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먼 곳의 벗들이 찾아온다면 … 20
2. 사회를 정화(淨化)할 수 있는 효자 … 21
3. 아첨하는 사람은 어질지 않다 … 21
4. 매일 3번 자신을 반성한 증자(曾子) … 22
5. 정치는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 22
6. 자신의 도리를 다하고 글을 배운다 … 23
7. 효(孝)?충(忠)?신(信)이 곧 학문 … 23
8. 자기보다 나은 사람을 벗으로 … 24
9. 민중(民衆)의 인심이 두터워지려면 … 24
10. 남과 다른 희망사항 … 25
11. 효자는 아버지의 뜻과 행동을 따른다 … 25
12. 예절은 조화가 있어야 한다 … 26
13. 약속은 의리의 범위 내에서 … 26
14. 군자는 배부른 것을 바라지 않아 … 27
15. 시를 논할 수 있는 제자 자공(子貢) … 27
16. 먼저 남을 알아야 한다 … 28
제2편 위정(爲政) / 29
1. 정치는 덕(德)으로 해야 한다 … 30
2. 3백편의 시경을 한마디로 평하면 … 30
3. 법률과 형벌로 다스리면 수치(羞恥)를 모른다 … 31
4. 공자는 50에 천명(天命)을 알았다 … 31
5. 부모를 예로써 섬기는 것이 효도 … 32
6. 안회는 어리석은 사람이 아니다 … 33
7. 사람됨됨이를 아는 방법 … 34
8. 옛것을 익힌 후에 새로운 것을 받아들여야 … 34
9. 두루 통하는 군자의 덕 … 35
10.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라 … 36
11. 녹(祿)을 구하는 방법 … 37
12. 백성을 진심으로 복종시키려면 … 38
13. 윗사람으로서의 행동거지 … 38
14. 정치(政治)란 어떤 것인가 … 39
15. 사람이라면 신의가 있어야 … 39
16. 영원히 번영할 수 있는 비법 … 40
17. 의(義)를 행하려면 용기가 있어야 … 41
제3편 팔일(八佾) / 43
1. 분수에 맞는 생활이 필요하다 … 44
2. 인(仁)은 모든 것의 근본이다 … 45
3. 예(禮)의 근본을 밝히다 … 45
4. 군주(君主)가 차지하는 비중은 … 46
5. 계씨가 태산에서 제를 지내다 … 46
6. 예의를 갖춘 군자의 경쟁 … 47
7. 덕(德)을 갖추어야 예(禮)가 따른다 … 48
8. 문헌은 중요한 역사적 증거이다 … 49
9. 천하의 일은 신중히 다루어야 … 49
10. 제사에는 진심과 정성을 다하라 … 50
11. 권력자를 섬김은 옳지 않다 … 50
12. 찬란히 빛나는 문화의 정통 … 51
13. 그렇게 하는 것이 예(禮)다 … 52
14. 근본을 살핀 옛날의 도(道) … 52
15. 예를 다하는 곳에 바른 길이 있다 … 53
16. 감정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 54
17. 이미 지난 일은 탓하지 말라 … 54
18. 관중(管仲)은 소인이다 … 55
19. 공자가 음악(音樂)을 말하다 … 56
20. 공자는 위대한 스승이다 … 57
21. 음악의 근본은 미(美)와 선(善)이다 … 57
22. 윗사람은 관대함과 사랑을 가져야 … 58
제4편 이인(里仁) / 59
1. 지혜로운 사람의 선택은 … 60
2. 사람의 허물은 그 종류에 따라 다르다 … 61
3. 도를 터득하려는 절실한 마음 … 62
4. 군자는 덕을 쫓고, 소인은 재물을 쫓는다 … 63
5. 나라를 다스리는데 필요한 것 … 64
6.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라 … 64
7. 공자의 도는 충(忠)과 서(恕) … 65
8. 군자는 의리요, 소인은 이익이다 … 65
