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의 의순의 동다송·다신전 연구

$19.44
SKU
978896745095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3/30
Pages/Weight/Size 128*188*20mm
ISBN 9788967450953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새로 풀어 다시 읽는 「동다송」과 『다신전』

중국에 육우가 있고 일본에 센노리큐가 있다면 우리에게는 초의선사가 있다. 스러져가던 조선 후기의 차문화를 일거에 일으켜 세운 다성(茶聖)이자, 숭유억불의 시대에 임금으로부터 시호를 받을 정도로 높은 선의 경지에 오른 대선사였다. 그의 대표작인 「동다송」과 『다신전』은 차의 모든 것을 다룬 경전이자, 차와 선의 일치를 주창한 다삼매의 교과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다서인 「동다송」과 『다신전』을 새로 풀고 다시 해설했다. 차를 알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의 필독서다.
Contents
제Ⅰ장 茶聖 초의

1. 초의 의순의 생애
1) 생애
2) 사승관계
3) 저술
2. 『다신전』 편찬 배경
3. 「동다송」 저술 배경
1) 저술 배경
2) 저술 의의
3) 체제 및 인용 문헌

제Ⅱ장 다신전과 동다송

1. 『茶神傳』 원문 및 번역문
2. 「東茶頌」 원문 및 번역문

제Ⅲ장 초의차의 예찬

1. 금령 박영보의 「남다병서」 저술 배경
1) 생애
2) 저술 배경
2. 「南茶幷序」 원문 및 번역문
3. 자하 신위의 「남다시병서」 저술 배경
1) 생애
2) 신위와 초의의 교유
3) 신위의 초의차 애호
4. 「南茶詩幷序」 원문 및 번역문

제Ⅳ장 초의 의순 연표

참고문헌
Author
박동춘,이창숙
저자 박동춘은 응송 박영희 스님에게 <다도전게(茶道傳偈)〉를 받음으로써 조선 후기 초의선사에 의해 정립된 우리 전통 차의 적통인 ‘초의차’의 이론과 제다법을 이어받았다. 저자는 ‘초의차’를 잇는 한편 초의선사뿐 아니라 한국 차 문화와 관련된 자료를 발굴하고 연구하는 일을 병행하면서 동국대 대학원 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성과를 모아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응송 박영희 스님으로부터 무공(無空)이라는 법호를 받았고, 사단법인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이사장·소장)에서 ‘초의차’를 계승하는 ‘동춘차’를 만들며 한국 다도의 맥을 보존·전수하고 있다. 성균관대학, 동국대학 등에 출강하였고, 현재 한국전통문화대학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제2회 화봉학술문화상을 수상하였고, 제22회 행원학술 특별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초의선사의 차 문화 연구』(일지사), 『맑은 차 적멸을 깨우네』(동아시아), 『우리 시대 동다송』(북성재), 『추사와 초의』(이른아침), 『박동춘의 한국 차문화사』(동아시아), 『조선의 선비 불교를 만나다』(이른아침), 『초의스님 전상서』(이른아침)등이 있다.
저자 박동춘은 응송 박영희 스님에게 <다도전게(茶道傳偈)〉를 받음으로써 조선 후기 초의선사에 의해 정립된 우리 전통 차의 적통인 ‘초의차’의 이론과 제다법을 이어받았다. 저자는 ‘초의차’를 잇는 한편 초의선사뿐 아니라 한국 차 문화와 관련된 자료를 발굴하고 연구하는 일을 병행하면서 동국대 대학원 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성과를 모아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응송 박영희 스님으로부터 무공(無空)이라는 법호를 받았고, 사단법인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이사장·소장)에서 ‘초의차’를 계승하는 ‘동춘차’를 만들며 한국 다도의 맥을 보존·전수하고 있다. 성균관대학, 동국대학 등에 출강하였고, 현재 한국전통문화대학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제2회 화봉학술문화상을 수상하였고, 제22회 행원학술 특별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초의선사의 차 문화 연구』(일지사), 『맑은 차 적멸을 깨우네』(동아시아), 『우리 시대 동다송』(북성재), 『추사와 초의』(이른아침), 『박동춘의 한국 차문화사』(동아시아), 『조선의 선비 불교를 만나다』(이른아침), 『초의스님 전상서』(이른아침)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