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르트르의 미학』은 철학자, 작가 장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 1905~1980)의 예술과 미학이론을 망라한 사르트르 종합해설서이다. 한국사르트르연구회(뒤 ‘저자 소개’ 참조)라는 학문공동체 활동을 하고 있는 연구자들 중 9명이 한국연구재단(KRF)의 지원을 받아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만 2년에 걸쳐 수행한 공동연구(연구책임자 장근상, 중앙대 교수) 성과를, 일반독자를 위한 14편의 글로 다시 정리한 것. 3년 전 공동작업인 『카페 사르트르』(에크리 刊, 2014) 중 ‘미학 카페’ 부분의 지평을 넓히고 깊이를 더한 후속 작업이라고도 할 수 있다.
대학 정년퇴임 후에도 다방면으로 왕성한 필력을 과시하는 노익장부터 30대 소장 철학자까지, 저자의 면면이 다채로운 만큼이나 책이 포괄하고 있는 관심사도 다양하여, 사후 반 세기를 바라보는 현대 지성사의 이 거인에 대한 국내 연구의 지평을 한층 넓히고 심화했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제 1 부 이 론
사르트르의 비실재 미학 박정자
1. 사르트르와 플로베르
2. 상상 입문과 비실재 미학
3. 비실재화의 실재적 중심
4. 아날로공
5. 플라톤에 대한 오마주
6. 무(無)의 미학
7. 불가능한 미
8. 상상에 대하여
9. 사르트르의 현대성
사르트르의 이미지론에서 아날로공(analogon) 개념 이솔
1. 서론
2. 아날로공의 출현 배경
(1) 고전이론의 문제 / (2) 후설 현상학을 수용해야 할 필요성 / (3) 질료와 대상의 구분 문제 / (4) 고전적인 이미지 이론들의 공통적 오류: 질료와 대상의 혼동 / (5) 지각과 상상의 구별 문제
3. 아날로공이란 무엇인가
(1) 이미지란 무엇인가 / (2) 이미지에 관한 새로운 규정: 외연의 확장 / (3) 이미지와 아날로공의 관계
4. 결론: 비실재성과의 충돌로부터 아날로공의 창조로
사르트르 미학의 이론적 토대: 헤겔 미학의 수용과 비판 변광배
1. 머리말
2. 몇몇 전제들
3. 사르트르의 헤겔 미학 수용과 비판
(1) 자연미 배제의 테제 / (2) 예술의 종언 테제 / (3) 수용자의 지위 테제
4. 맺음말
사르트르 비실재 미학의 이론적 토대: 사르트르의 이미지론, 후설의 수용과 비판 윤정임
1. 들어가는 말
2. 현상학과 사르트르: 후설을 파헤치기
3. 사르트르의 이미지론에 나타난 후설의 수용과 비판
(1) 후설의 수용: 이미지론의 토대 / (2) 아날로공(analogon)으로서의 이미지론 / (3) 이미지의 기능: 충족에서 부정으로
4. 글을 마치며
사르트르 비실재 미학과 참여문학의 교차 오은하
서 론
1. ‘아날로공’이 되는 예술작품
2. 미적 대상의 후퇴와 수용의 문제
3. 상상계로의 도피
4. 매개와 전체
결 론
‘앙가주망’에서 ‘소수문학’으로: 사르트르와 들뢰즈ㆍ과타리의 문학 사용법 변광배
1. 들어가는 말
2. ‘총체적 혁명’과 문학: 사르트르
3. ‘분자적 혁명’과 문학: 들뢰즈ㆍ과타리
4. 맺는 말
제 2 부 실 제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을 통해 본 소설 읽기와 의식의 구조 지영래
서 론
1. 산문과 시, 기호와 이미지
2. 지향성과 상상의식
3. 상상하는 의식의 구조
4. 독서 의식의 특수성
결 론
사르트르의 연극미학: 디드로, 브레히트와 나눈 가상의 대화 장근상
서 론
1. 연극과 이미지
2. 부르주아극과 무위(無爲)
3. 막(acte)과 경(tableau)
4. 행위와 정념
5. 서사극과 드라마극
결 론
사르트르와 회화: 틴토레토를 중심으로 윤정임
1. 글을 시작하며
2. ‘의미하지 않는’ 예술의 ‘의의’
3. 사르트르의 틴토레토
(1) ?베네치아의 유폐자?: 도시와 화가 / (2) ?성자 마르코와 그의 분신?: 인간조건과 중력 / (3) ?성자 조르주와 용?: ‘평민’ 틴토레토와 시간성
4. 글을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