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과 증언

소설로 읽는 분단의 역사
$15.87
SKU
978896529227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3/25
Pages/Weight/Size 130*210*18mm
ISBN 9788965292272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기억되어 역사로 남는다는 것
그리고 말하지 못한 채 문학으로 증언한다는 것

흔히 ‘역사’라고 불리는 것은 어떤 걸 말하는 것일까? 역사는 특정 시점의 특정 사건을 기억하는 것이다. 이 사건에 대해 말하는 대부분의 이들이 일관되게 말할 때, 그 사건은 ‘공식적인 역사’로 인정받아 기존의 시간대에 편입된다. 그러나 분명히 발생하여 많은 이들이 기억하고 있지만, 어떠한 사정 때문에 말해지지 못하여 ‘공식적인 역사’에 포함되지 못한 사건들이 존재한다. 국가가 저지른 폭력이었기에 말하지 못했고, 믿어주는 이가 아무도 없어서 말하지 못했고, ‘빨갱이’로 몰릴까봐 말하지 못했다. 말하지 못했던 것은 오롯이 증언이 되어 문학 속에 안착했다. 왜냐하면 문학은 픽션이니까. 말하지 못했던 것을 실제 있었던 일이 아니라고 하면서 말할 수 있으니까. 역사의 빈틈을 헤집을 수 있으니까.

이 책 『기억과 증언』은 역사적 사건인 ‘분단’을 다룬 『태백산맥』, 「순이 삼촌」 등 총 16편의 소설을 통해 공적 역사가 미처 다 기록하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들여다본다. 다만 전쟁의 기록에만 집중하지 않고, 분단 그 자체보단 분단을 통해 실제 우리네 삶에 일어났던 ‘분단 문제’를 더 깊게 파고들며 그 고통과 상처에 주목했다.
Contents

머리말 · 상처 난, 침묵된, 지워진 분단의 역사를 문학과 사람으로 채워 읽다_김종군

1 불완전한 해방이 빚은 한국현대사의 비극적 존재, 빨치산_이병수
조정래의 『태백산맥』은 분단 체제의 전사를 이루는 해방 정국의 숱한 사건들을 다루면서 한반도 분단의 뿌리와 분단 극복의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데 문학적, 역사적 의의가 있다. 『태백산맥』은 우리 민족의 숙원이었던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총체적으로 형상화하려 한 작품이다.

2 메마른 하늘에 울려 퍼진 민중의 소리_윤여환
그동안 단순 공산주의 폭동으로 왜곡되고 삭제되었던 대구 10월 사건. 그러나 전명선의 「방아쇠」는 해방 이후 최초의 민주화 운동으로서 9월 총파업과 대구 10월 사건을 다루고 있다. 「방아쇠」 다시 읽기는 곧 분단의 논리에 따라 삭제되고 왜곡되었던 해방정국의 역사를 제대로 기억하기 위한 시도다.

3 순이 삼촌의 일생으로 비극의 역사를 말하다_남경우
현기영은 「순이 삼촌」에 등장하는 순이 삼촌의 삶과 죽음을 통해 제주 4·3이 남긴 상처 그 자체를 드러냈다. 당시 사람들은 여전히 그때의 상처를 말하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 그 같은 상처를 또 다시 겪지 않고 싶기 때문이다. 우리는 「순이 삼촌」으로 제주 4·3을 끊임없이 기억해야 한다.

4 국가에 의해 설계된 악, 국가폭력의 시작_김종군
지금까지도 ‘여순 반란’이라 명명되는 여순 사건은 국가가 공식적으로 행한 최초의 양민학살이었고 국가폭력이었다. 드물게 여순 사건을 문학작품으로 남긴 양영제 작가의 『여수역』은 생존자들의 구술과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국가폭력의 잔혹성을 고발한다.

5 골짜기의 비탄을 기억하라!_김종곤
국민보도연맹 사건을 다루는 4편의 문학작품, 최용탁의 「어느 물푸레나무의 기억」과 조갑상의 『밤의 눈』과 「물구나무서는 아이」, 그리고 이창동의 「소지」를 통해 당시 보도연맹이 자신과 다른 정치적 입장과 이데올로기를 가진 자를 철저하게 감시·통제·배제하는 반민주적 기구였다는 것을 다시 한번 짚어본다.

