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불교는 역사상 유례없는 위기에 봉착했다. 이러한 위기는 현실적으로 한국불교의 사회적 리더십의 부재와 사회적 역할의 상실에서 기원한다. 사회적 리더십을 상실한 종교가 도태되는 것은 역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학은 이러한 현 한국불교 실태에 둔감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게을리하고 있다. 이에 김재영 저자는 초기불교의 역사적인 전법 개척과 사회적 변혁의 과정을 통찰해 위기에 직면한 한국불교의 역동적 에너지를 복원하는 대안을 신간 『초기불교의 사회적 실천』을 통해 제시한다.
저자는 이책에서 '출가 중심의 선민불교를 대중 불교·대중 견성으로 개혁'하는 것을 해결책으로 보고 있다. 초기불교, 즉 붓다의 역사적인 전법 개척과 사회적 변혁의 과정을 통찰함으로써 한국불교의 역동적인 에너지를 복원하고 나아가 한국 불자의 사회적 리더십을 재활시킬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사람이 없는 불교는 생명력을 발휘할 수 없다. 사람을 중심으로, 현장의 불교를 중심으로 연구한 저자의 결과물을 주목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Contents
머리말
일러두기
약어
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초기불교의 사회성 논의와 문제의식
1) 초기불교의 사회성 논의
2) 문제의 제기
3.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1) 선행연구 검토
2) 연구과제 설정
3) 연구방법
4. 소결
2장 사회적 실천의 시대적 상황과 대중적 기초
1. 시대적 상황
1) 농업·상공법의 확장과 도시화
2) 국가적·계급적 사회의 구조화
3) 사회적 변화의 확산과 사회적 위기의 본질
2. 대중적 기초
1) 빠리사(paris) 중심의 초기 공동체
2) 초기 빠리사의 신분적 구성과 상인의 역할
3. 초기대중들의 사회의식과 개척정신
1) 붓다의 사회의식과 전법륜정신
2) 초기 대중들의 사회의식과 개척정신
4. 소결
3장 사회적 실천의 교리적 기초
1. 초기불교의 사회론
1) 자아와 사회·역동적인 한 흐름의 세계
2) 사회의 본질로서의 식(識)
3) 사회 비판·사회 변혁의 추구
2. 기초적 교리의 사회적 실천성
1) 오온과 자아의식의 문제
2) 십이처·십팔계와 사회적 조건의 문제
3) 십이연기와 사회 변혁의 원리
3. 초기 수행법의 사회적 실천성
1) 사띠(sati)의 기능과 초기 수행법에서의 역할
2) ‘안으로 밖으로 안팎으로’
3) 왜 사회적 실천인가·
4. 소결
4장 사회적 실천의 실제적 전개 과정
1. 전법 개척의 실천·세계관의 변혁으로
1) 초기불교의 영역 개척과 지리적 확장
2) 대상隊商의 길, 전법의 길
2. 비폭력(非暴力) 자비의 실천 - 윤리적 변혁으로
1) 비폭력의 기치
2) 비폭력 자비운동의 윤리적 변혁으로
3. 반反차별 평등의 실천·사회적 변혁으로
1) 반反카스트 평등의 실천
2) 반反여성차별·양성(兩性)평등의 실천
4. 보시복지의 실천·경제적 변혁으로
1) 초기불교의 사회복지사상
2) 보시복지의 사회적 전개
5. ‘정의로운 국가’의 이상(理想)을 향하여 - 정치적 변혁으로
1) 초기불교의 정치사상
2) 전륜성왕의 나라·이상국가를 향하여
6. 소결
5장 결론
참고자료
Abstract
후기
찾아보기
표 1 : 초기 빠리사의 신분별 구성비율
표 2 : 십이처·십팔계의 작동과정표
지도 1 : 붓다와 초기 민중들의 개척·순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