9. 부모를 잘 봉양하는 방법 … 66
10. 말과 행동의 일치가 중요하다 … 67
11. 실수하지 않는 자의 행동 … 67
12. 덕(德)은 외롭지 않다 … 68
13. 충고는 적당히 해야 한다 … 68
제5편 공야장(公冶長) / 69
1. 공자의 사위가 된 공야장 … 70
2. 군자가 군자를 만든다 … 71
3. 공자가 여러 제자들을 평하다 … 71
4. 사람의 내면은 겉으로는 알 수 없다 … 74
5. 안회(顔回)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 … 75
6. 사람을 살필 때는 말과 행실을 본다 … 76
7. 욕심은 의지를 약화시킨다 … 77
8. 깊은 진리는 말로써 전달되는 것이 아니다 … 78
9. 공문자(孔文子)의 좋은 점을 취하다 … 79
10. 군자의 도 4가지를 갖춘 자산(子産) … 80
11. 교제에는 공경하는 일이 제일이다 … 80
12. 장문중은 대부라도 지혜롭지 못하다 … 81
13. 충성과 청렴이 인(仁)은 아니다 … 81
14. 지나친 생각은 행동을 구속한다 … 83
15. 어리석음도 충성하는 길 … 83
16. 내 고향으로 돌아가리라 … 84
17. 백이?숙제는 원망하는 일이 드물었다 … 84
18. 남을 속이는 것은 부끄러운 일 … 85
19. 공자가 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 … 86
20. 스스로 반성하는 일이 어렵다 … 87
21.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다 … 87
제6편 옹야(雍也) / 89
1. 임금의 자리에 오를 수 있는 조건 … 90
2. 제자 가운데 누가 제일 학문을 좋아합니까 … 91
3. 군자는 부유한 자를 돕지 않는다 … 91
4. 배경보다 사람됨됨이가 중요하다 … 93
5. 안회는 석달 동안 인(仁)을 어기지 않아 … 94
6. 사람마다 각자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 94
7. 비난 받는 자의 밑에서는 벼슬하지 않는다 … 95
8. 이 사람이 이런 병에 걸리다니 … 96
9. 누추한 생활에서도 자락(自樂)하는 안회(顔回) … 97
10. 자신의 능력을 한계 짓지 말라 … 97
11. 자하(子夏)에게 군자답도록 당부하다 … 98
12. 공(公)과 사(私)를 분별할 줄 아는 담대멸명 … 99
13. 공을 자랑하지 않는 맹지반(孟之反) … 99
14. 지금의 난세(亂世)를 모면하려면 … 100
15. 도를 행하려 하지 않는 사람들 … 101
16. 조화를 이루어야만 군자다 … 101
17. 곧은 삶이 인간 본연의 모습 … 101
18. 도(道)를 즐기는 사람이란 … 102
19. 지혜로운 자와 어진 자 … 103
20. 예절을 중시하는 노나라를 높이 평가 … 104
21. 이치에 맞는 말을 군자는 믿는다 … 104
22. 공자도 맹세코 결백하다고 변명하다 … 105
23. 중용(中庸)의 덕이 행해진 지 오래다 … 106
24. 자기가 서고자 하면 남도 서게 해 주는 자 … 107
제7편 술이(述而) / 109
1. 옛 성현의 도를 믿고 즐긴다 … 110
2. 공자의 평소 모습 … 111
3. 늙고 쇠약함이 한스럽다 … 111
4. 학문하는 단계를 말하다 … 112
5. 배우려는 의지와 열의가 있으면 가르쳤다 … 112
6. 상사(喪事)에는 진심으로 슬퍼하다 … 113
7. 무모한 용기는 파멸을 가져올 수 있다 … 114
8. 공자가 꺼리는 일 … 115
9. 소악(韶樂)을 즐기다 … 115
10. 인(仁)을 추구하여 인을 얻다 … 116
11. 가난하게 살더라도 의로움을 택하리라 … 117
12. 시?서?역경에 대한 공자의 태도 … 117
