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기존에 일반적인 감명법으로 한계를 느낀 사람이나 또는 수많은 직업이 존재하는 현대사회에 맞는 현실적인 감명법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희소식이 될 것이다. 현실적으로 신살론이라는 단식 판단법으로는 사주감명이 불가능해졌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신살론을 공부하는데 6개월 이상을 투자하는 웃기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 현재 역학계의 현실이다. 격국 용신 무용론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그것을 대신할 만한 이론이 필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필자가 제안하는 방법은 새로운 방법이 아니고 기존에 존재하고 있었으나 사용되지 않았던 부분들을 많이 응용을 하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음양(陰陽)
제1장. 음양의 생성(生成) 원리
제2장. 음양의 기본 개념
제3장. 음양의 정의
제4장. 음양의 상대성
제5장. 음양의 분류
1. 자연계의 음/양 분류
2. 방향성의 음/양 분류
3. 사람의 음/양 분류
제6장. 음양의 이해
제7장. 서해 강론
제2부. 오행(五行)
제1장. 오행의 정의
제2장. 오행의 형상
1. 오행의 운동성 분류
2. 오행의 시간적 분류
3. 오행의 물상 분류
제3장. 오행의 본질
1. 목(木)의 본질
2. 화(火)의 본질
3. 토(土)의 본질
4. 금(金)의 본질
5. 수(水)의 본질
제4장. 오행의 상생
1. 상생의 의미
2. 상생의 논리
제5장. 오행의 상극
1. 상극의 의미
2. 상극의 논리
제6장. 서해 강론
제3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제1장. 오행의 천간지지 분화
제2장. 천간과 지지의 분류
1. 천간의 분류
2. 지지의 분류
제3장. 천간과 지지의 음양 구분
1. 천간의 음양 구분
2. 지지의 음양 구분
제4장. 천간과 지지의 역할
1. 천간의 역할
2. 지지의 역할
제5장. 천간과 지지의 이해
1. 천간의 이해
2. 지지의 이해
3. 60갑자(六十甲子)
제6장. 서해 강론
제4부. 지장간(支藏干)과 월령용사(月令用事)
제1장. 지장간(支藏干)
1. 지장간(支藏干)
2. 지장간 계통별 분류
3. 지지와 지장간 체(體)와 용(用)
제2장. 월령용사(月令用事)
1. 여기, 중기, 정기
2. 사령(司令) 기간
제3장. 서해 강론
제1장. 천간 충(天干 沖)
제2장. 지지 충(地支 沖)
1. 지지 충
2. 지지 충의 작용
3. 지지 충의 특성
제3장. 형(刑)
1. 형의 종류
2. 형의 작용
3. 형의 해석
제4장. 파(破)
1. 파의 구성과 종류
2. 파의 작용
제5장. 해(害)
1. 해의 종류
2. 해의 작용
제6장. 서해 강론
제7부. 천간과 지지의 상호작용
제1장. 12운성(十二運星)
1. 10천간의 생로병사
2. 음간과 양간에 따라 적용
3. 12운성 도표
4. 10천간과 12운성
5. 12운성 응용법
제2장. 12신살(十二神殺)
1. 12신살의 의미
2. 12신살 도표
3. 12신살 암기법
4. 12신살의 해석
제3장. 공망(空亡)
1. 공망의 의미
2. 공망 도표
3. 공망의 성립
4. 공망의 특성
5. 공망의 종류와 작용력
제4장. 서해 강론