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사’란 인간이 세계를 분류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언어적 장치로 ‘사람 한 명’의 ‘명’과 같은 언어 형태에 해당된다. 분류사는 한국어에 그 수량을 정확히 확정하기 어려우나 4-5백개, 심지어 1000개 넘게 있다고 밝혀졌다. 분류사의 의미 특성을 밝히는 일은 언어학적 연구에 필요할 뿐만 아니라, 현실 세계에 대한 인간 인식의 일단을 살펴보는 사회문화적 연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국어 연구에서는 분류사가 크게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또 객관주의 언어관의 영향으로 분류사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언어 현상을 기술하는 데 치중하고 인지적으로 설명·해석하는 것은 여전히 부족하다. 그래서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분류사의 표면적 쓰임새 뒤에 숨어 있는 인지적 신비를 밝히는 데 힘을 썼다는 점이 이 연구의 가장 큰 가치라 하겠다. 이 연구의 가치를 이외에 다음 3가지 측면에서도 찾을 수 있겠다.
첫째,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총 465개의 분류사를 하나하나씩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 연구는 분류사 어휘 항목에 대한 비교적 전면적인 접근이라 할 수 있겠다. 둘째, 분류사의 공시적 용법을 세밀히 분석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통시적 발달을 동기화하는 인지적 요인을 탐구하기도 하였다는 점이다. 이로써 분류사의 의미적 근원과 인지적 생성 기제를 밝힐 수 있었다. 셋째, 대조언어학적 차원에서 한·중 대조 분석을 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서, 분류사 사용 양상에 담겨 있는 한국 언어공동체의 인지적 경향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 머리말
01 들머리
1. 연구 목적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과 구성
02 분류사 연구의 인지언어학적 기초
1. 분류사의 성격
2. 분류사 연구의 인지언어학적 적용 가능성
2.1. 개념적 환유·은유 이론
2.2. 원형 이론
2.3. 해석설
03 한국어 분류사 생성의 인지적 기제
1. 사람명사·신체어·식물어에 기반한 분류사
2. 사물·장소·시간명사에 기반한 분류사
3. 신체동작어에 기반한 분류사
4. 한국어 분류사 생성 과정의 인지적 설명
4.1. 환유에 기초한 문법화
4.2. 은유에 기초한 문법화
4.3. 은·환유에 기초한 문법화
04 한국어 분류사의 범주화 양상
1. 생물 분류사
1.1. 인간성 분류사
1.2. 동물성 분류사
1.3. 식물성 분류사
2. 무생물 분류사
2.1. 형상성 분류사
2.1.1. 점형(點形) 분류사
2.1.2. 선형(線形) 분류사
2.1.3. 평면형(平面形) 분류사
2.1.4. 입체형(立體形) 분류사
2.2. 기능성 분류사
2.2.1. 의·식·주생활 관련 분류사
2.2.2. 문화·농경·경제생활 관련 분류사
2.2.3. 기계·도구 관련 분류사
2.3. 수효성 분류사
2.3.1. 개체적 수효성 분류사
2.3.2. 집합적 수효성 분류사
2.4. 부분성 분류사
2.4.1. 선형물(線形物) 부분성 분류사
2.4.2. 평면(平面)·입체물(立體物) 부분성 분류사
3. 추상물 분류사
3.1. 도량성 분류사
3.1.1. 표준적 도량성 분류사
3.1.2. 일시적 도량성 분류사
3.2. 시간성 분류사
3.3. 사건성 분류사
4. 한국어 분류사 범주화 양상의 인지적 설명
4.1. 분류사-명사지시물의 일 대 다 관계
4.2. 분류사-명사지시물의 다 대 일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