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호(東湖)에서 묻고 대답함’이란 의미를 가진『동호문답』은 율곡이 선조 2년, 그의 나이 34세 때 지은 책으로서 왕위에 오른 지 만 2년여 밖에 안 된 새 군주 선조에게 새 정치에 대한 열망과 구체적인 실현 방안을 담아 제출한 정치 개혁서다.
율곡은 이 책에서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라는 유교의 보편 명제에 대한 확신 아래 왕도정치에 대한 선조의 입지(立志)를 촉구하고, 각종 제도와 정책의 개혁과 관리의 부정부패 근절, 곧 무실(務實)을 역설한다. 자신을 닦는 일과 백성을 다스리는 일의 조화를 추구 했던 율곡의 가르침은 유교의 진면목을 확인하게 해준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제1장 군주의 길을 논하다
제2장 신하의 길을 논하다
제3장 좋은 군주와 좋은 신하가 만나기 어려움에 대해 논하다
제4장 우리나라에서 도학이 행해지지 않음에 대해 논하다
제5장 우리 조정이 옛 도를 회복하지 못함에 대해 논하다
제6장 금일의 시대 정세를 논하다
제7장 무실이 수기의 요체임을 논하다
제8장 간인의 판별이 용현의 요체임을 논하다
제9장 안민정책을 논하다
제10장 교육정책을 논하다
제11장 정명이 정치의 근본임을 논하다
해제 - 선조에게 올리는 청년 이이의 수기치인의 정치개혁 보고서
1. 인간 율곡과 생애
(1) 생과 사
(2) 성장기
(3) 관직 생활
(4) 저술 세계
2. <동호문답>의 내용과 구성
3. 조선 전기 수기치인의 정치학
(1) 왕도정치의 관건 : 정치 주체의 입지와 무실
(2) 수기치인과 무실
ㄱ. 수기와 무실
ㄴ. 치인과 무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