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한국의 경제성장과 환경법의 발전
제1절 한국의 경제성장과 환경오염 문제
제2절 한국 환경법의 발전과정 분석
1. 서설
2. 환경법의 발전과정 분석
제3절 현행 환경법의 체계 분석
제3장 환경정책기본법의 변천과 발전 분석
제1절 환경정책기본법의 제정배경과 내용
1. 제정배경
2. 주요내용
제2절 환경정책기본법의 변천과 발전
1. 제1차 개정: 1999년
2. 제2차 개정: 2002년
3. 제3차 개정: 2005년
4. 제4차 개정: 2007년
5. 제5차 개정: 2010년
6. 제6차 개정: 2011년
7. 제7차 개정: 2012년
제3절 환경정책기본법의 발전 분석
1. 보전 · 관리대상의 확대
2. 기본이념과 원칙의 확장
3. 환경기준의 제시
4.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의 도입
5. 무과실책임의 도입
제4장 한국 환경법의 변천을 통해 본 시사점
제1절 환경법의 발전에 대한 개괄적 평가
제2절 한국 환경법의 특징과 시사점
1. 복수법체계
2. 다원화된 관리체계
3. 다수의 특별법 양산
4. 하위법령을 통한 위임
5. 국제규범의 반영
6.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