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자들이 꼭 알아야할 79가지의 기본적인 상식을 소개한, 불교 입문서. '법회에 참석하거나 스님을 만나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불자로서 자세는 어떻게 갖추어야 하는지' 등 불자들의 생활 지침에 대해 다루고 있다. 누구나 이해하기 쉽도록 서술한 이 책을 통해, 불자로서 에티켓과 자세, 예의범절에 대해 배울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01. 무늬만 불자가 되지 말자
02. 내가 믿는 불교의 가치를 정립하자
03. 불교계에서 발행되는 신문은 1부 이상 구독하자
04. 불교 책 한 권은 가지고 다니자
05. 불교를 믿는 목적을 분명히 하자
06.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들을 불자로 만들자
07. 불교 TV 시청, 불교방송 청취를 생활화하자
08.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절에 나가자
09. 사찰 행사에 자원봉사를 많이 하자
10. 불교인이라는 자신감과 긍지를 갖자
11. 어려움에 처한 불자를 도와주자
12. 불자로서 결속력을 다지자
13. 자신이 불교인이라는 것을 먼저 밝히자
14. 예불문은 반드시 외우자
15. 불교 기초교리를 반드시 배우자
16. 신도들은 주지스님의 인사이동에 관여하지 말자
17. 어떤 장소든 스님을 만나면 합장하자
18. 불자라면 신도증을 꼭 만들자
19. 기왕이면 같은 불자에게 도움을 주자
20. 법회에 자주 참석하자
21. 항상 신도증을 소지하자
22. 스님들에 대한 비판적인 말을 삼가하자
23. 일정하게 다니는 소속 사찰을 정하자
24. 불자로서 품위 없는 행동을 하지 말자
25. 손목에 단주를 착용하자
26. 절하는 방법을 제대로 알자
27. 항상 합장하는 습관을 갖도록 하자
28. 법문 시간에 잡담하거나 졸지 말자
29. 법문이나 강의 시간에는 휴대전화를 끄자
30. 부처님 가르침을 누구에게나 전할 수 있도록 하자
31. 불교 입문서를 한 권 이상씩 읽자
32. 오계는 반드시 외워서 실천하자
33. 삼귀의, 사홍서원, 찬불가, 반야심경은 반드시 외우자
34. 이교도들의 불교비방에 적극 대처하자
35. 불자 간의 친목을 돈독히 하자
36. 부처님 말씀을 생활에 적용시키자
37. 옷 색으로 스님들의 위계를 구분하는 방법을 알자
38. 불공은 사시(巳時)에 합동으로 올리도록 하자
39. 차례나 제사는 불교식으로 지내자
40. 불전에 부담을 갖지 말자
41. 승용차를 타고 절 마당까지 들어가지 말자
42. 단체로 절에 갈 때 질서 정연하게 움직이자
43. 절에 가서 꼭 주지스님을 만나려고 하지 말자
44. 절에 갈 때는 옷차림을 단정히 하자
45. 절에 갈 때는 화장을 진하게 하지 말자
46. 스님들과 똑같은 옷을 입고 다니는 것은 삼가하자
47. 절 근처에서 술을 마시고 소란스럽게 떠들지 말자
48. 불자로서 굿이나 무속적인 행위를 하지 말자
49. 불자들은 서로 법명을 부르자
50. 차 안에 염주를 걸자
51. 법당, 탑 앞을 지나갈 적에는 반드시 합장하자
52. 하심하는 마음으로 절을 하자
53. 법당을 출입할 적에는 양쪽 문으로 출입하자
54. 법당에 들어갈 적에는 신발부터 정돈하자
55. 법당 안에서는 발소리가 나지 않도록 조심해서 걷자
56. 법회나 강의가 끝나면 책상과 방석을 정리 정돈하자
57. 공양 시간을 지키자
58. 공양할 때 음식은 알맞게 덜어서 먹고 남기지 말자
59. 언제 어디서나 공양하기 전에 합장하자
60. 자기가 먹은 그릇은 스스로 닦자
61. 큰스님을 잘 안다고 과시하지 말자
62. 스님들에 대해서 이런저런 말하는 것을 삼가하자
63. ‘행자스님’이라는 호칭은 맞지 않습니다
64. 스님 법명을 존칭 없이 함부로 부르지 말자
65. 스님들께 사주 관상을 봐 달라고 하지 말자
66. 한글로 번역된 경전을 읽자
67. 예불 드리기 전에 절대 떠들지 말자
68. 부처님 정면에서 절하는 것은 피하도록 하자
69. 절하는 사람 앞을 가로질러 가지 말자
70. 사찰에서는 정숙한 마음을 갖자
71. 절에서 술을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지 말자
72. 보시할 때는 대가를 바라지 말자
73. 너무 복만 달라고 조르지 말자
74. 1인 1수행을 생활화하자
75. 당사자가 없는 자리에서 남을 비방하지 말자
76. 나쁜 말과 거친 말을 하지 말자
77. 많은 욕심을 갖지 말자
78. 이익에 따라 부처님 말씀을 악용하지 말자
79. 합장의 의미를 알고 실천하자
Author
윤창화,고명석,용정운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불교연구원 연구교육간사를 거쳐 대원정사에서 출판일을 했다.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연구과장을 거쳐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연구실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와 논문집에는 『100문 100답 불보살 신중편』 『불교개론』 『인도사』 『유쾌하게 읽는 불교』 『불자생활백서』(공저) 『허망 분별의 전환구조와 삼성설에 대한 연구』 『불교의 시간론』 등 다수가 있다.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불교연구원 연구교육간사를 거쳐 대원정사에서 출판일을 했다.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연구과장을 거쳐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연구실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와 논문집에는 『100문 100답 불보살 신중편』 『불교개론』 『인도사』 『유쾌하게 읽는 불교』 『불자생활백서』(공저) 『허망 분별의 전환구조와 삼성설에 대한 연구』 『불교의 시간론』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