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과 자본 사이에서, 한 뼘 깊이의 호의와 변덕 속에서
피폐해가는 영혼을 논하는 것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우리는 너무 많이 먹고 너무 적게 질문하지 않는가
철학자 김영민의 전작 『집중과 영혼』이 ‘집중’과 ‘열중’을 분별하면서 ‘존재론적 겸허’를 갖춘 집중에서 피어나는 영혼을 논했다면, 이 책은 자본과 자본 사이에서 봄날 아지랑이의 꼬리만큼도 못 피어나는 이 시대 사람들의 영혼을 탐색한다. 자본주의 속에서의 영혼이라면 초등학생 줄리엣과 초등학생 로미오들 사이에서 돌아다니는 한 뼘 깊이의 호의와 변덕 속에 자리할 것이다.
이 책은 매체와 체계를 비판적으로 탐색하면서 이명박 시대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소비자로서의 인간을 탐색하고, 자본주의의 미학이 개입된 얼굴들을 각 개인의 아이덴티티로서 성찰하며, 장자연의 죽음에 대해 누구나 왁달박달해야 하는 이유, 노무현의 죽음으로 인해 김대중의 역사적 공과가 함입되는 왜곡, 용서와 고백의 실체 등에 대해 논한다.
‘성장, 더 성장, 또 성장, 새로운 성장’의 위세 속에서 인간들은 소비하는 데 정신없어 질문하기를 잊어버렸다. 버지니아 울프나 시몬 베유는 “적게 먹고 질문은 많이 하라”고 했지만, 우리는 많이 먹고 질문은 거의 하지 않는다. 자기를 성장시키는 방편으로 롤모델을 찾아 ‘파리’처럼 날아다니지만 오래지 않아 보상을 받길 바라며 매사 다음 건수를 준비한다. 이로써 스스로를 피폐하게 만드는 우리는 ‘자신보다 더 큰 자신’에게 문을 열어줄 가능성이 희박하다.
하지만 그런 개인들이라 해도 각자의 세월을 겪고 행위를 거치면서 제 얼굴을 통해 여정을 드러낼 터이다. 특히 어떤 얼굴들은 웅숭깊은 장소로 화하며 삶의 여정을 헛되이하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은 인문학으로 무언가를 해보겠다는 이들의 얼굴을 살피기도 하고, 그들이 잠깐 피었다 결국 떨어져나가는 모습도 지켜보며, 마침내 자기를 깎는 속에서 여렵사리 피어나는 영혼도 들여다볼 것이다.
Contents
1부 매체의 죄
매체의 죄
하이힐과 현명한 상처의 종말
욕하는 여학생들
상투어, 혹은 대중 시대의 윤리
남자들은 다 어디에 있을까? (1)
남자들은 다 어디에 있을까? (2)
자본과 사랑은 경/결합하는가?
강박强拍인가, 가공加功인가?
실내화의 괴물들
2부 영혼은 어떻게 생기는가
십자가에 못 박다
4.3의 윤리학
[인체신비전], 미래에서 찾아온 범죄
죽임의 윤리
고기 한 점이 곧 윤리다
영혼은 어떻게 생기는가? (1)
영혼은 어떻게 생기는가? (2)
영혼은 어떻게 생기는가? (3)
영혼은 어떻게 생기는가? (4)
얼굴들을 찾아서
밀양, 그녀들의 촘촘한 빛
3부 체계를 애도하다
동사무소도 은행도 아닌 곳
장자연 씨와 침묵하는 이웃들
여자의 조국
어떤 오후
어떤 억압과 침묵의 고리
반본返本의 교육학
평등(자)의 그늘
사회적 신뢰와 공공성
체계를 애도하다
재벌 회장과 총
4부 동승자의 타자他者
고백은 반칙이다
암송, 약속, 연극
박지성과 무지無知에의 욕망
동승자同乘者의 타자
딸과 여자
‘술동무’는 없다
슬금함의 관념론
꿈, 적청화경寂淸和敬의 사회
몸이라는 운명
공간과 마음
어울려 살기의 비용
역시귀본逆時歸本: 죽은 인문학 너머에서 인문학 읽기
‘생각이 아닌 영화’, 홍상수의 「극장전」
5부 정치의 종말과 소비자의 묵시록
정치의 종말과 소비자의 묵시록, 이명박 시대의 증상
다시, 노무현을 위하여
2009년의 이별, 김대중과 노무현
품위 없는 국가
6부 미래의 개인
사생활주의와 생활정치
몸이 좋은 사람’이란 무엇인가?
독립하되 고립되지 않는다
실수하지 않는다
미래의 개인
일식一食의 정치학
희망이란 무엇인가?
세월 속에, 그러나 세월과 ‘함께’
상인과 장인
연극적 수행으로서의 삶
불안하십니까?
시몬 드 보부아르(1908~1986), 말로 바꾼 세상
Author
김영민
철학자. 『서양철학사의 구조와 과학』(1991), 『동무론』(2010~) 3부작, 『집중과 영혼』(2017) 등을 썼다. 천안과 서울 등지에서 인문학 학교 ‘장숙藏孰’(http://jehhs.co.kr/)을 열어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다. 첫 시집 『옆방의 부처』를 발간하였다.
철학자. 『서양철학사의 구조와 과학』(1991), 『동무론』(2010~) 3부작, 『집중과 영혼』(2017) 등을 썼다. 천안과 서울 등지에서 인문학 학교 ‘장숙藏孰’(http://jehhs.co.kr/)을 열어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다. 첫 시집 『옆방의 부처』를 발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