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는 사회 정치적으로 가장 어두웠지만, 한국 현대시사에서는 가장 풍요로운 성과를 거둔 시기이기도 하다. 그간 이 시기 우리 시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축적된 것도사실이다. 하지만 여전히 조명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1930년대 한국 현대시를 자연, 근대, 현실이라는 코드로 찰한 것이다.
Contents
제1장 김기림 시의 보편주의와 초월적 시선 연구-초기시를 중심으로 11
1. 서론·11
2. 세계 시민의 시선과 종말론적 상상력·17
- ‘지구-공동체’의 발견과 종말에 대한 경고
3. 사회부 기자의 시선과 민족의식·24
- 코스모폴리타니즘과 민족주의
4. 시인의 시선과 반감상주의·33
- 감상적 자아와 이성적 자아의 투쟁
5. 결론·41
제2장 유치환 초기시의 노마디즘 45
1. 서론·45
2. ‘다른 곳’에 대한 동경과 방랑자의 공동체·50
3. “원수”에 대한 “증오”와 ‘다른 자아’의 모색·60
4. “피의 법도”와 “정한한 피”의 인간 - 의의와 한계·68
1. 서론·111
2. 소비문화와 퇴폐풍조, 그리고 근대 도시 경성의 모순·113
3. 열악한 노동 환경 비판과 노동자에 대한 공감·118
4. 근대 사회의 일상성과 소시민 의식 비판·123
5. 자연 지향성 -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농촌 공동체·126
6. 결론·132
제5장 오장환 시의 근대와 자연-1930년대 시를 중심으로 135
1. 서론·135
2. 근대의 왜곡된 이미지 - “바다”·140
3. 존재의 구체적 표상 - 동물과 식물·148
4. 결론·160
1. 서론·191
2. 애상적 자연과 피상적 현실 인식·195
3. 농촌 착취의 비판과 봄의 역동성·200
4. 그리움의 자연과 투쟁의 내면화·209
5. 결론·220
제8장 이찬 시에서 자연의 의미-『待望』, 『焚香』을 중심으로 223
1. 서론·223
2. 봄과 ‘화원’ : 이상 세계에 대한 갈망과 상실·227
3. ‘바다’와 어촌 : 아름다운 자연과 어촌의 피폐함·232
4. ‘북방’과 산촌 : 척박한 자연 묘사와 현실 비판·238
5. 1930년대 리얼리즘 계열 시에 나타난 자연의 다층적 의미·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