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인人’은 노동하는 사람이다
호랑이(虎) 몸통에는 줄무늬가 있고 개(犬)의 꼬리는 날렵하게 위로 향한다
‘웃을 소笑’에는 대나무가 아니라 ^^이 있다
갑골문과 금문으로 보는 한자 이야기
어릴 적 수업시간에 ‘사람 인人’은 ‘사람은 혼자 살 수 없으므로 서로 기대 있는 모습이다’라고 배웠던 기억이 있다. 그러나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그 생각은 그저 훗날 지어낸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人 금문) ‘사람 인人’은 옆모습을 그린 것이기도 하지만 굽은 어깨를 보면 노동을 하는 사람이다.
‘클 대大’ 위에 동그라미가 얹혀 있으면, ‘하늘 천天’(天 갑골문)이다. 이 동그라미는 하늘을 뜻한다. 중국의 옛 관념에는 ‘천원지방天圓地方’, 곧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난 것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노동자인 ‘사람 인人’이 아니라 지배하는 대인大人인 ‘클 대大’를 쓴 것은 한자 형성기에 이미 계급 분화가 이루어졌음을 말해준다. 그런데 ‘하늘 천天’의 갑골문 모양은 왜 둥근 하늘이 네모나냐고? 그것은 필기구 탓이다. 갑골문은 뼈에 새긴 글자로, 칼로 새겨 썼기에 둥그런 원을 그리기가 쉽지 않았다.
갑골문은 은상殷商시대, 금문은 주周나라 때의 글자이다. 이러한 갑골문과 금문을 살펴보면, 동아시아 고대인들의 의식 세계가 대단히 직관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범 호虎’를 보라. 호랑이를 가리키는 글자(虎 갑골문)에는 호랑이 몸통에 그려진 섬세한 줄무늬를 볼 수 있다. ‘개 견犬’을 보라. ‘견犬’ 역시 영락없는 상형자(犬 갑골문)로, 긴 꼬리가 한 번 말려 위를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의 문자화에 의해 상형의 원래 활발한 모습은 감춰지고 말았지만, 갑골문을 보면 옛사람들의 관찰력이 얼마나 치밀했는지 알 수 있다.
이처럼 중국인들은 갑골문자를 통해 상고시대 자신들의 역사적 상상력과 미적 감각, 철학적 감성들을 발현하였다. 이 책은 한자의 원형인 갑골문과 금문을 통해 재미있게 그 연원들을 살펴 글자의 원리를 알고 익히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1. 둥근 하늘에 있는 해와 달과 별
2. 땅은 네모나다
3. 물이 있어 우리도 있다
4. 불과 산
5. 동물들하고 놀자
6. 너무나도 유용한 식물들
제2부
7. 사람, 남녀, 가족
8. 손과 발
9. 눈과 감각기관
10. 영혼의 집, 세속의 집
11. 마을, 성, 도시, 국가
12. 실과 옷
맺으며 292
찾아보기 294
Author
장인용
성균관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교 역사연구소에서 중국미술사를 공부했다. 한국국제교류재단에 다닐 때부터 출판일을 시작했으며, 그곳에서 해외 박물관에 소장된 한국 문화재 도록을 여러 권 만들었다. 그 후 출판사 뿌리깊은나무에서 근무했다. 1995년에 지호출판사를 설립해 여러 분야의 교양서를 출간했으며, 지금은 책 쓰는 일만 집중하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동양화는 어떻게 문인화가 되었을까』, 중국의 고대 제도와 조선의 건국을 조명한 『주나라와 조선』, 갑골문과 금문의 유래를 통해 한자를 해설하는 『한자본색』, 음식에 관해 인문학적 탐색을 한 『식전』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중국미술사』, 『원세개』, 『그림으로 읽는 중국 신화』 등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교 역사연구소에서 중국미술사를 공부했다. 한국국제교류재단에 다닐 때부터 출판일을 시작했으며, 그곳에서 해외 박물관에 소장된 한국 문화재 도록을 여러 권 만들었다. 그 후 출판사 뿌리깊은나무에서 근무했다. 1995년에 지호출판사를 설립해 여러 분야의 교양서를 출간했으며, 지금은 책 쓰는 일만 집중하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동양화는 어떻게 문인화가 되었을까』, 중국의 고대 제도와 조선의 건국을 조명한 『주나라와 조선』, 갑골문과 금문의 유래를 통해 한자를 해설하는 『한자본색』, 음식에 관해 인문학적 탐색을 한 『식전』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중국미술사』, 『원세개』, 『그림으로 읽는 중국 신화』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