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와 민주주의가 흔들리는 카오스 시대
미래로 가는 길은 변경에 있다!
도시 국가 홍콩, 국민국가 일본, 두 변경에서의 왕복 편지
금년은 2014년 홍콩 우산운동이 일어난 지 10년이 된 해다. 2019년까지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지속되었지만, 홍콩 보안법 제정으로 민주화운동은 궤멸적인 피해를 입고 급속히 위축되었다. 당시 홍콩의 요동치는 사태는 우리에게도 남의 일 같지 않았다. 80년대 민주화운동을 계기로 지금의 민주주의 사회로 성장한 경험이 있는 한국인들은 당시 홍콩 우산운동에 많은 성원을 보내기도 했었다. 홍콩의 정치적 격변은 동아시아 정치 지형에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임을 시사했으며, 동아시아 변경의 존재 양식, 나아가서 생존 전략을 근본적으로 재고하게 했다.
홍콩의 우산운동을 전후해서 브렉시트, 중국의 신패권주의와 민족주의, 트럼프 현상 등 세계 각지에서도 내셔널리즘이 회귀하고 우경화가 일어나는 등 불확실성이 두드러졌다. 홍콩에서 일어난 정치적 격변 역시 이러한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 우산운동의 주역인 홍콩 젊은이들의 주장은 필연적으로 지역적 맥락에 뿌리를 둔 것이기에 한국이나 일본을 포함한 해외에서 자세히 다뤄질 기회가 많지 않았다. 당시 시위에 적극 참여하기도 한 저자 청육만은 이 책에 수록된 편지에서 홍콩 현지 문화 번역가라는 역할을 자청해 홍콩 젊은이들의 지지를 받았던 사상적 근간과 사회적 배경을 생생한 언어로 풀어내고 있다. 우산운동 이후 정세에 대한 심정을 담은 그의 편지에서 독자들은 일견 극우적인 내셔널리즘이 주목받았던 홍콩 사회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아시아에 속한 우리에게 아시아의 이슈는 우리의 이슈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우리에게 아시아는 여전히 미국 등의 서구보다 멀게 느껴진다. 홍콩의 사회학자 청육만과 일본의 문학평론가 후쿠시마 료타가 왕복 서신으로 엮은 『변경의 사상』은 2010년대 홍콩 민주화운동을 발판 삼아, 문명의 중심축 미국과 중국만 바라보며 각자 고립되어 있는 동아시아 변경의 현실을 조명하면서, 당면한 문화적 혼돈과 지정학적 불확실성에 맞서고자 과감하게 자기 인식을 해체하는 지적 실험 작업이다.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며─독자 여러분께
첫 번째 편지. 변경(홍콩)에서 변경(일본)으로
두 번째 편지. 말과 민주주의
세 번째 편지. 간절히 기원하면 마음을 울린다─도시의 축제 등불
네 번째 편지. 변경의 두 얼굴
다섯 번째 편지. 과거의 변경, 미래의 중심
여섯 번째 편지. 홍콩─소용돌이의 교통로
일곱 번째 편지. 시시각각 변화하는 문화의 속도
여덟 번째 편지. 일본에서 서브컬처란 어떤 의미인가
아홉 번째 편지. 하고 싶은 말이 무수히 많은 듯한데, 안타깝지만 난 못 알아듣겠다
열 번째 편지. ‘말끔함’은 ‘더럽다’─열도의 주변으로부터
열한 번째 편지. 변경 문화의 빛과 그림자─도시, 영화, 중국 내셔널리즘
열두 번째 편지. 내셔널리즘에서 도시적 아시아주의로
열세 번째 편지. 진정한 자유의 저편으로
열네 번째 편지. 근대를 펼쳐 콩을 기르다
후기
옮긴이 후기
Author
후쿠시마 료타,청육만,윤재민,정창훈
1981년 교토시에서 태어났다. 교토 대학교에서 중국 근대 문학을 전공했고 2012년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릿쿄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4년 메일 매거진 『하조겐론』에 마이조 오타로론을 발표하며 비평 활동을 시작했으며, 2010년 첫 단독 저서인 『신화가 생각한다: 네트워크 사회의 문화론』을 펴냈다. 2013년 출간한 『부흥 문화론: 일본적 창조의 계보』가 2014년 36회 산토리학예상(사상·역사 부문)을, 2016년 출간한 『성가신 유산: 일본 근대 문학과 연극적 상상력』이 2017년 야마나시 문학상을 수상했다. 계속해서 『울트라맨과 전후 서브컬처의 풍경』(2018), 『변경의 사상: 일본과 홍콩에서 생각하다』(2018, 청육만과 공저), 『백 년의 비평: 어떻게 근대를 상속할 것인가』(2019) 등을 펴냈고 2019년 와세다 대학교 쓰보우치 쇼요 대상 장려상을 수상했다. 2020년대 들어서도 『헬로, 유라시아: 21세기 ‘중화’권 정치 사상』(2021), 『책이라는 바이러스: 21세기 사상의 전선』(2022) 등 저술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며 이 시대에 비평이 할 수 있는 역할을 탐구하고 있다.
1981년 교토시에서 태어났다. 교토 대학교에서 중국 근대 문학을 전공했고 2012년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릿쿄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4년 메일 매거진 『하조겐론』에 마이조 오타로론을 발표하며 비평 활동을 시작했으며, 2010년 첫 단독 저서인 『신화가 생각한다: 네트워크 사회의 문화론』을 펴냈다. 2013년 출간한 『부흥 문화론: 일본적 창조의 계보』가 2014년 36회 산토리학예상(사상·역사 부문)을, 2016년 출간한 『성가신 유산: 일본 근대 문학과 연극적 상상력』이 2017년 야마나시 문학상을 수상했다. 계속해서 『울트라맨과 전후 서브컬처의 풍경』(2018), 『변경의 사상: 일본과 홍콩에서 생각하다』(2018, 청육만과 공저), 『백 년의 비평: 어떻게 근대를 상속할 것인가』(2019) 등을 펴냈고 2019년 와세다 대학교 쓰보우치 쇼요 대상 장려상을 수상했다. 2020년대 들어서도 『헬로, 유라시아: 21세기 ‘중화’권 정치 사상』(2021), 『책이라는 바이러스: 21세기 사상의 전선』(2022) 등 저술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며 이 시대에 비평이 할 수 있는 역할을 탐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