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연장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6.48
SKU
978896827448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12/31
Pages/Weight/Size 160*235*20mm
ISBN 9788968274480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여기서는 연산가능 일반균형 모형을 이용하여 정년연장의 파급효과를 살펴보았다.각 산업에 대한 고용 증가 효과는 산업별 숙련도와 관련이 있으며, ‘전문서비스’와 같이 숙련을 필요로 하는 곳일수록 정년연장의 도입 가능성이나 도입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산업별 부가가치는 ‘정밀기계’, ‘전기전자’, ‘기계설비’ 등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정년연장으로 인하여 현재의 빈곤율을 낮추거나, 불평등을 완화하는 효과는 단기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정년연장의 혜택이 소득분포 상에서 상대적으로 고소득자들에게 주어지는 경우가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정년연장으로 인한 추가적인 소득은 퇴직 후부터 연금수급 시점까지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노후빈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33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35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38
제2장 선행 연구 41
제1절 해외 선행 연구 43
제2절 국내 선행 연구 46
제3장 파급효과 분석 모형 61
제1절 공급사용표, 산업연관표, 사회회계행렬 63
제2절 모형의 데이터베이스 75
제3절 CGE 모형의 개요 78
제4절 분석 시나리오 85
제4장 분석 결과 103
제1절 거시적 파급효과 105
제2절 미시적 분석 117
제5장 요약 및 시사점 121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123
제2절 연구의 한계 125
참고문헌 129
부 록 133
부록 A. 파라미터 값의 비교 133
부록 B. 2010년 기준 상품 분류 체계 144
부록 C. 2005년 기준과 2010년 기준의 상품분류표 147
Author
남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