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 新사주학

왕초보 입문편
$32.40
SKU
978896449429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3 - Mon 05/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Mon 05/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2/08/14
Pages/Weight/Size 188*254*30mm
ISBN 9788964494295
Categories 종교 > 역학/사주
Description
이 책은 기존에 일반적인 감명법으로 한계를 느낀 사람이나 또는 수많은 직업이 존재하는 현대사회에 맞는 현실적인 감명법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희소식이 될 것이다. 현실적으로 신살론이라는 단식 판단법으로는 사주감명이 불가능해졌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신살론을 공부하는데 6개월 이상을 투자하는 웃기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 현재 역학계의 현실이다. 격국 용신 무용론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그것을 대신할 만한 이론이 필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필자가 제안하는 방법은 새로운 방법이 아니고 기존에 존재하고 있었으나 사용되지 않았던 부분들을 많이 응용을 하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음양(陰陽)

제1장. 음양의 생성(生成) 원리
제2장. 음양의 기본 개념
제3장. 음양의 정의
제4장. 음양의 상대성
제5장. 음양의 분류
1. 자연계의 음/양 분류
2. 방향성의 음/양 분류
3. 사람의 음/양 분류
제6장. 음양의 이해
제7장. 서해 강론

제2부. 오행(五行)

제1장. 오행의 정의
제2장. 오행의 형상
1. 오행의 운동성 분류
2. 오행의 시간적 분류
3. 오행의 물상 분류
제3장. 오행의 본질
1. 목(木)의 본질
2. 화(火)의 본질
3. 토(土)의 본질
4. 금(金)의 본질
5. 수(水)의 본질
제4장. 오행의 상생
1. 상생의 의미
2. 상생의 논리
제5장. 오행의 상극
1. 상극의 의미
2. 상극의 논리
제6장. 서해 강론

제3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제1장. 오행의 천간지지 분화
제2장. 천간과 지지의 분류
1. 천간의 분류
2. 지지의 분류
제3장. 천간과 지지의 음양 구분
1. 천간의 음양 구분
2. 지지의 음양 구분
제4장. 천간과 지지의 역할
1. 천간의 역할
2. 지지의 역할
제5장. 천간과 지지의 이해
1. 천간의 이해
2. 지지의 이해
3. 60갑자(六十甲子)
제6장. 서해 강론

제4부. 지장간(支藏干)과 월령용사(月令用事)

제1장. 지장간(支藏干)
1. 지장간(支藏干)
2. 지장간 계통별 분류
3. 지지와 지장간 체(體)와 용(用)
제2장. 월령용사(月令用事)
1. 여기, 중기, 정기
2. 사령(司令) 기간
제3장. 서해 강론

제5부. 합(合)

제1장. 천간 합(天干合)
1. 천간 합의 종류
2. 천간 합의 특성
3. 천간 합의 해석
제2장. 지지육합(六合)
1. 지지육합
2. 지지육합의 해석
제3장. 삼합(三合)
1. 삼합의 종류
2. 준삼합
제4장. 방합(方合)
제5장. 암합(暗合)
제6장. 서해 강론

제6부. 충, 형, 파, 해(沖, 刑, 破, 害)

제1장. 천간 충(天干 沖)
제2장. 지지 충(地支 沖)
1. 지지 충
2. 지지 충의 작용
3. 지지 충의 특성
제3장. 형(刑)
1. 형의 종류
2. 형의 작용
3. 형의 해석
제4장. 파(破)
1. 파의 구성과 종류
2. 파의 작용
제5장. 해(害)
1. 해의 종류
2. 해의 작용
제6장. 서해 강론

제7부. 천간과 지지의 상호작용

제1장. 12운성(十二運星)
1. 10천간의 생로병사
2. 음간과 양간에 따라 적용
3. 12운성 도표
4. 10천간과 12운성
5. 12운성 응용법
제2장. 12신살(十二神殺)
1. 12신살의 의미
2. 12신살 도표
3. 12신살 암기법
4. 12신살의 해석
제3장. 공망(空亡)
1. 공망의 의미
2. 공망 도표
3. 공망의 성립
4. 공망의 특성
5. 공망의 종류와 작용력
제4장. 서해 강론

