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거생활주기라는 개념적 틀을 가지고 우리나라 초저출산의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신혼 초) 주거 관련 요인들이 신혼부부의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택 점유형태, 주택 관련 부채와 가족 지원의 신혼초기의 주거 특성이 계속적으로 출산 또는 추가 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영향력들은 자녀 순위, 혼인연령, 점유형태 변화 등 혼인의 생애과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자녀를 낳으려는 신혼부부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주거 정책들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신혼 초 주거요인이 혼인생활 단계별로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적절한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안정적 주거 마련이라는 신혼부부의 장기적 소비 과정이 출산과 경쟁관계에 놓여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의의가 있다.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주거와 출산에 대한 기존 연구 분석 12
제3절 분석 개념 설정 및 연구방법 17
제2장 정책 현황 및 해외 사례 분석 27
제1절 신혼부부 주거지원 정책 29
제2절 신혼부부 및 자녀양육 세대 주거지원 정책 해외 사례 43
제3장 신혼부부 사회인구학적 특성 분석 51
제1절 신혼부부 분포 53
제2절 신혼부부 분포와 지역 출산율 63
제4장 주거생활주기 특성의 출산 결정 분석 75
제1절 기술 통계 77
제2절 분석 결과 85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05
제1절 출산지원으로서의 주거정책 방향성 107
제2절 맺음말 114
참고문헌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