13. 학문을 즐기면 늙어감도 잊는다 … 118
14. 꾸준히 노력하여 성취하다 … 118
15. 세 사람이 가면 반드시 내 스승이 있다 … 119
16. 천명(天命)을 사람이 어찌하겠는가 … 120
17. 공자는 비밀이 없었다 … 120
18. 위선적인 행동은 항심(恒心)을 없앤다 … 121
19. 낚시와 사냥에도 절도(節道)가 있었다 … 122
20. 제대로 안 후에 행하라 … 122
21. 지나간 잘못에 구애되지 말라 … 123
22. 어질고자 하면 어진 사람이 된다 … 123
23. 군자도 편을 드는 것입니까? … 124
24. 스스로 부족하다 여기고 끊임없이 배우다 … 125
25. 병이 나도 귀신(鬼神)에게는 빌지 않아 … 127
26. 사치의 폐단은 매우 크다 … 127
27. 군자는 마음이 평탄하고 넓어야 … 128
28. 평상시 공자의 용모 … 128
제8편 태백(泰伯) / 129
1. 태백(泰伯)의 덕을 칭찬하다 … 130
2. 모든 일은 예의와 덕을 갖추어야 … 131
3. 신체를 온전히 보존한 증자(曾子) … 131
4. 군자가 귀중하게 여길 것 3가지 … 132
5. 옛날에 진실한 나의 벗이 있었다 … 133
6. 군자다운 사람이란 … 133
7. 선비는 도량이 넓고 마음이 굳세어야 … 134
8. 시(詩)로써 흥을 느껴야 … 134
9. 백성은 당연한 이치로써 따르게 해야 … 135
10. 불인(不仁)을 지나치게 미워하면 … 135
11. 교만과 인색은 덕(德)을 퇴색시킨다 … 135
12. 무도(無道)한 나라에서의 부귀는 수치다 … 136
13. 사지(師摯)의 연주가 가슴에 와 닿다 … 137
14. 무지(無知)한 사람은 근후(謹厚)하다 … 138
15. 힘써 배우도록 하라 … 138
16. 위대한 요(堯)?순(舜)?우(禹)임금 … 138
17. 인재(人材)를 얻기는 어렵다 … 139
18. 우(禹)임금의 백성 사랑 … 140
제9편 자한(子罕) / 143
1. 이익과 운명과 인(仁) … 144
2. 군자는 자신을 내세우지 않는다 … 144
3. 무조건 대중을 따르지는 않는다 … 145
4. 배우는 자가 가져야 할 4가지 태도 … 145
5. 하늘이 돌보는 이를 사람이 어찌하리오 … 146
6. 군자는 다재다능하지 않다 … 146
7. 천하에 도(道)가 행해지지 않는구나 … 148
8. 자신의 뜻을 행동으로 나타내다 … 148
9. 스승을 따르려 하나 따를 길이 없다 … 149
10. 제자의 손에 안겨 죽는 것이 좋다 … 150
11. 도를 세상에 펼칠 기회를 기다리다 … 150
12. 예를 으뜸으로 하여 행하다 … 152
13. 모든 만물이 흐르고 흐르는구나 … 153
14. 덕(德) 좋아하기를 여색을 탐하듯 … 153
15. 학문의 진보 후퇴는 모두 나의 탓 … 154
16. 애석하구나. 안회(顔回)여! … 154
17.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후배들 … 155
18. 가장 중요한 것은 스스로 깨우치는 것 … 155
19. 목숨은 빼앗아도 의지는 빼앗지 못한다 … 156
20. 떨어진 옷을 입고도 떳떳한 자로(子路) … 157
21. 겨울에야 소나무의 푸르름을 안다 … 158
22. 지자(知者)?인자(仁者)?용자(勇者)의 태도 … 158
23. 같이 배워도 같이 도를 이룰 수는 없다 … 159
24. 멀고 가까운 것은 문제가 안 된다 … 159
제10편 향당(鄕黨) / 161
1. 그때그때에 적절한 행동방식 … 162
2. 대궐에서의 몸가짐 … 163
3. 규(圭)를 전할 때의 예절 … 164
4. 군자(君子)의 평소 의복생활은 … 165
5. 재계(齋戒)의 기본 원칙은 … 166
6. 공자(孔子)의 음식 예절은 … 167