6 한국전쟁의 숨은 이야기, 마을전쟁_박재인
임철우의 「곡두 운동회」는 마을전쟁의 과정과 그 속에 놓인 사람들의 감정과 욕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전쟁 이전부터 존재했던 갈등과 원한이 폭력적으로 배출된 결과물인 마을전쟁은 한국전쟁 시기 곳곳에서 벌어졌다. 「곡두 운동회」 속 마을전쟁을 통해 여전히 대물림되고 있는 분단과 전쟁, 원한과 복수의 역사를 돌아본다.

7 전쟁의 또 다른 주체, 중국의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_한상효
전쟁 미체험 세대인 김연수가 발표한 「뿌넝숴不能說」는 ‘타자되어 말하기’를 통해 기존 세대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한국전쟁을 바라보고 있다. 「뿌넝숴不能說」는 한국전쟁 시기 중국군 참전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역사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은 전쟁에 참여했던 개인들의 이야기, 그 고통과 비참함에 대해 이야기한다.

8 회귀본능과 심리적 애착의 공간, 고향_곽아람
이호철의 「탈향」은 실향민으로 살던 저자가 갖고 있던 고향에 대한 귀향의식이 표출된 결과물이다.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고향은 삶의 터전이자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함께하는 공간이었다. 그러나 흥남철수작전 이후 발생한 수많은 실향민들은 살기 위해서 더 이상 돌아갈 수 없는 고향에 대한 회귀본능을 억제해야만 했다.

9 수복지구 사람들의 끝나지 않은 전쟁_박성은
이경자의 『순이』와 『세 번째 집』, 이순원의 「잃어버린 시간」, 그리고 박완서의 「빨갱이 바이러스」는 38선을 통해 생겨난 수복지구 원주민들의 삶을 다루고 있다. ‘잠재적 간첩’ 취급을 받으며 상호 감시체제 아래에서 고통 받던 이들은 전쟁이 끝난지 수십 년이 지난 뒤에도 여전히 ‘빨갱이’라는 꼬리표를 단 채 살아가고 있다.

10 아버지의 죽음으로 이어진 혈육의 끈_전영선
1992년 8월, 한중수교가 이루어지면서 이산가족들은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일부 지역에서 은밀한 만남을 갖기 시작했다. 이 당시를 배경으로 한 이문열의 「아우와의 만남」은 타국의 접경지에서 이루어진 이산가족의 은밀한 접촉과 현대사의 영원한 상처로 남을 분단의 아픔을 그렸다.

참고자료
『기억과 증언』을 만든 사람들
Author
이병수,윤여환,남경우,김종군,김종곤,통일인문학연구단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헤겔의 진리 개념에 대한 고찰”(1987)로 석사 학위를, “열암 박종홍의 철학 사상에 대한 연구”(2004)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20세기에 전개된 이 땅의 사상과 철학에 관심을 두고 지성사 연구를 계속해 왔다. 2009년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에 들어와 통일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를 10년째 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 근현대 철학 사상의 사상사적 이해”(2013), “북한 철학의 패러다임 변화와 사상적 특징”(2014), “한반도 통일과 인권의 층위”(2018) 등이 있고, 저서로는 『철학의 철학사적 이해』(공저, 돌베개, 1991), 『통일담론의 지성사』(공저, 패러다임북, 2015), 『통일의 기본가치와 인문적 비전』(공저, 선인, 2015)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맑스·엥겔스 용어사전』(논장, 1989)이 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헤겔의 진리 개념에 대한 고찰”(1987)로 석사 학위를, “열암 박종홍의 철학 사상에 대한 연구”(2004)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20세기에 전개된 이 땅의 사상과 철학에 관심을 두고 지성사 연구를 계속해 왔다. 2009년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에 들어와 통일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를 10년째 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 근현대 철학 사상의 사상사적 이해”(2013), “북한 철학의 패러다임 변화와 사상적 특징”(2014), “한반도 통일과 인권의 층위”(2018) 등이 있고, 저서로는 『철학의 철학사적 이해』(공저, 돌베개, 1991), 『통일담론의 지성사』(공저, 패러다임북, 2015), 『통일의 기본가치와 인문적 비전』(공저, 선인, 2015)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맑스·엥겔스 용어사전』(논장, 1989)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