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중국에서는 한국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해당하는「반독점법」이 제정됐다. 이후, 중국경제법은 법제도적 개선에 있어서 장족의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한국이나 다른 국가에서도 마찬가지였으나 중국 또한 경제발전을 위해 기업에 대한 규제를 최대한 늦춘 끝에 뒤늦게 정식으로 「반독점법」이 제정된 것이다.
이 책은 사회주의체제를 고수하면서도 시장경제를 받아들임으로써 사실상 국가자본주의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중국경제법의 현단계 발전현황을 알아보고 어떠한 법리적인 쟁점이 존재하는지 파악해 보는 책이다. 베이징대학교에서 중국경제법학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중국경제법, 중국에너지법 및 중국 IT법에 대하여 꾸준히 논문을 발표하고 있는 김종우 강남대 교수가 집필하였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중국경제법 총론
제1절 중국경제법 개념에 대한 학설
Ⅰ. 중국경제법학설의 시대별 발전동향 평가
Ⅱ. 중국경제법 조정대상의 범위와 평가
Ⅲ. 중국경제법의 가치 고찰
Ⅳ. 중국경제법학설의 발전방향
제2장 중국 반독점법
제1절 중국 시장지배적 지위의 남용금지
제2절 중국 기업결합의 규제
제3절 중국 경제력집중의 규제
제4절 중국 국가지주회사 및 금융지주회사에 대한 규제
제5절 중국 카르텔 규제법
제6절 중국 사업자단체의 규제
제7절 중국 반독점법 집행기관과 규제
제8절 중국 행정독점
제3장 중국 소비자보호법
제1절 중국 소비자보호법
제2절 중국 약관규제법
제3절 중국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법률의 규제
제4절 중국 가맹사업법률의 규제
제5절 중국 광고법률의 규제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종우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했으며, 그 뒤 베이징대학교 법과대학원에 진학해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대학원에서 중국경제법학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하였다. 현재 강남대학교 글로벌학부에서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중국경제법, 중국에너지법 및 중국IT법이며 2005년 이래 현재까지 「중국 금융지주회사 감독 시의 주요쟁점과 입법과제」외 수십여 편에 달하는 중국법률관련 논문을 집필했다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했으며, 그 뒤 베이징대학교 법과대학원에 진학해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대학원에서 중국경제법학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하였다. 현재 강남대학교 글로벌학부에서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중국경제법, 중국에너지법 및 중국IT법이며 2005년 이래 현재까지 「중국 금융지주회사 감독 시의 주요쟁점과 입법과제」외 수십여 편에 달하는 중국법률관련 논문을 집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