7. 마을 행사 때에는 … 169
8. 안부를 물을 때와 음식을 받을 때 … 169
9. 마구간에 불이 났을 때 … 170
10. 군주로부터 음식을 받으면 … 170
12. 공자의 잠잘 때와 평상시의 행동 … 172
13. 마차를 탈 때에는 … 173
14. 세 번 냄새를 맡은 공자 … 174
제11편 선진(先進) / 175
1. 무엇보다 먼저 예악(禮樂)을 힘써야 … 176
2. 옛 제자들을 회상(回想)하다 … 176
3. 공자의 말이라면 무조건 기뻐하는 안회 … 177
4. 효성스런 민자건(閔子騫) … 177
5. 형의 딸로 아내를 삼아준 제자 … 178
6. 안회가 죽은 뒤로는 없습니다 … 178
7. 삶도 모르는데 어찌 죽음을 알리 … 180
8. 제자들로 인한 즐거움 … 181
9. 민자건은 사리에 맞는 말만 한다 … 181
10. 자로(子路)의 비파 연주 … 182
11. 과(過)와 불급(不及)은 모두 도가 아니다 … 183
12. 그는 나의 제자가 아니다 … 184
13. 제자들의 단점을 지적 … 184
14. 선인(善人)이 갖춰야 할 태도 … 185
15. 논(論)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은 … 186
16. 공자의 교육 방법 … 187
17. 제자가 어찌 스승보다 먼저 죽으리오 … 188
18. 자로와 염유는 자리만 지키는 신하 … 188
19. 공자를 설득하려고 한 자로 … 189
20. 네 제자들의 희망 … 191
제12편 안연(顔淵) / 195
1. 안연(顔淵)의 맹세 … 196
2. 제자 중궁(仲弓)의 맹세 … 197
3. 사마우(司馬牛)의 근심 … 197
4. 사리(事理)에 밝다는 것은 … 199
5. 정치는 민중의 믿음이 가장 중요 … 200
6. 문채와 자질을 함께 갖추어야 군자 … 201
7. 백성이 풍족한데 어찌 임금이 빈곤하랴 … 202
8. 사랑하면 살기를 바란다 … 204
9. 진실로 군주의 본분을 지켜야 … 204
10. 자로의 사람됨 … 205
11. 재판 없는 세상을 희망하다 … 206
12. 자장에게 정사(政事)를 말하다 … 207
13. 남의 아름다움을 이루어주는 군자 … 207
14. 민중은 풀과 같다 … 208
15. 어떤 것을 통달했다 할 수 있습니까? … 209
16.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 211
17. 벗을 사귀는 방법은 … 213
18. 학문으로써 벗을 모으다 … 213
제13편 자로(子路) / 215
1. 위정자가 행하여야 할 3가지 … 216
2. 어진 인재를 등용하는 방법 … 216
3. 명분이 바르게 서야 천명(天命)을 받는다 … 217
4. 민중(民衆)은 지도자 하기 나름이다 … 219
5. 학문에는 실천이 따라야 … 220
6. 윗사람이 바르면 아랫사람은 저절로 따른다 … 221
7. 노(魯)와 위(衛)는 형제로다 … 221
8. 공자(公子) 형(荊)은 탐욕과 교만이 없다 … 222
9. 풍요와 교육은 강국(强國)의 필수요소다 … 223
10. 3년이면 다스림을 이룬다 … 224
11. 세상을 바로잡는데 30년이 걸린다 … 224
12. 그것은 국정(國政)이 아니고 집안 일 … 226
13. 말 한마디가 나라의 흥망을 좌우한다 … 227
14. 작은 이익을 돌보지 말라 … 228
15. 진정한 정직(正直)이란 … 229
16. 오랑캐 땅에서도 버림받지 않는 행동 … 230
17. 어찌해야 선비라 할 수 있습니까 … 230
18. 광자(狂者)를 취하리라 … 231
19. 항구성이 없으면 부끄러운 일을 당한다 … 232
20. 군자는 화합하고 소인은 뇌동(雷同)한다 … 233
21. 모든 사람에게서 사랑을 받을 수는 없다 … 234
