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이의 자연주의 철학

$16.20
SKU
978896849897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5/30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68498978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이 책은 듀이 철학의 다양한 주제들을 자연주의적으로 해명하려는 시도들을 모은 것이다. 듀이에게 자연주의란 ‘연속성’의 원리에 의해 언어, 지식, 가치, 의미, 미적 경험 등을 생물학적이고 물리적인 층위의 경험을 기반으로 새롭게 창발된 것들로 해명하는 입장이다. ‘창발’이란 생물학적 경험과 문화적인 경험, 물리적인 경험과 추상적인 경험 사이에는 단절이 없고 새롭게 발생한 것은 그것이 발생된 것으로 환원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듀이는 경험주의의 경험 개념에 과학적 성과들을 수용하고 새롭게 해석하여 철학적 논의로 확장함으로써 이러한 논의 지평을 개척했다. 이렇게 형성된 경험철학은 전통철학의 핵심적인 문제인 몸/마음, 사실/가치, 이성/정서 등의 이원론을 극복하는 반과학적이고 비환원주의적인 자연주의 방식을 제안한다. 최근 제2세대 인지과학적인 탐구의 성과들을 수렴한 체험주의의 상상력 이론은 듀이의 창발에 관한 철학적 제안들을 보다 구체적인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경험적 토대를 제공한다. 이 책은 철학적 주제들을 경험적으로 해명하는 듀이의 자연주의는 창발적인 것이며 그것은 경험이 은유적으로 확장되는 방식에 의해 현대적으로 재서술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Contents
지은이의 말 / 5

제1장 서론 / 11

제2장 언어: 비트겐슈타인적으로 듀이 읽기 / 21

1. 머리말 / 21
2. 비트겐슈타인의 일상성으로의 복귀 / 24
3. 듀이의 경험에 근거한 언어 / 31
4. 언어의 자연주의적 기반 / 38
5. 맺는 말 / 43

제3장 지식론 재구성하기 / 45

1. 머리말 / 45
2. 방관자적 지식론 비판 / 47
3. 과학적 방법에 근거한 지식론 / 54
4. 치유를 넘어 재건으로 / 60
5. 맺는 말 / 65

제4장 경험의 형이상학 / 69

1. 머리말 / 69
2. 경험의 형이상학인가, 존재의 형이상학인가? / 72
3. 연속성의 원리에 근거한 경험의 형이상학 / 80
4. 근거도로서의 형이상학 / 88
5. 맺는 말 / 94

제5장 가치에 대한 경험적 해명 / 97

1. 머리말 / 97
2. 가치의 문제 / 99
3. 가치는 경험으로부터 어떻게 발생하는가? / 109
4. 사실과 가치의 이분법을 넘어서 / 118
5. 맺는 말 / 127

제6장 의미 / 131

1. 머리말 / 131
2. 지칭적 의미 이론을 넘어서 / 133
3. 경험에 근거한 의미의 본성 / 140
4. 미학으로서의 의미 / 153
5. 맺는 말 / 160

제7장 의미의 미학 / 163

1. 머리말 / 163
2. 경험철학에서 미학의 자리 / 165
3. 일상적 경험에서 미적 경험으로 / 174
4. 존슨의 듀이 미학 읽기 / 183
5. 맺는 말 / 193

제8장 삶의 예술 / 195

1. 머리말 / 195
2. 경험으로 예술 정의하기 / 198
3. 잃어버린 연속성을 찾아서: 예술을 삶과 통합하기 / 204
4. 성장으로서의 예술 / 214
5. 맺는 말 / 221

제9장 결론 / 225

부록_ 은유와 철학적 사유: 신실용주의와 체험주의 / 235

· 참고문헌 / 265
· 찾아보기 / 277
Author
국순아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대학원에서 서양철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과에서 강의 중이다. 주요 저작으로는 「비트겐슈타인의 치유적 철학」(석사학위논문), 「로티의 역사주의적 실용주의」(박사학위논문), 「로티의 역사주의의 한계」, 「듀이의 실용주의적 가치 개념」, 「듀이의 실용주의적인 의미 개념」, 「듀이의 의미의 미학」 등의 논문들이 있다.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대학원에서 서양철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과에서 강의 중이다. 주요 저작으로는 「비트겐슈타인의 치유적 철학」(석사학위논문), 「로티의 역사주의적 실용주의」(박사학위논문), 「로티의 역사주의의 한계」, 「듀이의 실용주의적 가치 개념」, 「듀이의 실용주의적인 의미 개념」, 「듀이의 의미의 미학」 등의 논문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