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와 한류 문화

$20.70
SKU
978896849997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1/10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88968499975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이 책은 크게 두 가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전반부는 전 세계적인 글로벌 이주에 따른 한국의 다문화사회(Multi-Culturalism) 형성, 다문화 정책과 실태, 다문화사회 미래 한국이 직면하게 될 반(反)다문화 현상의 일본 사례를 다루었다. 후반부는 이동의 지구화라는 큰 소용돌이 속에서 잉태하게 된 한국문화의 확산, 즉 한류 문화(Korean Wave Culture)를 다루고 있다. 1990년대 전후 인류의 이동은 아시아에서 북중미로의 이동으로부터 동북아시아 내에서의 이동이 대세를 이루었다. 이것은 한국 사회의 글로벌화(Globalization)와 급진적인 다문화사회의 형성을 초래하였고 이 과정에서 한국문화의 글로벌화도 촉진되었다.

이런 전 세계적인 이동과 더불어 730만 재외동포에 의해 탄생한 것이 한류 문화이고 전파자는 한국인으로부터 전 세계인으로 확대되었다. 그 단적인 예가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이민진의 ‘파친코(PACHINKO)’ 드라마이고 BTS(방탄소년탄)의 아미(ARMY)라고 할 수 있다. 이제 한류는 전 세계인이 전파자이자 팬이기도 하다. 한류 문화는 한국인들이 오랫동안 깊숙이 간직한 깊은 내면의 ‘한’의 정서의 표현이자 노력의 산물이지 우연한 결과는 아니다. 이런 한국인의 끝없는 노력이 한류 문화로 나타나고 전 세계적인 글로벌화 속에서 비로소 꽃을 피우게 된 것이다. 이 책은 전 세계적인 한류 현상의 극히 일부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을 통해 한국 다문화사회와 세계적인 반다문화 현상을 이해하고 더 많은 한류 문화가 지구촌 곳곳으로 확산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Contents
서문 / 06

제1장 머리말 / 19

제1절 연구목적 및 배경 / 21
제2절 연구내용 및 구성 / 24

제2장 글로벌 인구 이동과 다문화사회 형성 / 29

제1절 세계 인구 이동과 다문화사회 도래 / 31
제2절 다문화사회와 다문화 정책 / 38

제3장 다문화사회 외국인 유입과 다문화 정책 / 43

제1절 외국인 증가와 유입현황 / 45
제2절 다문화사회 도래와 이동의 다양성 / 49
1. 외국인력 수용요인과 정책적 동기 / 49
2. 체류 외국인 정주 여건의 다양화 / 51
제3절 다문화사회 이행과 차세대 정책 / 57
1. 다문화사회 이행과 정책적 딜레마 / 57
2. 다문화 차세대 규모와 정착 실태 / 60
제4절 다문화 차세대의 정책 방향 / 65
1. 차세대 삶의 질 제고와 공생 정책 / 65
2. 다문화 차세대의 교육 정책 / 68
제5절 다문화사회와 정책 방향 / 72

제4장 다문화사회 고려인 마을 형성과 정체성 / 75

제1절 월곡동 고려인 마을 / 77
제2절 고려인 이주와 정체성 형성 / 79
제3절 고려인 마을 형성과 에스닉 비즈니스 / 84
제4절 고려인의 한국어 능력과 정체성 관계 / 89
1. 설문조사 결과분석 / 89
2. 고려인의 한국어 능력 신뢰도와 차이 분석 / 90
3. 고려인 정체성에 대한 신뢰도와 차이 분석 / 96
제5절 고려인 마을과 정체성 변용 / 99

제5장 일본 사회 다문화 정책과 반(反)다문화 현상 / 103

제1절 재특회(在特會)와 재일동포 / 105
제2절 반다문화 사회 등장의 사회 정치적 배경 / 108
1. 넷 우익 등장의 사회적 배경 / 109
2. 재특회 출현의 정치적 배경 / 114
제3절 재특회의 헤이트 스피치와 법적 대응 / 116
1. 헤이트 스피치의 사회문제화 / 116
2. 재특회의 교토 조선학교 습격 사건 / 118
3. 헤이트 스피치를 둘러싼 법적 대응 / 120
제4절 글로벌 사회와 반다문화 현상 / 125

