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논제는 개인과 공동체에 대한 이야기에서 빠뜨릴 수 없는 내용이다. 학자들은 오랫동안 이에 대해 연구를 해왔고, 지금도 여전히 질문이 이어진다. 공동체인 ‘사회’나 ‘국가’에서 개인은 어떻게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을까?
동서 정치사상의 기원이 되는 공자와 소크라테스. 이들의 삶을 통해 이상적 국가와 정치에 대해 생각해보는 『공자와 소크라테스』가 출간됐다. 이 책의 저자이자 법학자 이병훈 교수는 한문과 유학 경전을 공부하면서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삶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자신이 익힌 진리를 정치와 연결하여 바람직한 국가를 건설하려 했던 공자, 개인을 행복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국가가 도덕적 존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던 소크라테스. 이러한 행적을 지나칠 수 없었던 사회과학도로서, 저자는 공자와 소크라테스를 정치학의 시선으로 연구했고 오랜 시간 끝에 ‘국가와 인간의 관계’를 주제로 두 인물의 정치사상에 대해 입을 연다.
동서양 철학의 기원으로 여겨지는 두 인물의 삶으로부터 저자가 읽어낸 정치사상은 과연 무엇일까? 그 방향성은 오늘날 개인과 국가의 관계에 무엇을 시사하는 것일까? 저자는 1부에서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소개하며 그들이 건설하고자 했던 이상적인 국가와 정치에 대해 이야기한다. 또한 2부에서는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생애를 다룬 평전을 통해 인간 중심의 사회를 만들고자 했던 그들의 삶과 사상을 이야기한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사상: 그들은 무엇을 생각했는가?
1. 서론: 인간의 삶과 정치
2. 인간이란 무엇인가?
3. 공자 일생의 목표: 학문과 정치
4. 인(仁)이란 무엇인가?
5. 정신세계에 관한 복잡한 이론들
6. 몸과 정신: 소크라테스 윤리사상의 출발
7. 공자와 학문
8. 학문과 교육
9. 공자의 교육관: 교육의 사회?경제적, 정치적 배경
10. 군자와 소인
11. 공자와 정치
12. 정체의 종류: 플라톤의 경우
13. 언어: 말과 글
14. 의(義) 또는 정의(正義)
15. 의(義)와 예(禮)
16. 인과 예
17. 예와 법
18. 그리스인들의 법관념
19. 정치인의 직분과 정치의 전문성
20. 공직윤리란 무엇인가?
21. 지식인의 정치참여
22. 그리스 도시국가와 아테네 민주정의 탄생
23. 공자, 그는 어떤 사람이었나?
24. 소크라테스의 교훈
25. 결론: ‘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국가
제2부 공자와 소크라테스 평전: 그들은 어떻게 살았나?
1. 공자
가계, 어린 시절
젊은 시절, 입신
제나라에서의 모색
득의와 좌절
14년간의 주류천하: 이상과 현실의 간극
귀국 후의 5년
2. 소크라테스
어린 시절과 아테네
절제와 금욕의 일생
헬라스의 학교: 그 정체와 문화
아테네의 몰락과 인간 중심주의의 퇴조
관심의 이동: 우주에서 인간으로
그의 기질과 사명 그리고 신앙
정의와 도덕에 대한 인식과 의지
소크라테스 말년의 아테네 상황: 시켈리라 원정의 실패와 아르기누사이의 쓰라린 승리
민주정의 종언과 소크라테스의 기소
소크라테스의 재판
무분별한 아테네인들의 표적 또는 희생양?
철학의 이상과 철학자의 죽음
소크라테스의 사후
공자 연보
소크라테스 연보
주
참고문헌
Author
이병훈
저자 이병훈은 헌법학자로서 전주대학교에서 헌법학을 강의했으며, 지금은 동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저서로는 『헌법: 이론과 사례』 『문화적 관점에서 본 법의 이해』 『의회주의란 무엇인가』가 있으며 역서로는 『역사적 관점에서 본 법철학』 등이 있다.
저자 이병훈은 헌법학자로서 전주대학교에서 헌법학을 강의했으며, 지금은 동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저서로는 『헌법: 이론과 사례』 『문화적 관점에서 본 법의 이해』 『의회주의란 무엇인가』가 있으며 역서로는 『역사적 관점에서 본 법철학』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