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학의 담론 분석

$20.20
SKU
978896817333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2 - Mon 04/2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4/17 - Mon 04/2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2/25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88968173332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이 책에는 다문화주의 담론, 노년담론과 몸담론, 인문지리 담론, 페미니즘 담론 등 4개의 부로 나누어서 모두 11편의 글을 수록하였다. 이 글들에서 최근 우리 문학이 관심을 가져온 문학적 담론이 무엇이었는가를 알 수 있으며, 동시에 문학을 해석하고 비평해온 필자가 해석 틀로 어떤 담론에 대해 관심을 가졌는지도 드러났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다문화주의 담론과 여성소설

다문화 소설 속에 재현된 결혼이주여성: 공선옥의[가리봉 연가]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가리봉 연가]에 등장하는 결혼이주여성
3. 마무리
다문화 소설에 재현된 베트남 여성: 서성란의[파프리카]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본론
3. 결론: 다문화사회를 위한 제언

제2부 몸담론과 노년담론

김훈 소설에 나타난 몸담론:[화장]을 중심으로
1. 서론: 포스트모더니즘과 몸담론
2. [화장]에 나타난 몸담론
3. 결론
노년담론의 소설적 형상화: 박완서의[마른 꽃]을 중심으로
1. 서론
2. 노년의 타자화 그리고 재혼 모티프
3. 결론

제3부 인문지리 담론과 문학의 공간

김광섭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 이미지와 생태적 상상력
1. 서론
2. 왜 장소인가?
3. 김광섭 후기 시의 장소 이미지와 생태적 상상력
4. 결론
?밀다원 시대]에 나타난 ‘부산’과 ‘밀다원’의 장소감
1. 서론
2. ‘부산’과 ‘밀다원’의 장소감의 대립
3. 결론
자폐적인 내적 공간에 유폐된 자아: 이승우의[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내적 공간과 외적 공간
3. 세 개의 상징공간과 자폐적 자아
4. 맺음말

제4부 페미니즘 담론과 문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신여성 모티프
1. 머리말
2. 남성 텍스트의 신여성 모티프
3. 여성 텍스트의 신여성 모티프
4. 맺음말
신여성의 사랑과 자유이혼: 김명순의[나는 사랑한다]
1. 서론
2. 김명순의 정신주의적 사랑과 자유이혼론
3. 결론
다무라 도시코의[포락지형(?烙の刑)]에 나타난 성적자기결정권과 개방결혼 모티프 연구
1. 서론
2. 성적자기결정권과 개방결혼 모티프의 형상화
3. 결론
잡지 [삼천리]의 사회주의 페미니즘 담론 연구
1. 서론
2. 잡지 [삼천리]의 사회주의 페미니즘 담론
3. 결론
Author
송명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