제8부. 신살론(神殺論)

제1장. 신살의 종류와 의미
1. 천을귀인(天乙貴人)
2. 문창귀인(文昌貴人)
3. 삼기(三奇)
4. 백호대살(白虎大殺)
5. 괴강(魁?)
6. 고진과숙(孤辰寡宿)
7. 원진(怨嗔)
8. 역마(驛馬)
9. 도화(桃花)
10. 삼재(三災)
11. 화개(華蓋)
12. 공망(空亡)
13. 천덕귀인(天德貴人)
14. 월덕귀인(月德貴人)
15. 금여(金輿)
16. 천의성(天醫星)
17. 암록(暗祿)
18. 상문조객(喪門弔客)
19. 홍염(紅艶)
20. 평두(平頭)
21. 현침(懸針)
22. 귀문관살(鬼門關殺)
23. 목욕살(沐浴殺)
24. 천라지망(天羅地網)
제2장. 서해 강론

제9부. 육친(六親)

제1장. 육친의 의미
제2장. 육친의 분류
1. 천간육친 조견표
2. 지지육친 조견표
3. 육친상생과 상극
제3장. 육친의 가족관계
제4장. 육친의 성정
제5장. 육친의 해석
1. 비견(比肩)
2. 겁재(劫財)
3. 식신(食神)
4. 상관(傷官)
5. 편재(偏財)
6. 정재(正財)
7. 편관(偏官)
8. 정관(正官)
9. 편인(偏印)
10. 정인(正印)
제6장. 육친의 확장
1. 사물로 확장
2. 학문으로 확장
3. 건강으로 확장
제7장. 서해 강론

제10부. 대운(大運)과 세운(歲運)

제1장. 대운과 세운의 배열법
1. 대운의 배열법
2. 세운의 배열법
제2장. 대운 보는 법
1. 고전의 학설들
2. 필자의 선택
제3장. 대운이 사주에 미치는 영향
1. 성격(成格)
2. 변격(變格)
제4장. 서해 강론

제11부. 사주정립법(四柱定立法)

제1장. 사주명조 작성법
1. 년주(年柱)를 정하는 법
2. 월주(月柱)를 정하는 법
3. 일주(日柱)를 정하는 법
4. 시주(時柱)를 정하는 법
제2장. 서해 강론

제12부. 사주학의 기본기들

제1장. 24절기(二十四節氣)
1. 12절(十二節)
2. 12기(十二氣)
3. 24절기(二十四節氣)의 해석
제2장. 12지지 동물분석
제3장. 서머타임 실행기간
제4장. 일간의 특징
제5장. 기초의 중요성
제6장. 오행의 기능표
제7장. 서해 강론

제13부. 근묘화실(根苗花實)

제1장. 근묘화실의 판단
1. 년주(年柱)
2. 월주(月柱)
3. 일주(日柱)
4. 시주(時柱)
5. 기타
제2장. 년 . 월 . 일 . 시의 해석
제3장.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법
1. 비견
2. 겁재
3. 식신
4. 상관
5. 편재
6. 정재
7. 편관
8. 정관
9. 편인
10. 인수
제4장. 서해 강론

[부록] 당사주 보는 법

제1장. 띠(12지)별 별자리
1. 12성좌의 의미
2. 12성 구성도
제2장. 4성을 정하는 법
1. 년(年)의 별자리
2. 월(月)의 별자리
3. 일(日)의 별자리
4. 시(時)의 별자리
제3장. 4성의 해석
1. 생년의 별자리 해석(초년 운)
2. 생월의 별자리 해석(중년 운)
3. 생일의 별자리 해석(말년 운)
4. 생시의 별자리 해석(평생 운)
제4장. 당사주 암기법

참고문헌
Author
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