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시설보육서비스에 대하여 시설 공급, 보육교사 공급 및 근로 환경, 재정 지원 영역을 바탕으로 서비스 공급 구조를 검토하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국공립 어린이집의 위탁운영체계에 대한 공공성 확보 노력과 시설 유형별 서비스 환경의 격차와 근로환경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어린이집 유형별 재정지원 체계의 일원화, 기본 보육 시간 개념 도입을 통한 보육교사 배치와 서비스 제공 시간 등에 대한 구조적 개편을 제안하였다.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선행연구 고찰 13
제1절 국내 보육 정책의 현황과 이슈 15
제2절 영국 사례 20
제3장 어린이집 공급 및 이용 33
제1절 어린이집 공급 현황 35
제2절 어린이집 이용 현황 55
제3절 소결 64
제4장 보육교사 공급 및 근로 현황 67
제1절 보육교사 공급 및 자격 관리 69
제2절 보육교사 근로 현황 분석 86
제3절 보육교사 정책 요구도 110
제4절 소결 117
제5장 재정 지원 및 관리 121
제1절 재정 지원 및 분담 체계 123
제2절 운영비 지원과 관리 136
제3절 소결 146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49
제1절 결론 151
제2절 정책 제언 154
참고문헌 161
부 록 167
부록 1. 보육교사 서비스 제공 및 근로환경 조사 결과 167
부록 2. 보육교사 서비스 제공 및 근로환경 조사표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