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어방언지리학

$50.60
SKU
978896817516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6/30
Pages/Weight/Size 153*225*35mm
ISBN 9788968175169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중국 문명의 시대가 점점 다가오고 있다. 중국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그들이 소통하는 언어의 창틀을 통해 읽어낼 수 있으며, 그 다양한 방언 속에서 그들의 풍요로운 문화의 내면을 들여다 볼 수 있다.

중국의 언어는 무질서해 보이는 것 같지만 엄연한 질서가 내재되어 있다. 그들에게 마치 외국어와 같이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있어서 우리에게는 중국의 언어 분립 문제가 매우 심각해 보인다. 그러나 어떤 통제적 수단이 아닌 다양한 소수민족의 문화와 제도 및 그들의 언어를 모두 존중하는 다양성의 입장에서 그들은 큰 갈등이나 사달 없이 소통하고 있다. 그리고 서서히 그들만의 새로운 미래 지향적인 문명의 질서를 이끌어내는 탁월함을 읽을 수 있다.

방언 문화의 이해는 한어와 중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초적인 통로 역할을 한다. 이 책에서는 문화권이 언어 소통 권역과 매우 밀접해서 중국의 다양한 방언지역이 어떻게 나누어져 있는지, 그러한 구분의 근거가 무엇인지 잘 설명해 놓았다. 또한 언어의 다양한 지리적 분화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언어지도 제작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매우 뚜렷한 지향성이 있는 방언학 개설서라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Contents
재판 서문
한국어판 저자 서문
?文版序
역자 서문
방언지도 목록
일러두기


제1장 서론
1. 방언과 방언학
2. 방언지리학의 등장
3. 한어방언학의 출현과 그 학술적 전통
4. 방언지리학과 방언지도의 소개와 탐색
4.1 외국 서적의 유입, 번역, 평론
4.2 방언지리학 및 한어방언지리학의 소개와 탐구
4.3 방언지도의 소개와 탐색
5. 한어방언지리학의 실천

제2장 방언지도
1. 방언지도의 형식
1.1 점상(点狀)분포지도
1.2 등어선지도
1.3 면상(面狀)분포지도
2. 방언지도의 분포지점
3. 방언지도의 제작


제3장 언어 특징의 지리분포 유형과 등어선 이론
1. 언어 특징의 지리 분포 유형
1.1 언어 특징의 지리 분포 유형
1.2 불연속분포의 형성 원인
1.3 바르톨리(Matteo Bartoli)의 ‘구역모형’ 가설
2. 등어선 이론
2.1 등어선은 무엇인가?
2.2 등어선 그리는 두 가지 방법
2.3 방언 분포 구역에 작용하는 등어선의 방식
2.4 등어선과 언어 특징 분포와의 관계
2.5 등어선의 유형
2.6 등어선 간의 공간 관계
2.7 등어선속
2.8 등어선 또는 등어선속의 등급
2.9 등어선의 지리와 문화와의 관련성
3. 개신과 고음 유지
3.1 개신과 고음 유지, 공동 개신과 평행 개신의 구분
3.2 방언 분류상 개신과 고음 유지 특징의 효능
4. 방언 분류의 모형

제4장 한어방언구획도
1. 최초 한어방언구획도
2. 신보지도(申報地圖)??에서의 언어구역도
3. 고교 교재에서의 한어방언구역 설명도
4. 백과전서 및 학술 저서에서의 한어방언구획도
5. 중국언어지도집??에서의 한어방언지도
6. 관화 구획도
7. 타이완성(臺灣省)의 언어방언지도
8. 한어방언구획


제5장 전제연구
1. 한어방언의 거시적 구획
1.1 남북 대립과 관화(만다린)의 정의
1.2 진어(晋語)의 지위
1.3 남방 방언의 구획
1.4 하카??간(客?) 방언의 분합
1.5 후이저우(徽州) 방언의 귀속
1.6 핑화(平話)의 귀속
1.7 한어방언구획의 일반적인 원칙
2. 한어방언의 미시적 구획
2.1 유어어의 제1단계 하위 구분
2.2 하카말 중심 지역의 제1단계 하위 구분
2.3 하카말 후이저우 지역의 문제
3. 고음 미(微) 모자의 현재음을 통해 본 유어어에 대한 하카말 영향
4. 민시(?西) 하카 말에서의 “인(寅)”자 발음

이 책의 자료 출처
참고문헌
후기
한어방언 링크집
부록 / 방언지도
Author
샹멍빙,초휘,이상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