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시작하는 독서동아리

자유학기제부터 동네 책모임까지
$15.12
SKU
978896915020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4/04
Pages/Weight/Size 210*295*20mm
ISBN 9788969150202
Categories 청소년 > 청소년 생활/자기관리
Description
『처음 시작하는 독서동아리』는 독서교육 전문가 김은하가 아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쉽게 독서동아리를 운영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책이다. 독서동아리를 꾸려보고 싶지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는 이들을 위해 독서동아리의 이론부터 실전까지 상세하게 담아냈다. 독서동아리란 무엇인지, 어떻게 사람을 모으고 운영해야 하는지, 독서동아리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등을 설명한 다음에는 실제로 독서동아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지와 양식을 수록해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 책은 단순히 독서동아리를 안내하는 데 그치지 않고, 독자가 구체적인 실천으로 나아갈 수 있게 책의 활용도를 한껏 높이 구성하여, 어린이와 청소년이 스스로 독서동아리를 운영하도록 안내한다. 아이들이 주인이 되어 친구들과 함께 읽을 책과 분량을 정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돕기 위해 기획되었다. 특히 학생들이 주도성을 가지고 자아와 관심사를 탐색한다는 자유학기제에 활용할 만한 자료가 많기 때문에 교사와 학부모에게도 좋은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Contents
1장 독서동아리란
독서동아리란?
독서동아리의 특성
독서동아리가 국어수업과 다른 점
독서동아리의 효과
독서동아리 꾸리기
독서동아리를 지원하는 방법

2장 독서동아리 준비 모임
준비 모임이란?
서로 소개하기
동아리 이름 정하기
규칙 정하기
주제 도서 선정하기
다음 모임의 역할 정하기

3장 독서동아리의 유형들
한눈에 보는 독서동아리
모여 읽기 독서동아리
모여 듣기 독서동아리
감상 나누기 독서동아리
토론하기 독서동아리
토론하기 독서동아리 운영방법 지도하기
통합적으로 읽고 활동하기 독서동아리

4장 독서동아리에 필요한 양식들
초대장
읽은 책 소개
함께 읽고 싶은 책 소개
규칙 만들기
책에 대해 이야기할 때
기록하는 책갈피
활동 계획서와 모임 일지
역할 명패
역할별 양식
질문 카드
Author
김은하
고려대 교육학과에서 학사·석사 학위를 받고,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육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고려대, 중앙대, 경희대에서 교육학을 가르쳤으며, 매년 우수 강의상을 수상했다. 교육청 및 도서관, 학교 등지에서 학교 관리자, 교사, 사서, 학부모, 시민들을 대상으로 강의하고 있고, 초등학생 북스타트 ‘책날개’, 도서관의 독서교실 프로그램 ‘책수리마수리’, 독서문화 플랫폼 ‘책씨앗’, 청소년책추천사이트 '북틴넷(bookteen.net)' 등 다양한 독서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했다. 독서교육 연구와 실천을 잇는 다리가 되길 희망하는 작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세계의 다양한 독서교육 현장을 관찰하고 인터뷰하며, 우리의 독서문화와 교육에 의미 있는 실천이 무엇인지 고민한다.
고려대 교육학과에서 학사·석사 학위를 받고,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육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고려대, 중앙대, 경희대에서 교육학을 가르쳤으며, 매년 우수 강의상을 수상했다. 교육청 및 도서관, 학교 등지에서 학교 관리자, 교사, 사서, 학부모, 시민들을 대상으로 강의하고 있고, 초등학생 북스타트 ‘책날개’, 도서관의 독서교실 프로그램 ‘책수리마수리’, 독서문화 플랫폼 ‘책씨앗’, 청소년책추천사이트 '북틴넷(bookteen.net)' 등 다양한 독서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했다. 독서교육 연구와 실천을 잇는 다리가 되길 희망하는 작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세계의 다양한 독서교육 현장을 관찰하고 인터뷰하며, 우리의 독서문화와 교육에 의미 있는 실천이 무엇인지 고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