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을 위한 새 나라를 꿈꾼 실학자들

$15.12
SKU
978896591565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2/4 - Mon 02/1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1/30 - Mon 0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3/18
Pages/Weight/Size 170*235*20mm
ISBN 9788965915652
Categories 어린이 > 5-6학년
Description
낡은 시대의 틀을 깨고 새 나라를 꿈꾼
유형원, 정약용, 박제가, 박지원, 김정희


임진왜란에 이어 병자호란까지, 조선은 두 차례의 전쟁을 겪으며 어지러운 시기를 보냈다. 양반들의 학문은 위기에 빠진 나라를 구하지 못했고, 백성들은 거칠어진 땅만큼이나 메말라 가고 있었다. 혼란했던 조선 후기, 굶주린 백성을 살리고 무너진 나라를 일으키기 위해 나선 학자들이 있었다. 바로 시대를 앞선 눈으로 새 나라를 꿈꿨던 다섯 명의 실학자다. 『백성을 위한 새 나라를 꿈꾼 실학자들』에서는 함께 잘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고민했던 다섯 실학자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백성들에게 온 나라의 땅을 고르게 나누어 주자고 주장했던 유형원, 백성의 삶을 가까이에서 살피며 청렴함과 따뜻함으로 다스린 정약용, 상업이 발달한 청나라를 보고 배워 경제 발전을 이루자고 주장한 박제가, 예리하고 재치 넘치는 소설로 양반 사회의 모순을 지적한 박지원, 직접 발로 뛰며 찾은 근거들로 역사 속 비밀을 밝힌 김정희까지. 다섯 명의 실학자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새 나라를 꿈꾸며 치열하게 고민했다.
Contents
초대하는 글
유형원 - 백성을 위한 쓸모 있는 학문을 만들다
정약용 - 청렴함과 따뜻함으로 백성을 다스리다
박제가 - 청나라를 보고 배워 경제 발전을 꿈꾸다
박지원 - 재기 발랄한 풍자로 시대의 모순을 꾸짖다
김정희 - 사실을 밝혀 역사를 바로잡다
부록 - 역사 선생님이 들려주는 실학 이야기
Author
박은정,홍선주
한양대학교에서 국문학을 공부하고, 같은 대학에서 고전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동,청소년을 위한 우리 고전 읽기 도서 원고 공모전’에 당선되면서 동화를 쓰기 시작했고, 지금은 대학에서 고전을 가르치면서 고전 동화를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 『박씨전 : 청나라 혼쭐내고 백성을 위로한 영웅 이야기』 『병자호란, 위기에서 빛난 조선의 리더들』 『조선의 명문장가들』 『조선의 여성 명문장가들』 『조선의 어린이 명문장가들』 『호범이랑 호랑이랑 호랑이 이야기』 등이 있고, 한문 자료를 번역한 책으로는 『국역 관연록』(공역), 『국역 북경록』(공역), 『국역 이기헌 연행일기』(공역), 『한국고전비평론 권3~6 』(공역) 등이 있다.

우리 고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지호락(知好樂)’에서 활동한다.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 ‘지호락’은 어린이들이 고전의 재미와 의미를 알고, 좋아하고, 즐기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고전을 발굴하고 글을 쓴다.
한양대학교에서 국문학을 공부하고, 같은 대학에서 고전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동,청소년을 위한 우리 고전 읽기 도서 원고 공모전’에 당선되면서 동화를 쓰기 시작했고, 지금은 대학에서 고전을 가르치면서 고전 동화를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 『박씨전 : 청나라 혼쭐내고 백성을 위로한 영웅 이야기』 『병자호란, 위기에서 빛난 조선의 리더들』 『조선의 명문장가들』 『조선의 여성 명문장가들』 『조선의 어린이 명문장가들』 『호범이랑 호랑이랑 호랑이 이야기』 등이 있고, 한문 자료를 번역한 책으로는 『국역 관연록』(공역), 『국역 북경록』(공역), 『국역 이기헌 연행일기』(공역), 『한국고전비평론 권3~6 』(공역) 등이 있다.

우리 고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지호락(知好樂)’에서 활동한다.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 ‘지호락’은 어린이들이 고전의 재미와 의미를 알고, 좋아하고, 즐기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고전을 발굴하고 글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