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한글, 한국어

$44.28
SKU
978896817496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5/30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88968174964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한글과 불교와의 관계가 오랫동안 매우 긴밀했던 사정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다. 이를테면 훈민정음은 창제 이후 석가모니 부처의 일대기를 서술하고(『석보상절[釋譜詳節]』)과 불교 영성의 찬송하는(『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시도들을 통해, 바야흐로 민족어(vernacular)의 표기체계로서 광휘를 드러냈다. 그런가하면 소수의 중세보편어(漢文) 독자만이 열람할 수 있었던 불경은 간경도감(刊經都監)과 불경의 한글 번역의 역사(役事) 이후 비로소 명실상부한 민족의 종교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어디 그뿐인가? 외래종교인 불교의 교리와 사부대중(四部大衆)의 신심은 한글로 쓰여진 불교가사로 전파되고 음송되면서 일상 속에서 살아 있는 말씀이 되었다. 바꾸어 말하자면 한글의 역사는 곧 민족종교로서 불교의 역사였고, 불교의 역사는 곧 민족어로서 한국어의 역사였던 것이다. 또한 그 오랜 세월 속에서 한국어의 언어문화는 불교의 영향으로 풍성해졌으며, 불교의 교의는 한국인의 삶과 문화의 일상적인 관념으로 자리 잡았다.

지난 인문한국사업단의 학술대회와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불교와 한글 그리고 한국어를 둘러싼 역사와 문화를 언어학, 불교학, 인문정보학의 차원에서 다면적으로 조망한 성과이다. 우리 인문한국사업단은 현재 3단계 아젠다 연구활동 기간 중 근현대 자료에 나타난 언어의 변천과 인간의 다면적 양상을 탐구하는 한편 근현대 한국인의 삶의 언어 속에서 의사소통과 담화 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 가운데에서 특히 사회의 공론장과 의사소통의 문제, 번역 텍스트의 주해와 전자정보화를 통한 근현대 일상어의 형성 과정을 공시적으로, 또 통시적으로 탐색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바로 이러한 차원에서 우리 인문한국사업단은 앞서 거론한 바와 같이 한국어의 언어문화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 종교, 종교 언어의 번역과 일상 언어로서의 정착 과정을 다면적으로 조망하고, 그 결과 얻어진 복합적인 지식을 인문언어학의 차원에서 정립하고자 했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훈민정음과 불교 그리고 번역

한글의 탄생과 불교사상의 언어 / 노마 히데키(野間秀樹)
1. 머리말―불교사상과 ‘쓰기’의 기원
2. 사면석탑에서
2.1. 한글이 새겨진 사면석탑(四面石塔)
2.2. 사면석탑 텍스트의 언어장(言語場)에서는무엇이 일어나는가/일어나지 않는가
3. 범자와 한자와 한글―무엇이 다른가
3.1. 음절구조와 문자
3.2. 범자가 한자가 될 때, 한자가 한글이 될 때
4. 한글의 탄생과 사상, 그리고 불교사상
4.1. 사면석탑에서는 보이지 않는 것
4.2. 훈민정음=한글 탄생의 자장(磁場)
4.3. 훈민정음=한글이 조선어의 전부를 음의 세계에서빛의 세계로 해방시켰다
4.4. 한국어의 [쓰여진 언어]가 되는 불교
5. 맺음말
5.1. 훈민정음=한글은 불교를 말하는 말 그 자체도, 말이 실현되는 언어장(言語場)도 변혁시켰다
5.2. 마지막의 물음 -[가르침]에 있어서 언어란 어떠한 것인가




훈민정음 표기법과 불전언해의 관계 / 정 우 영
1. 머리말
2. ‘훈민정음’ 자모·운용 규정
2.1. ‘훈민정음’의 자모 규정
2.2. ‘훈민정음’의 운용 규정
3. ‘훈민정음’ 표기법의 변화와 불전언해
3.1. 순경음 표기의 폐지와 『능엄경언해』
3.2. 각자병서와 여린히읗(ㆆ) 폐지와 『원각경언해』
3.3. 한자음의 교체와 『육조대사법보단경언해』(1496)
4. 맺음말

불교를 통한 훈민정음 보급의 의미 / 김 슬 옹
1. 머리말: 왜 불교와 훈민정음인가
2. 연구사의 주요 맥락
3. 조선왕조 지배층의 불교 인식의 다층성
4. 불교 관련 훈민정음 문헌의 사회언어학적 의미
4.1. 동기
4.2. 언어정책 측면에서
4.3. 주체 측면
4.4. 텍스트
5. 조선시대 훈민정음 발달 단계에 따른 의미
6. 맺음말

