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국가 통합의 법제적 과제 -헌법

$12.96
SKU
978896684746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10/31
Pages/Weight/Size 172*248*30mm
ISBN 9788966847464
Categories 사회 정치 > 법
Description
* 체제전환과정과 통일이후의 헌법은 통일과정과 통일 이후 정치적·사회적 갈등관계로 인한 혼란과 분쟁을 정치적·행정적·사법적 제도를 통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함.
* 체제전환과정의 헌법적 쟁점으로는 과체제전환과정에서의 국가형태를 어떻게 할 것인지, 국가를 구성하는 선거제도와 정당제도를 어떻게 설계할지가 문제됨. 또한 통일 이전 시기의 북한법제의 효력, 북한주민의 기본권회복 등의 다양한 헌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
* 통일 이후에 통일헌법은 정부형태, 입법부·행정부·사법부의 기능과 구성 등의 권력구조에 관한 내용뿐만 아니라, 재산권·국영기업의 민영화·사회복지제도의 범위 등 다양한 기본권에 관한 쟁점들도 해결해야 함.
* 체제전환과정과 통일헌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됨
Contents
서 론 15
제1절 연구 필요성과 목적 15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16

제2장 체제전환과정에서의 헌법 17
제1절 한국의 분단과 통일의 성격, 통일헌법의 기본원칙 17
제2절 체제전환과정과 북한법의 효력 29
제3절 과도기 정부의 구성 48
제4절 헌법 제3조와 제4조의 해석 86

제3장 통일이후 헌법의 기본원리와 기본권 107
제1절 헌법의 기본원리 107
제2절 기본권 142

제4장 통일 이후 헌법의 권력구조 199
제1절 정부형태 199
제2절 선거제와 정당제 221
제3절 입법부 244
제4절 법원과 헌법재판소 275

제5장 결 론 301
참고문헌 303

Author
김정현,류지성,정재황,김종철,이준일,임지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