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의 현대 한자음과 중국의 현대 한자음을 비교하여 대응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에서 만들어진 한자는 오래전 동아시아 각지로 전해졌다. 한국에서도 당대 한국어의 음운체계에 맞게 한자의 음을 받아들였다. 그 이후에는 한국어의 음운변화에 따라 한국 한자음이 변하였다. 중국의 한자음 또한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르다. 오늘날 중국의 표준 한자음으로 삼는 북경 지역의 한자음 또한 지역적인 특성과 역사에 따른 변화를 겪었다. 이런 이유 같은 한자라도 중국의 한자음과 한국의 한자음은 다르다. 그러나 그 뿌리는 같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것이 아니라 공통점도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동일한 한자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한자음을 비교 대조하여 여러 층위에서의 대응관계를 살펴본다.
Contents
· 서문__v
1. 한국과 중국의 현대 한자음 대응관계__1
1.1. 현대 한자음 비교의 필요성__1
1.2. 연구대상 및 방법__2
1.3. 한중 현대한자음에 대한 연구__6
1.4. 논의의 구성__9
2.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대응__11
2.1. 현대 한국어의 음운 체계__11
2.2. 현대 표준중국어의 음운 체계__13
2.3.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대응__17
5. 한중 한자음 대응의 활용__151
5.1. 연구를 위한 활용__151
5.2. 교육과 학습을 위한 활용__153
· 참고문헌__155
[부록 1] 분석 대상 한자(4,251자)__158
[부록 2] 자형 중복 제외자(2,677자)__162
[부록 3] 한국 목록에만 있는 한자(823자) *문자 코드 기준__164
[부록 4] 중국 목록에만 있는 한자(823자) *문자 코드 기준__165
[부록 5] 한국 한자 중 다음자(94자)__166
[부록 6] 중국 한자 중 다음자(81)__166
[부록 7] 한국 현대 한자음의 음절 유형 목록__167
[부록 8] 중국 현대 한자음의 음절 유형 목록 - 병음 표기 기준__167
[부록 9] 중국 현대 한자음의 음절 유형 목록 - 음소 표기 기준(399)__168
[부록 10] 음절별 대응 전체 __168
Author
곽예
2007년 중국산동사범대학교 한국어과 학사 졸업
2010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어과 석사 졸업
2018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박사 졸업
2018년 중국산동청년정치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과 교수
2007년 중국산동사범대학교 한국어과 학사 졸업
2010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어과 석사 졸업
2018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박사 졸업
2018년 중국산동청년정치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