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 김정설의 풍류·동학 그리고 동방학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8/24
Pages/Weight/Size
155*225*24mm
ISBN
9788967641252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이 책은 범부가 추구했던 동학-동방학의 중요성 자각을 부각시키는 측면에서 편집되었다. 그가 구상한 동방학은 당시의 동아시아 학계에서도 매우 의미 있는 것이었다. 동양학이 아니라 왜 동방학이어야 하는가? 동방학은 일본이 근대적으로 ’영유’(領有)한, 서양에 대항하는 동양(=일본)의 학술이라는 뜻이었다. 즉 일본 중심의 동아시아가 아니라, 북방 대륙에서 한반도, 나아가 일본마저 껴안는 광범위한 공간 설정이 범부 동방학의 기획이었다. 그 구심점은역시 한민족이다. 그만큼 동방학은 민족주의적 성향도 갖는다. 또한 우리의 언어와 학술에 대한 자부심 회복이라는 국학(國學)적 측면도 갖는다. 아울러 ‘동양 vs 동방’이라는 구도 속에는 ‘일본 대 한국’, ‘서방 대 동방’이라는 몇 겹의 문명적 대결의식도 들어있다.
Contents
1장. 범부 김정설은 누구인가 11
1. 상실된 ‘한국=고향 찾기’에 헌신한 사상가 범부(凡父) 김정설
(金鼎卨)·13
2. 범부 김정설의 ‘五證論’ 생각·35
2장. 범부 연구의 현황과 과제 45
1. 서언·47
2. 범부 연구를 위한 주요 자료·50
3. 범부연구의 현황·58
4. 향후 범부연구의 과제·62
5. 결어·82
3장. 범부 김정설의 「최제우론(崔濟愚論)」에 보이는 동학 이해의
특징 85
1. 서언·87
2. 凡父의 水雲-東學에 대한 관심과 그 변천 - 「崔濟愚論」 이해
의 기초로서·92
3. 風流道의 관점에서 崔濟愚-東學의 闡明과 재평가·97
4. 「崔濟愚論」에서 水雲?東學思想 理解의 특징·108
5. 결어·128
4장. ‘東’의 탄생 - 수운 최제우의 ‘東學’과 범부 김정설의 ‘東方學 1’31
1. 서언·134
2. ‘동(東)’의 의미에 대하여 - 수운과 범부의 ‘동(東)’이란 은유
의 배경 찾기로서·140
5장.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형성과정에 대하여 - 「東方學講座」 이전
시기(1915-1957)를 중심으로 - 159
1. 서언·161
2. 범부 ‘동방학’ 형성 과정(1922년-1957년)에 대한 검토·174
3. 결어·226
6장.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의 소통 233
1. 최근 신라-경주에 대한 새로운 연구들·235
2. 수운, 범부의 ‘해동’-‘신라’-‘경주’로의 눈돌림·237
3. 수운의 ‘다시 개벽’에서 범부의 ‘동방르네상스’로·238
4. 신라, 경주 문화의 특수성 규명의 방법 - 범부의 ‘오증론(五證
論)’·243
5. ‘血證’論의 확대·248
6. 범부의 ‘사우맞음(대조화)=풍류’는 수운의 ‘內有神靈外有氣
化-侍天主造化定’의 부활·252
7. 수운의 ‘仙道+武道+巫俗’(「劍訣」)과 범부의 ‘花郞道’=종교적
요소(巫)+예술적요소(風流)+군사적요소(武)·260
8. 결어·261
7장. 근현대기 사상가 凡父 金鼎卨과 朴正熙의 이념적 연관성 267
1. 서언·269
2. 花郞精神-風流의 정치적 문맥·276
3. 박정희와 김범부의 이념적 연계성 문제·282
4. 결어·291
부록. 효당 최범술과 다솔사의 김범부 297
1. 서언·299
2. 多率寺의 범부와 효당·301
3. 효당과 범부의 사상적, 미적 공감: ‘멋-風流’·312
4. 결어·324
참고문헌·326
찾아보기·346
Author
최재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