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남자]는 한나라 초기 유안劉安이 수천 명에 이르는 빈객들과 함께 이루어낸 당대 지식의 총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적 다양성 때문에 [회남자]는 한편에서는 잡가雜家에 속하는 책이라는 평가를 받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한나라 초기 제자백가의 사상을 포용하고 통합한 철학서라는 평가를 받는다. 책이 만들어진 당시에는 내서 21편과 외서 33편, 중서 8편이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 전하고 있는 것은 내서 21편이다. 본서는 내서 전편을 완역하면서 원문과 중요 자구에 대한 해설, 원문자구 색인을 덧붙여 공부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Contents
제11권 제속훈齊俗訓_ 21
1. 인의仁義가 서면 도덕道德이 옮겨진다_ 23
2. 노魯나라를 어떻게 다스리겠는가?_ 26
3. 요임금 때 순舜임금이 사도司徒가 되다_ 32
4. 사람이 본성을 잃게 되면…_ 37
5. 예는 진실의 문채이다_ 43
6. 몸은 도道가 의탁하는 곳이다_ 49
7. 근본은 지극히 커서 형체가 없다_ 55
8. 먹줄은 곧은 것을 만든다_ 59
9. 다스려진 세상의 형태는 지키기 쉽다_ 65
10. 도덕은 해와 달과 같은 것이다_ 69
11. 새는 보금자리를 지킨다_ 76
12. 세상이 어지러워지면 군자라도 간사해진다_ 80
제12권 도응훈道應訓_ 85
1. 태청太淸이 무궁無窮에게 묻다_ 87
2. 혜자惠子가 국가의 법을 만들다_ 91
3. 백공승白公勝이 초나라를 빼앗다_ 93
4. 하루아침에 2개의 성城을 함락시키다_ 97
5. 사람의 자질을 잘 헤아려야 성공한다_ 101
6. 속금贖金하고 사례를 받지 않은 자공子?_ 103
7. 적인翟人이 국토를 요구하다_ 107
8. 이로운 그릇은 남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_ 111
9. 군자는 남의 이익에 편승하지 않는다_ 114
10. 백락伯樂이 구방인을 천거하다_ 118
11. 국가의 치욕을 받는 자가 사직의 주인이다_ 120
12. 형혹성은 하늘의 징벌이다_ 123
13. 자발子發이 채蔡나라를 공격하다_ 127
14. 세 가지 원망이 있는 것을 아는가?_ 129
15. 윤일尹佚과의 정치에 관한 문답_ 133
16. 안회顔回의 좌망坐忘이란…_ 137
17. 노오盧敖가 놀 때 선비를 만나다_ 142
18. 망량罔兩이 그림자에게 물었다_ 146
19. 삶을 위하지 않는 것이 더 현명하다_ 150
20. 그대의 술術로 무엇을 하겠는가?_ 153
21. 공자孔子가 사당을 살피다_ 158
제13권 범론훈氾論訓_ 163
1. 투구와 한 벌의 옷으로 왕자가 되다_ 165
2. 혼례에서는 주인을 일컫지 않는다_ 168
3. 이러한 것이 바른 다스림이다_ 172
4. 옛날은 순박한 세상이었다_ 174
5. 화和보다 큰 것이 없다_ 179
6. 한쪽 모퉁이를 가리키는 것만을 보다_ 183
7. 국가가 존재하는 것은 도덕 때문이다_ 187
8. 말에는 반드시 믿음이 있어야 한다_ 192
9. 까치는 다가올 일을 안다_ 196
10. 한 치를 굽혀 한 자를 펴다_ 199
11. 요임금, 순임금도 작은 과실은 있었다_ 204
12. 사람을 비교하는 일은 쉽지 않다_ 207
13. 조양자趙襄子는 상을 잘 주었다_ 210
14. 선善만큼 하기 쉬운 것이 없다_ 213
15. 암컷과 수컷이 서로 교접하면…_ 218
16. 우물, 부뚜막, 문, 빗자루에 제사를 지내는 이유_ 222
제14권 전언훈詮言訓_ 229
1. 이러한 사람을 진인眞人이라고 한다_ 231
2. 다스림은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_ 234
3. 다 주면 또다시 얻는 것이다_ 238
4. 성인聖人은 있는 것만을 지킨다_ 241
5. 지혜를 쓰지 않는 것은 없는 것과 같다_ 244
6. 하는 것이 없어도 스스로 다스려지는 것_ 248
7. 지혜를 좋아하는 것은 술수가 다한 것이다_ 251
8. 삼대의 도는 따르는 것이었다_ 256
9. 군주가 인仁을 좋아하게 되면…_ 260
10. 조용한 것이 소란스런 것을 이긴다_ 263
11. 많은 것을 거느리는데 불가한 것은…_ 266
12. 명령을 많이 내리면 혼란스러워진다_ 269
13. 성인은 뒤에 하고 앞서지 않는다_ 271
제15권 병략훈兵略訓_ 275
1. 군사는 백성의 해로운 것을 제거한다_ 277
2. 남을 위하는 자는 모두가 따른다_ 282
3. 전쟁에는 세 가지 요체가 있다_ 289
4. 전쟁의 승패는 정치에 달려 있다_ 292
5. 사방 70리로 왕자王者가 되다_ 298
