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26.08
SKU
9788970138039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1/11/25
Pages/Weight/Size 148*210*35mm
ISBN 9788970138039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1997년의 위기를 결정적 계기로 해서 일어난 한국 정치경제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과정을 지구 정치경제적 맥락 속에서, 그리고 이 전환을 이끌어낸 국내적·국제적 추진 세력과 그들의 기획을 중심으로 역사적으로 분석한 저작이다. 이를 통해 저자는 우리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과정이 단순히 경제적 현상이 아니라 반민주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사회적·정치적 현상임을 밝히고, 한국 경제의 양극화와 대외종속 및 위기를 불러온 국내적·지구적 세력이 누구인지 드러낸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1장 서론 - 현 위기의 기원
1. 한국 경제의 회복과 불안
2. 한국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
3. 한국 신자유주의의 지구 정치경제적 기원을 찾아서

2장 신자유주의 이전 - 브레턴우즈 체제, 동아시아 냉전체제 그리고 한국의 권위주의 개발국가
1. 브레턴우즈 체제
2. 동아시아 냉전과 한미일 삼각관계
3. 한국의 권위주의 개발국가와 산업화

3장 신자유주의 지구 정치경제의 형성과 구조 - 달러-월스트리트 체제와 금융화
1. 신자유주의
2. 브레턴우즈 체제의 붕괴 및 금융과 생산의 지구화
3. 달러-월스트리트 체제와 신자유주의적 축적의 전개

4장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 - 자유화, 지구화 그리고 IMF 위기
1.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
2. 지구 정치경제의 변동과 한국 개발국가의 해체
3. 한국 경제의 지구화와 모순의 심화
4. 위기관리의 실패와 위기
5. 한국 경제위기의 지구정치경제학, 1961~1998

5장 한국 신자유주의의 형성(1) - IMF 협상과 지구적 위기관리의 정치경제학
1. CIA에서 AMF 그리고 IMF까지
2. IMF 협상과 위기관리의 지구정치경제학

6장 한국 신자유주의의 형성(2) - IMF 구조조정과 전환의 정치경제학
1. IMF 프로그램의 해부 - IMF, 미국 그리고 한국의 신자유주의 경제관료
2. 신자유주의적 발전 경로의 형성
3.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 - 위기 효과의 재배분과 금융 · 재무적 논리의 학습과 지배

7장 한국 신자유주의의 구조와 전개 - 관료-재벌-초국적 자본의 과두권력과 금융화
1. 신자유주의적 제도와 행태 변화
2.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의 구조
3. 경제관료-재벌-초국적 자본의 과두권력과 신자유주의적 축적 전략의 전개
4. 한국의 신자유주의-신자유주의 국가와 축적의 시공간

8장 한국 신자유주의의 귀결 - 자본축적의 재활성화와 사회경제적 양극화
1. 신자유주의적 전환의 성과-자본축적의 재활성화
2. 신자유주의적 전환의 비용
3. 신자유주의 사회

9장 결론 - 자원의 권위적 배분과 경제의 실질적 민주화
1.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2. 경제의 실질적 민주화 - 관료-재벌-초국적 자본의 과두권력을 넘어서

표와 그림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지주형
서강대학교에서 영문학과 사회학을 전공하였고,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LSE)과 랭카스터 대학에서 사회학과 정치경제학을 공부하고〈위기에서 배우기-한국의 정치경제·시공간성·위기관리, 1961~2002년〉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 영국에서 공부를 시작한 직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IMF 위기와 한국 사회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 한국의 자본주의와 국가 및 지구 정치경제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왔다. 연세대 국가관리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재)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자문위원, 랭카스터 대학 문화정치경제연구센터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공저),『한국대통령 통치사료집 VII-박정희(4)』(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정체성 싸움』,『일본경제 들여다보기』,『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인문학 스터디』(공역) 등이 있다.
서강대학교에서 영문학과 사회학을 전공하였고,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LSE)과 랭카스터 대학에서 사회학과 정치경제학을 공부하고〈위기에서 배우기-한국의 정치경제·시공간성·위기관리, 1961~2002년〉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 영국에서 공부를 시작한 직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IMF 위기와 한국 사회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 한국의 자본주의와 국가 및 지구 정치경제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왔다. 연세대 국가관리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재)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자문위원, 랭카스터 대학 문화정치경제연구센터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공저),『한국대통령 통치사료집 VII-박정희(4)』(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정체성 싸움』,『일본경제 들여다보기』,『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인문학 스터디』(공역)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