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선행연구 검토 및 분석 틀 21
제1절 체제 전환국의 사회보장체계와 사회주의 유산 23
제2절 아시아 체제 전환국의 사회보장체계 분석 틀 29
제3장 베트남의 체제 전환과 사회보장체계 변화 53
제1절 베트남 체제 전환의 배경 55
제2절 체제 전환 이전의 사회보장체계 58
제3절 체제 전환 이후의 사회보장체계 변화 62
제4절 체제 전환 이후 사회보장에서의 공사 역할 분담 84
제5절 체제 전환 이후 사회보장의 성과와 한계 94
제4장 미얀마의 체제 전환과 사회보장체계 변화 103
제1절 미얀마 체제 전환의 배경 105
제2절 체제 전환 이전의 사회보장체계 120
제3절 체제 전환 이후의 사회보장체계 변화 127
제4절 체제 전환 이후 사회보장의 성과와 한계 149
제5장 캄보디아의 체제 전환과 사회보장체계 변화 159
제1절 캄보디아 체제 전환의 배경 161
제2절 체제 전환 이전의 사회보장체계 166
제3절 체제 전환 이후의 사회보장체계 변화 171
제4절 체제 전환 이후 사회보장의 성과와 한계 193
제6장 북한에의 시사점과 남북협력 방안 203
제1절 북한에의 시사점 도출의 필요성 207
제2절 북한 사회보장체계의 변화와 과제 212
제3절 북한의 사회보장을 위한 남북협력 방안 229
제7장 결 론 233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235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추후 과제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