22. 군자는 천리를 따른다 … 235
23. 달변보다 어눌함이 인(仁)에 가깝다 … 236
24. 진정한 선비의 역할 … 236
25. 선인(善人)이 7년 동안 가르친 효과 … 236
제14편 헌문(憲問) / 239
1. 무도(無道)한 나라에서 녹(祿)을 받는 것은 치욕 … 240
2. 선비의 편안한 거처는 … 241
3. 행동은 정직하게 말은 겸손하게 … 241
4. 옳은 말을 한다고 반드시 덕이 있을까 … 241
5. 우(禹)·직(稷)은 농사꾼이지만 천하를 얻었다 … 242
6. 소인(小人)으로 어진 사람은 없다 … 243
7. 정성을 다하여 만드는 외교문서 … 244
8. 자산·자서·관중(子産子西管仲)의 인물됨 … 245
9. 가난하면서 원망하지 않기는 어렵다 … 246
10. 맹공작(孟公綽)은 그릇이 작다 … 246
11. 완성된 인격자란 … 247
12. 어찌 그럴 수가 있습니까 … 248
13. 장무중의 옳지 않은 행동 … 249
14. 진문공과 제환공의 비교 … 250
15. 관중의 위대한 업적 … 251
16. 능력을 발휘하도록 돕는 대부 … 253
17. 지도자의 지위를 잃지 않는 방법 … 254
18. 실행하기 어려운 말 … 255
19. 어쩔 수 없었던 사연 … 255
20. 임금 면전에서 간(諫)하라 … 257
21. 소인은 타락의 길만을 택하다 … 257
22. 자신을 위한 공부 … 258
23. 아랫사람으로서의 태도 … 258
24. 지위에 맞는 일을 해야 한다 … 259
25. 스스로를 채찍질하는 사람 … 260
26. 남을 평할 겨를이 없다 … 261
27. 자신의 무능력을 근심하라 … 261
28. 먼저 자신을 반성해야 … 262
29. 고루함을 면키 위한 분주한 것 … 262
30. 은혜는 은혜로써 갚아야 … 264
31. 나를 아는 이는 하늘 뿐 … 264
32. 천명을 바꿀 수 있겠는가 … 265
33. 현명한 사람은 어지러운 세상을 피한다 … 266
34. 봉황(鳳凰)의 뜻을 어찌 알겠는가 … 267
35. 옛사람들의 상사(喪事)예절 … 268
36. 백성을 쉽게 부리는 방법 … 269
37. 자신의 수양은 요순도 어려워했다 … 270
38. 예절을 모르는 자는 도둑 … 271
39. 예절은 모든 것의 기본 … 271
제15편 위령공(衛靈公) / 273
1. 군자는 곤궁해도 예의를 잃지 않아 … 274
2. 나의 도는 일이관지(一以貫之)니라 … 275
3. 덕을 알아주는 이 드물다 … 276
4. 하는 일 없이 천하를 다스린 사람 … 277
5. 미개국(未開國)에서도 신임 받는 법 … 277
6. 사어(史魚)와 거백옥(?伯玉) … 278
7. 지혜로운 사람의 처세 … 279
8. 살신성인(殺身成仁)하는 자 … 279
9. 4가지 수용할 것과 버릴 것 2가지 … 280
10. 멀리 보는 사람은 근심이 없다 … 281
11. 장문중(臧文仲)의 실책 … 282
12. 원망을 없게 하려면 … 283
13. 학문을 이루는 길 … 283
14. 잡담과 인격수양은 반비례 … 284
15. 진실한 군자란 … 284
16. 평생 삶의 지표로 삼아야 할 한마디 … 286
17. 함부로 칭찬하지 않고 비방하지 않아 … 286
18. 인정이 사라진 현실 … 287
19. 작은 일을 참지 못하면 큰일을 망친다 … 288
20. 주체성을 확립해야 … 288
21. 도(道)가 사람을 넓히는 것이 아니다 … 289
22. 잘못을 고치지 않는 것 … 289
23. 배움이 없는 사색은 … 290
24. 군자는 먹을 것을 얻고자 꾀하지 않아 … 290
25. 지도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이라면 … 291
26. 작은 일과 큰일을 하는 사람들 … 292
