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밀교와 한국의 문화유적

도표 · 그림 · 사진으로 풀이한
$27.00
SKU
9788970094205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8/03/10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70094205
Description
밀교는 3~4세기경 관념적인 학문중심이었던 대승불교를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의례로 재구성한 것으로, 심오한 대승불교 이론을 재가신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문자가 아닌 그림(만다라)과 설법이 아닌 진언 · 의례중심으로 풀이한 실천불교를 말한다. 『밀교와 한국의 문화유적』은 사진 277매, 그림과 표 286매를 활용하여 입체적으로 해석한 책으로, 밀교의 의미, 밀교의 발생과 전개, 밀교의 법통상속, 밀교의 교판론, 본체론과 불타관 그리고 인식론인 만다라의 상징해석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Contents
제1편 밀교의 철학

제1장 서론
제1절. 밀교의 의미와 특성
1. 밀교(密敎)란?
2. 비밀의 내용과 밀교의 정의
3. 밀교(密敎)의 특성
제2절 밀교의 발생과 전개
1. 밀교의 성립
2. 밀교의 지리적 전개
3. 밀교의 신라 전래와 전개
제3절 밀교 법통(法統)의 상속
1. 밀교 법통의 계보
2. 법통상속자들의 개요

제2장 밀교의 교판론(敎判論)
제1절. 교판(敎判)의 발생과 밀교의 성립
1. 교판의 의의
2. 현교의 대표적인 교판 : 천태대사 지의(智?)의 5시8교 교판
3. 현밀2교판(顯密二敎判) : 근본적 구별
제2절. 10주심교판(十住心敎判)
1. 10주심교판의 개요
2. 10주심의 내용64
제3절 밀교 내에서의 종파
1. 태장계(胎藏界)와 금강계(金剛界)
2. 일본의 밀교종파 : 태밀(台密)과 동밀(東密)
3. 1945년 이후 한국밀교의 교판 : 대한불교진각종

제3장 밀교의 본체론
제1절 밀교사상의 체계
1. 『대승기승론』에 의한 밀교철학의 체계확립
2. 밀교의 체계
제2절 아자체대설(阿字體大說)
1. 우주의 언어학적(言語學的) 표현
2. 아자체대설(阿字體大說)
3. 본불생(本不生)의 종교적 해석

제3절 6대체대론(六大體大論)
1. 본체론(本體論)으로서의 6대(六大)
2. 밀교의 6대
3. 아자체대설과 6대체대설과의 관계
4. 2송8구에 의한 6대연기사상 : 6대?4만?3밀

제4장 밀교의 불타관(佛陀觀)
제1절 불타관에서 현교와 밀교의 기본입장
1. 밀교에서의 새로운 석존 해석
2. 석존과 법신의 관계
제2절 대일여래론(大日如來論)
1. 대일여래의 성립
2. 대일여래 지혜의 덕 : 제암편명(除闇遍明)
3. 대일여래 자비의 덕 : 능성중무(能成衆務)
4. 대일여래 방편의 덕 : 광무생멸(光無生滅)
제3절 대일여래 사상의 발전
1. 5불(五佛)과 본초불(本初佛)
2. 본지신(本地身)과 가지신(加持身)

제5장 밀교의 인식론(認識論)
제1절 밀교의 인식론과 만다라
1. 밀교의 인식론
2. 만다라(Ma??ala)의 정의 및 분류
3. 만다라의 표현방법
4. 만다라의 원류(源流)와 성립
제2절 양부만다라(兩部界曼茶羅)의 개요
1. 양부만다라(兩部界曼茶羅)와 중관?유식론
2. 태장계와 금강계와의 특징
3. 태장계와 금강계만다라의 미술사적 전개
제3절 태장계만다라(胎藏界曼茶羅)
1. 대일경과 태장계만다라
2. 중대8엽원(中臺八葉院)
3. 제1중(第一重)의 4대원 : 편지원?지명원?관음원?금강수원
4. 제2중의 6대원 : 석가원?문수원?제개장원?지장원?허공장원?소실지원
5. 최외원 : 외금강부원

제4절 금강계만다라
1. 『금강정경』과 금강계만다라
2. 성신회(成身會)
3. 삼매야회(三昧耶會)
4. 미세회(微細會)
5. 공양회(供養會)
6. 4인회(四印會)
7. 1인회(一印會)
8. 이취회(理趣會)
9. 항삼세갈마회만다라(降三世曼茶羅)
10. 항삼세삼매야회(降三世三昧耶會)
제5절 만다라의 장식문양
1. 개요
2. 결계
3. 문
4. 보생초?모란초
5. 보병
6. 영지운
7. 만(卍)자
8. 삼고계도
9. 오색계도
10. 중대8엽원

제6장 성불론

제1절 성불의 원리
1. 성불의 의미
2. 밀교수행의 구조
제2절 수행과 성불의 방법
1. 3구와 5전
2. 삼밀유가행
3. 밀교의 관법
4. 성불을 위한 3밀구궐의 문제
제3절 성불의 단계
1. 번뇌의 제거와 불법의 증득 : 단혹론과 증리
2. 차정문 : 3겁과 3무외
3. 표덕문에 의한 단혹 : 10지
제4절 즉신성불
1. 즉신성불송
2. 즉신성불의 종류

제2편 밀교유적

제1장 『삼국유사』의 기록을 통해본 신라시대의 밀교
1. 밀교전래 이전의 무속신앙과 불교
2. 『삼국유사』기록으로 본 초기밀교
3. 화엄밀교(華嚴密敎)의 전개

제2장. 돌에 새겨진 사방불(四方佛) 유적
1. 사불산(四佛山)과 굴불사지의 사방불
2. 경북 영주시 이산면 신암3리 사방불상
3. 경주 남산 탑골의 부처바위
4. 칠불암의 사방불
5. 파주 마애사방석불(磨崖四方石佛)
6. 능지탑 사방불
7.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금동사리함의 사방불
8. 창림사지 석탑의 앙화(仰花)
9. 충남 예산군 화전리 사방석불
10. 당동리 사지 석조여래좌상 사방불

제3장. 탑파(塔파)의 밀교적성격
1. 탑파의 기원과 전개
2. 신라석탑의 밀교적 요소
3. 석탑의 사방불
4.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무구정석탑(無垢淨石塔)

제4장. 불?보살상의 밀교유적
1.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2. 변화 관음보살

- 참고문헌
- 찾아보기
Author
이범교,이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