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국어 정책 일반
제1장 「국어기본법」 10년을 되돌아보면서
1. 서론
2. 「국어기본법」 - 제정 경위와 내용 그리고 의의
2.1. 제정 경위와 취지
2.2. 내용
2.3. 의의
3. 「국어기본법」 10년의 변화
3.1 국어 발전 기본 계획의 수립
3.2. 제1차 발전 계획의 성과 및 그 후
3.3. 지방 자치 단체의 국어 발전 계획 수립
4. 「국어기본법」의 개선 방향
4.1. 내용의 정비
4.2. 표현의 정비
4.3. 환경의 정비
5. 마무리
제2장 국어 정책 수립을 위한 제언
1. 서론
2. 국어 정책의 범위와 역사 그리고 현황
2.1. 국어 정책의 개념
2.2. 국어 정책의 범위
2.3. 국어 정책의 약사 -기관을 중심으로-
2.4. 국어 정책의 과제와 내용
2.5. 국어 정책의 목표
3. 추진 전략과 계획의 수립
3.1. 추진 전략
3.2. 장기 계획의 수립
제3장 미래의 국어 정책을 위한 메모
1. 미래의 문화 융성을 선도하기 위한 비전과 목표의 설정
2. 각종 제도의 보완
3. 새로운 과제의 발굴
3.1. 한글학의 구축과 한글박물관의 세계화
3.2. 한국어대사전 구축
3.3. 한국어와 한글에 의한 세계 정보화 구축
4. 대상에 따른 국어정책의 재정립
4.1. 내국인을 위한 사고력 향상과 품격 향상을 위한 전략
5. 제도의 정비
제2부 국어의 정비
제4장 국어 순화의 개념과 당위성
1. 서론
2. 국어 순화의 개념
3. 국어 순화의 언어관
4. 국어 순화의 당위성과 필요성
4.1. 언어관으로 본 당위성
4.2. 언어내적인 필요성
4.3. 언어외적인 필요성
4.4. 남북한 순화 운동의 약사
5. 결론
제5장 공공 언어의 공공성
1. 문제의 제기
2. 공공언어와 공공성의 개념
2.1. 공공 언어(혹은 공공언어)의 개념
2.2. 공공성의 개념
3. 공공성의 실제
3.1. 신문 사설의 순기능
3.3. 신문 사설의 역기능
4. 나가기
부록 : 대상 사설의 분류와 목록
1. 사설의 분류
2. 사설의 목록
제3부 세계화를 위한 기반
제6장 창조를 위한 융합의 조명
1. 문제의 제기
2. 융합이란?
2.1. 융합의 개념
2.2. 유사 개념들과의 대비
2.3. 융합의 결과
3. 융합의 유형과 특징
3.1. 평면적 융합 결합적 융합
3.2. 계층적(층위적) 융합
3.3. 혁신적 융합
4. 인류 문화의 융합과 미래
4.1. 인류 문화의 3대 혁명
4.2. 분석의 시대에서 종합의 시대로(분업에서 융합으로)
4.3. 분화와 융합이 조화를 이루는 시대로
5. 마무리
제7장 다문화 사회를 위한 통합과 공존의 조화
1. 서론
2. 한국적 다문화의 특성과 현황
2.1. 한국적 다문화의 특수성
2.2. 다문화 가족 현황
2.3. 다문화 가정에 대한 현재의 지원 정책
2.4. 학계의 지원 정책 비판
2.5. 다문화 가정의 문제점
2.6. 의식의 전환과 해결책의 실제
3. 통합과 공존의 조화
3.1. 한국인의 전통적 조화의 유형
3.2. 한국적 다문화를 위한 조화의 유형
4. 마무리
제4부 남북의 통일
제8장 한국인의 전통
1. 도입
2. 한자의 수용과 혁신적 변용
3. 새 문자의 창조 - 자질문자의 출현
3.1. 훈민정음 창제의 배경
3.2. 초성 제자의 ‘理’
3.3. 중성 제자의 ‘理’
3.4. 훈민정음의 문자사적인 위치
4. 공존과 조화 - 표기법의 원리
4.1. 도입
5. 요약
제9장 국어학의 남북 공동 연구를 위한 전제와 실제
1. 들어가기
2. 남북의 현황
2.1. 동일한 문법과 규범에서의 출발
2.2. 남북 이질화의 현 주소
3. 공동 연구를 위한 전제
3.1. 기본적인 인식의 합일
3.2. 합의 방법의 도출
4. 한국어 기초 자료의 구축
4.1. 한국어의 단계별 정리
4.2. 서술 문장의 단계화 및 체계화
4.3. 예문의 체계화
4.4. 기타
5. 나오기
제10장 한글 자모 이름을 통일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
1. 서론
2. 문자의 이름의 역사
2.1. 상형 문자의 이름
2.2. 음절 문자의 자모 이름
2.3. 초기 음소 문자의 자모 이름
2.4. 후기 음소 문자의 자모 이름
2.5. 자모 이름의 유형
3. 한글 자모의 이름
3.1. 한글 자모 이름에 정보(대한 현 주소)
3.2. 훈민정음과 훈몽자회의 자모 이름
3.3. 근대국어 및 개화기의 자모 이름
3.4. 자모 이름의 제정
3.5. 자모 이름의 특징
4. 이름 제정의 기준과 실제
4.1. 기준에 대한 일반론
4.2. 검토의 실제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