27. 양보 없는 인(仁)의 실천 … 292
28. 군자는 작은 신의에 얽매이지 않아 … 293
29. 대가를 뒤로 하라 … 294
30. 모두에게 평등한 가르침 … 294
31. 뜻이 같아야 일을 도모할 수 있다 … 295
32. 뜻을 전달하는 도구 … 295
33. 악사(樂士)를 도와주는 방법 … 296
제16편 계씨(季氏) / 297
1. 우환은 밖에 있지 않고 … 298
2. 세도가의 몰락 … 301
3. 유익한 벗 셋. 해로운 벗 셋 … 303
4. 유익한 즐거움 셋. 해로운 즐거움 셋 … 303
5. 교제할 때 유의할 점 … 304
6. 군자의 세 가지 경계할 점 … 304
7. 군자의 세 가지 두려워할 일 … 305
8. 모르면서도 배우려 애쓰지 않는 자 … 305
9. 9가지 생각할 일 … 306
10. 은둔하여 자신의 뜻을 지킨다 … 307
11. 친아들이나 제자에게 평등한 공자 … 308
12. 제후국 왕비의 호칭법 … 310
제17편 양화(陽貨) / 311
1. 옳은 예절만이 통한다 … 312
2. 습관은 사람을 변화시킨다 … 314
3. 예악으로써 다스리다 … 314
4. 만약 나를 써줄 사람이 있다면 … 315
5. 다섯 가지를 행할 수 있으면 인(仁)이다 … 316
6. 검은 물이 들지 않는다면… … 317
7. 배우지 않아 생기는 6가지 폐단 … 318
8.『시경(詩經)』을 배우면 얻는 것 … 319
9. 주남(周南)과 소남(召南)을 배우지 않으면 … 320
10. 예악(禮樂)의 근본 … 320
11. 좀도둑 같은 사람 … 321
12. 3가지의 사회 병폐 … 322
13. 교언영색(巧言令色)이란 … 323
14. 군자가 미워하는 것 … 323
15. 하늘은 말없이 행(行)한다 … 323
16. 만나고 싶지 않은 사람에게 … 324
17. 3년이라는 기간은 … 324
18. 무위도식하는 어리석음 … 326
19. 용기만 있고 의(義)가 없는 자는 … 326
20. 군자는 미워하는 것이 있다 … 327
21. 여자와 소인(小人)은 … 328
22. 불혹(不惑)의 나이 40세에 … 328
제18편 미자(微子) / 329
1. 은(殷)나라의 어진이 세 사람 … 330
2. 유하혜(柳下惠)의 절개 … 331
3. 공자(孔子)가 떠나버린 이유 … 332
4. 광접여(狂接輿)의 충고 … 332
5. 공자를 야유한 은자(隱者) … 333
6. 옳은 것도 옳지 않은 것도 없다 … 336
7. 모든 악관(樂官)들이 노나라를 떠나다 … 337
8. 주공(周公)의 아들 가르침 … 339
9. 주(周)나라의 여덟 선비 … 339
제19편 자장(子張) / 341
1. 덕은 넓게 도는 도답게 … 342
2. 남이 나를 멀리하는 이유는 … 343
3. 작은 도(道)는 큰 뜻을 방해한다 … 343
4. 학문은 널리 배우고 가깝게 묻는 것 … 344
5. 변화무쌍한 군자의 모습 … 345
6. 모든 행동을 신임 받는다는 것은 … 345
7. 큰 덕과 작은 덕의 한계 … 346
8. 학문하는 바른 자세 … 347
9. 상사(喪事)의 예절 … 348
10. 문인(門人)들이 본 자장(子張) … 349
11. 정성을 다하는 단 한 가지 … 349
12. 맹장자(孟莊子)의 효도 … 349
13. 사법관의 죄인 다루는 법 … 350
14. 주왕(紂王)도 알고 보면 … 351
15. 잘못을 알게 된 군자의 행동 … 352
16. 공자는 어디서 배웠습니까? … 353
17. 해와 달을 등지는 일 … 354
제20편 요왈(堯曰) / 357
1. 하늘의 명을 받은 성군(聖君)들 … 358
2. 5가지 미덕(美德)과 4가지 악덕(惡德) … 360
3. 군자가 갖추어야 할 3가지 …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