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한 정원

$35.64
SKU
978896817453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12/30
Pages/Weight/Size 148*210*30mm
ISBN 9788968174537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불완전한 정원』은 우선 계몽주의를 전후한 16-19세기 프랑스 사상사의 맥락에서 보수주의, 과학주의, 개인주의, 인본주의라는 대립구도를 설정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한편으로는 실천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그 네 가지 계보의 강점과 취약점을 심도 있게 고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들을 기존 정치체제들과 결부시켜 폭넓게 재조명한다. 이리하여 다다르는 결론이 보수주의와 권위주의, 과학주의와 전체주의, 개인주의와 무정부주의, 인본주의와 민주주의가 각기 상대적 친화성을 띠고 있다는 것이다.

몽테뉴와 콩스탕을 가장 우호적으로 다루고 있는 『불완전한 정원』의 저자 토도로프에 의하면, 개별 인간은 태생적으로 유동적이고 시시각각 가변적인 비결정성의 불완전한 존재이다. 그들이 구성하는 다차원의 공동체 또한 불가항력적으로 ‘불완전한 정원’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인간과 사회의 불완전함 그 자체를 존엄시하는 사유체계로서의 인본주의와 정치체제로서의 민주주의를 적정선에서 조화시키는 부단한 노력이 요청된다. 그것이 또 다른 인류 잔혹사의 재발을 예방하고 점진적으로 개별 인간의 행복을 늘여나가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이다.

Contents
프롤로그: 무시된 계약

제1장 네 계보의 놀이

보수주의자들 _19 | 끊어진 사슬 _27 | 과학주의자들 _33
개인주의자들 _43 | 인본주의 계보 _49 | 계보들의 분쟁 _55
‘오만’과 ‘순진’ _61 | 자연적인 혹은 인위적인 _65
역사 속의 인본주의 _71

제2장 자율 선언

몽테뉴 _79 | 데카르트 _90 | 몽테스키외 _100 | 루소 _108 | 콩스탕 _117

제3장 상호의존

사회적 본성 _132 | 사회성 _134 | 시선과 애착 _141 | 인간적 교류 _147

제4장 혼자 산다는 것

개인들의 시대 _155 | 고독 예찬 _159 | 루소, 장 자크를 심판하다 _164
독립 욕망 _174 | 능동적 삶과 관조적 삶 _179

제5장 사랑의 길들

대체 불가능성 _189 | 욕구로서의 사랑 _195 | 기쁨으로서의 사랑 _206
목적으로서의 개인 _211 | 불완전함을 사랑하기 _221
사랑과 인본주의 _225

제6장 개인: 복수성과 보편성

인간: 다양성과 유동성 _232 | 주형(鑄型) _236
(다시) 목적으로서의 개인 _242 | 유일한 존재 _249
나와 타인들 _255 | 인간조건 _257

제7장 가치 선택

개인주의적 삶의 방식들 _270 | 몽테뉴의 지혜 _276
라 로슈푸코의 정직함 _283 | 보들레르의 심미주의 _290

제8장 인류를 위한 도덕

제3의 길 _298 | 이중의 삶 _307 | 도덕을 위한 변론 _312
기독교 도덕 비판 _319 | 양심과 이성 _328 | 의무와 감미로움 _334
가냘픈 행복 _342

제9장 열정에의 욕구

이익의 지배 _346 | 이익과 감정 _349 | 탈중심화된 인간 _356
도덕과 종교 _365 | 도덕과 진리 _370

에필로그: 인본주의의 내기


참고문헌
인명색인
역자 후기

Author
츠베탕 토도로프,유제호
불가리아 태생의 프랑스 문학이론가, 역사학자, 철학자다. 구조주의 언어학에 기초하여 문학 텍스트의 형태에 관한 이론 수립을 시도했고, 한국을 방문해 강연한 적도 있다. 현대사 및 정치에 관한 『악의 기억』, 『의무와 환희: 뱃사공의 삶』, 플랑드르 미술을 연구한 『일상 예찬』, 『개인 예찬』 등의 저서가 있다.
불가리아 태생의 프랑스 문학이론가, 역사학자, 철학자다. 구조주의 언어학에 기초하여 문학 텍스트의 형태에 관한 이론 수립을 시도했고, 한국을 방문해 강연한 적도 있다. 현대사 및 정치에 관한 『악의 기억』, 『의무와 환희: 뱃사공의 삶』, 플랑드르 미술을 연구한 『일상 예찬』, 『개인 예찬』 등의 저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