불경 언해본의 역주 현황과 의미 / 홍 현 보
1. 머리말
2. 한글 문헌의 범위
2.1. 한글 문헌
2.2. 언해본
2.3. 한글 필사본과 한글 고문서
3. 한글 창제와 한글 문헌의 실재
3.1.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번역
3.2. 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번역
3.3. 한글 문헌의 실재
4. 한글 문헌의 분류
4.1. 동서양의 문헌 분류
4.2. 한글 문헌의 분류
4.3. 기타 분류 방법
5. 조선 시대의 간행물과 언해사업
5.1. 세종 시대 인쇄문화
5.2. 세조의 불전 간행 사업
5.3. 조선 시대 인쇄문화
5.4. 조선의 불교 관련 한글 문헌
6. 한글 문헌의 역주 현황
6.1. 우리 고전의 번역
6.2. 한글 문헌의 역주
6.3. 불경 언해본의 역주
7. 맺음말: 역주 사업의 의미와 활용



제2부 불경의 번역 그리고 한국어

한국불교에서 『화엄경』의 위상과 한글 번역 / 신 규 탁
1. 머리말
2. 『화엄경』 강학(講學)의 현주소
3. 『화엄경』의 이해와 해석의 지평
4. 용성과 운허의 번역에 나타나는 특징
4.1. 분과(分科)를 통해 본 용성과 운허의 비교
4.2. 역어(譯語)를 통해 본 용성과 운허의 비교
5. 맺음말

『법화경』의 번역과 운허스님의 법화경관 / 차 차 석
1. 머리말
2. 해제를 통해 본 법화경관
2.1. 각 품의 대의를 통해본 법화경관
2.2. 경전의 제목에 대한 해설과 불신관(佛身觀)에 대한 입장
3. 번역문에 나타난 법화경관
3.1. ?서품?에서 『무량의경(無量義經)』이라 번역된 부분
3.2. ?비유품?에 나오는 불자(佛子)에 대한 시각
3.3. 번역어에 관한 문제
4. 맺음말

『금강경』의 초기 한글 번역 / 김 치 온
1. 머리말
2. 『금강경』의 초기 한글 번역
2.1. ‘相’에 대한 한글역
2.2. ‘四相’의 한글해석
2.3. 게송의 한글역
2.4. ‘즉비(卽非)’의 경구(經句)에 대한 한글역
2.5. 그 외 불교용어에 대한 한글역
3. 맺음말: 초기 『금강경』 한글 번역의 의의

실담 문자(Siddham?t?k?, 悉曇文字)의 동아시아 전래와 한글 / 김 현 덕
1. 머리말
2. 범자(梵字)의 성립
2.1. 브라흐미(Br?hm?) 문자
2.2. 굽타형(Gupta type) 문자
2.3. 실담(悉曇) 문자(Siddham?t?k?)
2.4. 데바나가리(Devan?gar?) 문자
3. 동아시아 실담학(悉曇學) 현황
4. 맺음말



제3부 한국어연구, 종교학 그리고 인문정보학

종교 언어의 언어정보학적 고찰 / 서 상 규
1. 머리말
2. 한국어 말뭉치와 그 활용의 흐름
2.1. 최초의 한국어 말뭉치
2.2. 컴퓨터 처리를 위한 한국어 말뭉치
2.3. 연세 20세기 한국어 말뭉치
3. 한글대장경 말뭉치와 그 활용
3.1. 말뭉치의 원천 자료의 입력과 국어학적 검수
3.2. 언어학적 분석과 말뭉치 주석
3.3. 한글 대장경 말뭉치의 검색
4. 종교 언어 비교 말뭉치의 구축과 분석
4.1. 비교 말뭉치의 구성
4.2. 비교 말뭉치의 구축과 가공의 문제
4.3. 종교별 특성 비교 어휘의 분포 분석
5. 맺음말

『능엄경언해』 활자본과 목판본의 대조와 말뭉치 구축 / 유 근 선
1. 머리말
2. 『능엄경언해』의 간행 경위
3. 연구 대상 설정
3.1. 『능엄경언해』 권 7의 현존 활자본
3.2. 『능엄경언해』 권 7의 현존 목판본
4. 활자본과 목판본 비교 결과
4.1. 지정사 ‘ㅣ-’의 교정
4.2. 번역과 관련된 교정
4.3. 협주 이동의 교정
4.4. 방점의 교정
4.5. 한자음의 교정
4.6. 모음조화와 관련된 교정
4.7. 단순한 오자의 교정
5. 맺음말

국어사전과 불교 언어 / 김 한 샘
1. 머리말
2. 불교 언어에 대한 선행 연구
3. 국어사전의 불교 관련 어휘 기술 현황
4. 국어사전에 나타난 불교 용어의 일반어화
5. 맺음말


한글대장경 개역 전산화사업의 성과와 과제 / 이 재 수
1. 머리말
2. 21세기 대장경의 의의
2.1. 대장경의 현대적 조망
2.2. 소통의 관점에서 본 역경활동
2.3. 한글대장경 편찬사업
3. 한글대장경 개역 전산화 사업
3.1. 대장경 전산화로 시작된 전자불전
3.2. 한글대장경 개역 전산화 사업의 성과
4. 한글대장경의 향후 과제
4.1. 통합대장경 구축 작업
4.2. 통합대장경의 과제
4.3. 한글대장경의 문화콘텐츠 활용
5. 맺음말

? 저자소개(집필순)
Author
서상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