제6장 한류 문화와 혐한류 / 129

제1절 한류의 등장 배경 / 131
제2절 한류의 발전단계 / 134
제3절 재일동포에 의한 한류 확산 / 137
제4절 한류의 사회적?경제적 효과 / 141
제5절 한류의 유행과 혐한류의 등장 / 153
제6절 코리아타운 한류와 일본 사회의 변화 / 157
1. 코리아타운 한류 전파와 일본인의 반응 / 157
2. 한류 전파와 코리아타운 변화양상 / 163
제7절 코리아타운과 한류 / 179

제7장 한류 문화와 K-문화콘텐츠의 확산 / 183

제1절 한류와 K-문화콘텐츠 / 185
제2절 일본문화개방과 단계별 한류유행 추이 / 187
제3절 일본에서 K-콘텐츠 유행과 확산 / 193
1. K-영화 / 193
2. K-드라마 / 196
3. K-POP / 198
제4절 K-콘텐츠와 ‘파친코’ 드라마 / 203
1. 민족산업으로서 파친코 산업의 등장 / 207
2. 파친코 드라마의 디아스포라적 서사구조 / 208
3. 파친코 드라마와 한?일 역사 논쟁 / 210
제5절 영화와 TV 속 다문화가정 / 212
1. 영화 속 다문화가정 / 212
2. TV 속 다문화가정 / 219
3. 영상미디어와 다문화가정 / 222
제6절 한류와 K-문화콘텐츠 / 223

제8장 한류 문화와 BTS 현상 / 227

제1절 한류와 혐(嫌)한류의 흐름 / 229
제2절 재일동포 정책과 한국인관 / 232
1. 1945년 이전 식민지 시기와 불령선인(不逞鮮人) / 232
2. 해방 전후 ‘제3국인’ / 236
3. 2000년대 이후 재특회의 불령선인(不逞鮮人)과 혐한 / 239
제3절 한국 문화정책과 BTS 현상 / 241
1. 한국의 문화정책과 한류 현상 / 241
2. 한류의 시기별, 산업별 동향 / 247
3. 한류와 혐한류, BTS 현상 / 250
제4절 한류의 미래와 과제 / 255

제9장 맺음말 / 257

참고문헌 / 265
찾아보기 / 272
Author
김일태,임영언,박석강
미국 조지아대학교 경제학박사,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이다. 농업유산 자문위원회(농림축산식품부) 위원, 일본응용경제학회 「Studies in Applied Economics(응용경제학연구)」 편집위원, 광주광역시 일자리위원회 위원전)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으로 역임했다.

학력
1969.03~1972.02 광주서중학교
1972.03~1975.02 광주제일고등학교
1976.03~1980.02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학사)
1980.03~1982.02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공학석사)
1982.09~1984.08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석사)
1986.09~1989.12 미국 조지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박사)

주요 연구실적
“기술혁신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횡단면 의존성과 지역별 이질성을 고려하여”, 한국지역경제연구, 19(2), 2021. (공저)
“Cournot Conjectures with Asymmetric Information under Uncertainty,” Journal of Economic Studies, 39(2), 2021, 3-20 (Coauthor).
『Applied Economic Analysis of Information and Risk』, Springer Nature, 2020. (공저)
『사회적경제와 소셜이노베이션』,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공저)
“Regional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Local Employment Growth: Evidence from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Regional Science, 1(2), 2017. (공저)
미국 조지아대학교 경제학박사,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이다. 농업유산 자문위원회(농림축산식품부) 위원, 일본응용경제학회 「Studies in Applied Economics(응용경제학연구)」 편집위원, 광주광역시 일자리위원회 위원전)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으로 역임했다.

학력
1969.03~1972.02 광주서중학교
1972.03~1975.02 광주제일고등학교
1976.03~1980.02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학사)
1980.03~1982.02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공학석사)
1982.09~1984.08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석사)
1986.09~1989.12 미국 조지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박사)

주요 연구실적
“기술혁신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횡단면 의존성과 지역별 이질성을 고려하여”, 한국지역경제연구, 19(2), 2021. (공저)
“Cournot Conjectures with Asymmetric Information under Uncertainty,” Journal of Economic Studies, 39(2), 2021, 3-20 (Coauthor).
『Applied Economic Analysis of Information and Risk』, Springer Nature, 2020. (공저)
『사회적경제와 소셜이노베이션』,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공저)
“Regional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Local Employment Growth: Evidence from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Regional Science, 1(2), 2017. (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