6. 군사는 의심하면 패배하게 된다_ 302
7. 무형無形으로 유형有形을 제재한다_ 307
8. 뛰어난 장수의 용병술_ 310
9. 은밀히 논의하는 것은 천도天道이다_ 314
10. 하늘의 수는 좌청룡左靑龍 우백호右白虎이다_ 317
11. 뛰어난 장수의 용병술_ 320
12. 군주가 백성에게 바라는 것 두 가지_ 323
13. 오살五殺로 응대하는 용병술_ 327
14. 장군은 홀로 보고 홀로 알아야 한다_ 330
15. 국가에 어려움이 있게 되면…_ 333
제16권 설산훈說山訓_ 337
1. 도道란 어떤 형태인가?_ 339
2. 작은 배움이 없다면 크게 미혹되지 않는다_ 341
3. 다스리는 것은 말로 하지 않는다_ 344
4. 진성자陳成子가 자연첩을 협박하다_ 347
5. 성인은 바람이 부는 데도 먼저 하지 않는다_ 352
6. 천년 된 소나무에 복령茯?이 있다_ 356
7. 염색할 때에는 파란색을 먼저 한다_ 359
8. 막야도 부러지면 고기도 자르지 못한다_ 364
9. 초나라 왕이 흰 원숭이를 사랑하다_ 367
10. 새는 그물의 한 코에 걸린다_ 371
11. 기와를 만들어 지붕을 덮다_ 376
12. 순백粹白의 여우는 없다_ 379
13. 장왕莊王이 이사里史를 처형하다_ 382
제17권 설림훈說林訓_ 387
1. 한 시대의 제도制度란…_ 389
2. 지극한 말은 꾸미지 않는다_ 392
3.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_ 395
4. 젖을 먹이는 개는 호랑이도 물어뜯는다_ 399
5. 여드름을 짜다 종기가 나게 하는 일_ 403
6. 진주는 병든 조개에서 생긴다_ 406
7. 나국?國에서는 새나 짐승이 피하지 않는다_ 409
8. 옛날에 만든 것이라도 나쁜 것이 있다_ 413
9. 보조개가 이마에 있다면 추할 것이다_ 417
10. 학鶴은 천년의 수를 누린다_ 421
11. 성인聖人은 음陰에 처한다_ 424
12. 도공陶工이 새끼줄을 버리면…_ 428
제18권 인간훈人閒訓_ 433
1. 이러한 것을 마음이라고 한다_ 435
2. 천하에는 세 가지 위험이 있다_ 438
3. 양호陽虎가 노나라를 어지럽히다_ 442
4. 신하들이 피하는 것과 힘쓰는 것_ 445
5. 음덕陰德에는 양보陽報가 있다_ 450
6. 이것이 새옹지마塞翁之馬의 유래이다_ 454
7. 만세萬歲를 위한 이로운 것이란…_ 459
8. 공로가 있는데도 죄를 받는 경우가 있다_ 464
9. 목공穆公이 정鄭나라를 침공하다_ 468
10. 진晉나라의 여섯 장수들_ 471
11. 성인은 작은 일에도 조심한다_ 477
12. 재앙은 작은 것에서 시작된다_ 480
13. 자주子朱가 태재 자리를 떠나다_ 485
14. 진秦을 멸망시킬 자는 호胡이다_ 489
15. 망령된 말이 도리어 합당할 때가 있다_ 494
16. 의를 행하다 멸망한 서나라_ 498
17. 당랑(사마귀)이 수레바퀴에 덤벼들다_ 501
18. 성인은 일을 행함에 걱정하지 않는다_ 505
19. 거실이 크면 슬퍼진다_ 508
20. 같은 것이 아닌데 옳은 것이란…_ 512
제19권 수무훈脩務訓_ 517
1. 무위無爲는 소리가 없는 것이다_ 519
2. 성인聖人이 지위에 오르는 것은…_ 522
3. 행동을 달리해도 이치에 합하는 것_ 527
4. 학자들을 비난할 것이 많아지다_ 531
5. 말은 풍속에도 동일한 것이다_ 535
6. 요순도 기술자의 능력에는 미치지 못한다_ 539
7. 힘쓰지 않고 성공한 사람은 없다_ 543
8. 명성은 일에서 얻어지는 것이다_ 545
9. 백아가 거문고 현을 끊어버렸다_ 549
10. 임기응변의 말로 군주의 권력을 빼앗다_ 552
11. 초나라 경양왕頃襄王의 검劍_ 553
12. 쉽게 이루어지는 일은 명성이 작다_ 557
제20권 태주훈泰族訓_ 561
1. 이러한 것을 신명神明이라고 한다_ 563
2. 고종高宗은 3년 동안 말을 하지 않았다_ 565
3. 만물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_ 569
4. 3천의 군사로 하夏왕조를 무너뜨리다_ 572
5. 삼參과 오五란 무엇인가?_ 576
6. 신농씨가 거문고를 만들다_ 580
7. 관저關雎의 시詩는 새에서 비롯했다_ 584
8. 일이 쪼개지면 다스리기가 어렵다_ 588
9. 물의 본성은 온순하고 맑다_ 594
10. 공자의 제자는 3천 명이었다_ 597
11. 굽히는 것은 펴기 위한 것이다_ 602
12. 다스림의 근본은 편안케 하는 데 있다_ 605
13. 천하를 둔다는 것은 마음을 얻는 것이다_ 609
14. 천하보다도 크고 태산보다도 높은 것_ 613
15. 도道에서는 형체가 있는 것이 태어난다_ 616
16. 오제五帝와 삼왕三王의 도_ 620
17. 태어나는 것을 보고 돌아갈 곳을 안다_ 623
18. 사람을 사랑하는 것보다 큰 것은 없다_ 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