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기술 발전에 의한 노동 대체적 생산체제로의 전환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저출산·고령화의 위험은 더 이상 노인부양비와 관련한 미래 재정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합계출산율의 즉각적인 상승을 목표로 하는 기존 저출산 대응 전략에 대한 수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기술 발전이 야기하는 고용 및 소득불안정성 확대라는 새로운 저출산·고령사회의 위험 속에서 자녀 양육 가구에 대한 현금 급여로서 갖는 아동수당의 정책기능을 진단하고, 입법예고된 아동수당법 제정안의 쟁점 사항들에 대한 검토와 함께 관련 제도들과의 유기적 관계를 고려한 아동수당제도 운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제2장 아동수당 도입의 필요성 17
제1절 가족정책의 유형과 지출 추이 19
제2절 우리나라 가족정책의 구조적 한계 27
제3장 아동수당제도 운영 사례와 시사점 37
제1절 아동수당제도 운영 체계 39
제2절 기타 수당 지원과 관련 제도 현황 51
제3절 재정 위기와 아동수당제도 변화 68
제4장 아동수당법 제정안의 주요 쟁점 77
제1절 보편적 균등 수당 지급 79
제2절 정책 대상 및 양육수당지원 제도와의 중복 여부 92
제3절 현금 이외 아동수당 지급 방식의 허용 98
제5장 아동수당제도 운영 방향 105
제1절 개선 과제 107
제2절 아동수당제도 확대 운영 방향 115
참고문헌 121
부 록 129
캐나다 아동수당 및 기타 지원 제도 129
OECD 국가 아동수당 및 기타 가족지원 관련 제도 현황 131
부모 설문 조사결과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