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문자·매체·도시’라는 주제로 지난 1년간 지속된 학제적 공동연구의 결실이다. [문자人(Homo Litteratus) -동서양 문자의 사회문화적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된 우리의 작업은 문명과 학문의 토대인 문자가 우리의 생활과 맺고 있는 밀접한 연관을 학문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일차적인 목표 속에서 이루어졌다. 인문학의 위기와 구텐베르크 은하계의 몰락을 이야기하는 현 상황에서 우리는 역으로 문화를 형성하고, 전수하며, 교환하는 문자의 역할에 우선적으로 주목했다.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정보화의 시대에도 여전히 강력한 문자의 영향력 속에서 살아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Contents
머리말
1부 문자와 도시
발터 벤야민의 대도시 고고학 _ 남덕현
문자로 재현된 고대 도시 카르타고 플로베르의 ??살람보??를 중심으로 _ 진인혜
낙서에서 거리예술로파리의 그라피티 _ 김미성
2부 문자와 매체
프랑스 현대 문화와 문학 그리고 상호매체성 _ 곽민석
문맹자들을 위한 문자 _ 박동준
루터성서 출판과 개정의 역사 _ 최경은
3부 매체와 도시
장소에 새긴 노래, 노래에 새긴 장소동물원의 김창기론 _ 박애경
192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대중가요로 보는 서울 노래 변천사 _ 장유정
종교개혁기의 비텐베르크 인쇄문화를 중심으로 _ 최경은
찾아보기
출처
저자 소개
Author
남덕현,진인혜,김미성,곽민석,박동준,최경은,박애경,장유정
홍익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겸임교수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석사)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페터 바이스의 소설『저항의 미학』에 사용된 묘사의 정치적 미학」 박사학위 취득
주요 연구 성과:『저항의 미학』 제2권(역서, 2016),「페터 바이스의『저항의 미학』에 나타난 형상과 언어의 관계에 대한 연구」(2015),『커피의 역사』(역서, 2013)
홍익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겸임교수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석사)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페터 바이스의 소설『저항의 미학』에 사용된 묘사의 정치적 미학」 박사학위 취득
주요 연구 성과:『저항의 미학』 제2권(역서, 2016),「페터 바이스의『저항의 미학』에 나타난 형상과 언어의 관계에 대한 연구」(2015),『커피의 역사』(역서,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