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장기』를 보다 상세하게 맛보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제1부에는 「자연과 인생이라는 거울에 비친 무상감, 『방장기』의 문학과 사상」이라는 타이틀 아래 저자 초메이의 인생역정, 초메이의 부정(父情), 집필 배경과 최근의 재해 참상, 구성과 문체적 특징, 문학적 가치, 문학적 위상과 중심 사상을 다루었다. 제2부에는 『방장기』 속의 오대재해기사(五大災害記事)와 당시 사료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기술했다. 제3부에는 저자 가모노 초메이가 와카(和歌)와 비파(琵琶) 등 예술의 길을 걸었던 가마쿠라(鎌倉)시대의 문예인(文藝人)이라는 점에 따라 [초메이의 와카]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그 이유는, 초메이의 매력에 대하여 『방장기』의 무상감이 가장 대표적이라고 일컬어지고 있으나, 또 한편으로 보면 ‘가진(歌人)’으로서의 길을 걸으려 했던 초메이의 심경을 드러내는 일도 가치 있는 일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초메이의 ‘와카’ 속에 묻어나는 자연관 또한 초메이의 매력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기 때문이다.
Contents
머리말 3
일러두기 10
제1부 『방장기』의 문학과 사상 19
─ 자연재해와 인생의 거울에 비친 무상감
가모노 초메이의 가문(家門) 21
초메이의 부정(父情) 29
집필 배경과 최근의 재해 참상 35
구성과 문체적 특징 40
문학적 가치 51
문학적 위상과 중심 사상 54
제2부 『방장기』의 五大災害記事와 당시 史料의 관계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