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해방 후 대한민국이 건국되기 전 격동의 시기에 유엔한국위원단의 의장으로 한국을 찾았던 메논의 발자취를 알아보기 위해, 현재 우리나라에선 국회도서관에 단 한 권 소장되어 있는 『메논 박사 연설집』과 모윤숙 및 주요 인물의 기록을 참고하여 그 생생한 기록과 활약상을 복원했다.
조선의 독립과 함께 38선을 경계로 대립구도에 빠진 혼돈의 시기에 중책을 맡고 부임한 유엔한국위원단의 도착과 환영대회에서 첫 포문을 연 의장 메논의 명연설, 모윤숙과 메논의 첫 만남부터 시와 인생을 논하면서 교감을 나눈 우정, 이승만과 뜻을 함께한 모윤숙이 메논을 설득하며 간곡히 부탁하던 일, 결국 소련과 협의하지 못하고 유엔총회 소위원회에서 남한만의 선거가 안건으로 상정되면서 벌어진 각국의 치열한 논의 및 인도의 입장, 메논이 후에 그가 고백하듯이 본국과 본인의 신념을 뒤로한 채 안건이 통과되도록 침묵한 일, 이후에도 계속된 모윤숙과 메논의 인연 등 역사적 장면들을 오롯이 담아냈다.
Contents
머리말
1장 이승만의 건국배경
1. 독립운동과 건국운동
2. 미소 냉전체제 속의 한국
3. 좌우익의 대립 사이에서
4. 미국에서의 외교적 승리
2장 메논은 누구인가?
1. 출신과 학력
2. 중국주재 인도 대사
3. 샌프란시스코 유엔창립총회의 두 메논
4. 유엔한국위원단 의장
5. 인도 외무부장관
6. 소련주재 인도 대사
7. 은퇴 후 고향에서
3장 이승만과 메논
1. 유엔한국위원단의 내한
2. 한국을 위한 활동
3. 북한의 비협조와 대안
4. 간디의 서거와 한국인
5. 이승만, 김구, 김규식의 대립
6. 뉴욕 유엔총회에서의 메논
7. 미국 방송을 통한 한국 소개
8. 한국에서의 고별
9. 메논이 떠난 후 유엔한국위원단
10. 메논 회고록 속의 한국
4장 메논과 모윤숙
1. 이승만과 모윤숙의 만남
2. 모윤숙과 메논의 관계
3. 인도에 초청된 모윤숙
4. 메논 회고록 속의 모윤숙
5장 이광수와 메논
1. 이광수와 모윤숙
2. 모윤숙을 통한 메논과의 만남
3. 이광수와 타고르
4. 이광수의 간디관
5. 이광수와 한 인도인 청년 교수
6. 이광수와 대한민국 건국
7. 이정화와 인도
6장 낙랑클럽, 한국 여성과 건국
1. 낙랑클럽의 정체
2. 김활란과 모윤숙
3. 김수임과 이강국 간첩사건
4. 미국 CIC가 본 낙랑클럽
5. 건국기의 한국 여성지도자들
7장 한국전쟁과 반공포로 석방
1. 한국전쟁은 어떻게 일어났나
2. 전쟁포로와 송환문제
3. 포로송환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4. 반공포로로 인도에 간 한국인
8장 한국과 인도: 역사와 전망
1. 역사 속의 인도와 한국
2. 제1공화국의 한국과 인도
3. 제3공화국의 한국과 인도
4. 한국과 인도의 경제문화 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