fran?ois Villon』(2006, Julliard)은 ‘전기(傳記)소설 상(Prix du r?cit biographique)’을 수상하기도 하였으며 『달링』은 영화화되어(크리스틴 카리에르 연출) 2007년 가을에 개봉되었다.

이후로도 그는 꾸준히 문학작품 활동에 전념해오면서 2008년 『몽테스팡Le Montespan』이라는 기발한 역사소설을 펴내 평단의 호평을 이끌어내고 있다.
『중력의 법칙Les lois de la gravit?』은 장 퇼레가 『달링』이나 『오랜 고통Longues Peines』 등 자신의 가장 아름다운 소설들에서 이미 다룬 적이 있는 수수께끼 같은 인간의 마음을 또다시 치밀하게 천착해 들어간 작품이다.
프랑스의 저널리스트이자 작가. 시나리오 작가이면서 희극배우, 영화배우로도 활약하는 등 다양한 면모를 갖춘 장 퇼레는 텔레비전 방송 분야에 종사하기 이전 만화를 그리기도 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그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글쓰기이다. 출간 이후 영화로 각색이 된 『랭보를 위한 무지개Rainbow pour Rimbaud』(1991)를 시작으로 『달링Darling』(1998), 『오 베를렌O Verlaine』(2004), 『자살가게Le Magasin des suicides』(2007) 등 이미 10여 편의 소설을 발표하였다. 그 가운데 『나, 프랑수아 비용Je, Fran?ois Villon』(2006, Julliard)은 ‘전기(傳記)소설 상(Prix du r?cit biographique)’을 수상하기도 하였으며 『달링』은 영화화되어(크리스틴 카리에르 연출) 2007년 가을에 개봉되었다.

이후로도 그는 꾸준히 문학작품 활동에 전념해오면서 2008년 『몽테스팡Le Montespan』이라는 기발한 역사소설을 펴내 평단의 호평을 이끌어내고 있다.
『중력의 법칙Les lois de la gravit?』은 장 퇼레가 『달링』이나 『오랜 고통Longues Peines』 등 자신의 가장 아름다운 소설들에서 이미 다룬 적이 있는 수수께끼 같은 인간의 마음을 또다시 치밀하게 천착해 들어간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